기발한 자살 여행
아르토 파실린나 지음, 김인순 옮김 / 솔출판사 / 200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책을 선택할 때의 기준은 단연, 누구의 작품이냐는 것이다.

그렇기에 한 번 괜찮은 작가로 찍히면 그 작가의 차기작은 그대로 내 수중으로 들어온다.

또한 이 방법은 거의 - 때때로 실망감으로 벽을 긁는 경우를 빼면 탁월한 선택으로 끝을 맺는다.

그렇다면 처음 대면한 작가의 책은 읽질 않을까?

물론,

읽는다.

그렇다면 어떻게 선택을 할까?

우선, 리뷰를 읽어본다.

사실, 스포일러 만빵을 싫어하기에 슬쩍 훑어만 본다.

그리고 필이 꽂히면 클릭.

또 다른 방법은 제목으로 선택한다.

대부분 제목에 모든것을 담고 있기에 리뷰를 읽지 않고도 끌리면 클릭.

하지만 이런 방법에는 단점이 있는데 겉과 속이 다를 수 있다는 거다.

<기발한 자살여행>은 제목을 보고 필이 꽂혀서 산 책이다.

사실, '자살여행'보다는 '기발한'이라는 단어가 주는 독특함에 더 끌렸다.

보아하니 자살하려는 자가 여행을 떠난다는 건데,

그 여행에서

도.대.체.

어떤 일이 있었기에 재치있고 엉뚱하고 독특하다고 표현할 것일까?

그 궁금증에 읽지 않고는 배길수가 없었다.

그래서, 주말을 그대로 쏟아 부었고 거의 다 읽었을 즈음엔

화가 났다.

어디가 재치있다는 거고, 어디가 엉뚱하다는 거고, 어디가 빼어나다는 건가???

때때로 아기랑 놀고, 때때로 집안일을 하고, 때때로 쉬다가 읽어서 그 빼어난 장관을 놓친걸까?

그렇게 혼자 울분을 토해내던 중,

예전에 읽었던 김영하의 소설이 기억났다.

그래서,

김영하의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를 다시 집어들었다.



한 주가 시작되는 새벽녘.

김영하의 소설을 접고나서 나는 아르토 파실린나에게 용서를 빌었다.

특별히 재치있지도, 엉뚱하지도, 빼어나지도 않지만 그래도 나름의 재미가 있었음에도 '기발한'이라는 단어에만 집착해서 그 이면을 보지 못했다고.

그리곤 주말을 허비했다고, 차라리 <스밀라>(스밀라의 눈에 대한 감각)를 읽을껄 후회스럽다고, 김영하가 낫다고 성급히 판단한, 나 자신을 책망했다.

이래저래 좀 어두운 주말이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로밋 2006-01-09 12: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표지 사진은 보슬비님 서재에서 퍼 왔어요.
 
브루클린 풍자극
폴 오스터 지음, 황보석 옮김 / 열린책들 / 2005년 12월
평점 :
품절


나에겐,
이름 만으로도 50%는 먹고 들어가는 작가가 있으니
'폴 오스터'도 그들 중 한 명이다.
그렇기에 <브루클린 풍자극(이하 부르클린)>은
좁은 자간,
언제 끝날지 알 길 없는 문단에도 불구하고 - 사실, 이 한 장을 가득 채운 빡빡한 문장들이 날 들뜨게 했지만
기본(★★★☆☆)을 받고 시작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난 <브루클린>에게 다섯 개 모두 쐈다. ★★★★★
기본을 받았기에 거기에 두 개를 더 얹는 건 쉬운일 아니냐고???
천만에.
<브루클린>은 다섯 개를 모두 쏘고도 더 쏘고 싶은 책이다.
왜???
아직도 나에게 삶의 '희망'을 안겨주고 있으니까.
그 '희망'이라는 게 다분히 작위적이지만 말이다.

<브루클린>을 한 마디로 압축한다면 모든 것을 잃고 죽을 자리를 찾아 나선 사람의 재활쯤 될까
뻔한 스토리, 뻔한 결말이지만 그 뻔함이 뻔뻔스럽지 않은 책.
우리는 책의 힘을 과소평가해서는 절대로 안 된다.

개인적으로 스포일러 만빵을 싫어하기에 살짝만 소개한다면,


나는 조용히 죽을 만한 장소를 찾고 있었다.
라는 명료한 문장으로 뻔함의 막을 연다.
요 한 문장으로도 우린 모든 걸 알 수 있으니,
직장에선 쫓겨나고, 가족에게는 버림받고, 거기다 건강도 잃고 돈도 없고 나이까지 꽉 찬 아저씨.
결말?
안 봐도 비디오지.
바로 해피앤딩

나는 서늘한 아침 대기 속으로 나섰고 살아 있다는 데 너무나 큰 기쁨을 느꼈다. 소리라도 지르고 싶을 만큼. 머리 위로는 하늘이 짙푸른 빛 중에서도 가장 푸른 빛을 띠고 있었다.

뭐 그리 독특하지도 그렇다고 스펙터클하지도 않은, 그저 우리네 이야기에 약간의 조미료만 더했지만, 그 조미료가 그저 그런 조미료가 아니잖은가.

카프카는 첫 번째 단편소설을 하룻밤 만에 썼어요. 스탕달은 <파르마의 수도원>을 47일 동안에 썼고요. 또 멜빌은 <백경>을 16개월 동안에 썼고 플로베르가 <보바리 부인>을 쓰는 데는 5년이 걸렸지요. 무질은 18년 동안 <특성없는 남자>를 쓰다가 완성하지 못하고 죽었고요.

더 맛보고 싶다고??
뭐든 과 하면 탈난다.

그런데,
이것 좀 봐라
내 책장에 그의 책이 한 권도 없다.
어찌 이런 일이...
한 권의 책을 두고두고 읽고 또 읽는 지라 대부분 사서 읽는 내가, 더더군다나 폴 오스터를 그렇게도 칭송했던 내가 단 한 권의 책도 갖고 있지 않다니.
그렇다면 그 동안 도서관에서 빌려 읽었단 말인가?
이런 넌센스가.
아니 잠깐만.
<환상의 책>은 분명 신청했던거 같은데, 저 표지가 너무 익숙한걸.
그런데 저게 어디 갔을까???
이렇게 해서,
모두가 잠든 시간 책장 정리가 시작됐다.
오늘따라 아기가 참 잘도 잔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드무비 2006-01-08 09: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일단 땡스투 눌렀어요.^^

그로밋 2006-01-09 10: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로드무비//님 멋진 선물 감사합니다. ^^
 

우리네 삶은 왜 이리 기복이 심한지, 편안하게 잘 산다 싶다가도, 어느 순간 나락으로 떨어진다.

어쩌면 그래서 인생이 즐거운 지도 모르겠다.

매일 매일이 그저 해피~~하면 무슨 재미일까.

한동안,

쌓여가는 책을 보면 한숨만 나왔다.

그게 그저 '읽어야지'로 끝나는게 아니라, 나 자신을 책망하는 단계까지 갔는지라 그저 바라보는 것 만으로도 답답함을 느꼈다.

그러다, 새로운 한 해를 맞기 전에 꼭 한 권만이라도 끝내야 겠다는 결심을 하게됐고, 집안 일을 미뤄가며 아기에게 달려가는 걸음을 잠깐씩 늦춰가며 <열하일기,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이하 열하일기)을 읽기 시작했고 2006년을 맞이하고 이틀이 지나서야 한 달을 끌어왔던 <열하일기>의 늪에서 빠져나올 수가 있었다.

그때부터였다,

갑자기 책이 술~술~ 읽히기 시작한 것이.

그 전(출산 전)에 비하면야 소소하지만, <열하일기>를 한 달 동안 읽었던 것과 비교해 보면 천양지차라.

아기 장 위에 올려져 있던 책 더미가 조금씩 낮아지기 시작했다.

아~~~ 그 누가 알겠는가,

책 더미가 낮아지는 것에 기쁨의 눈물을 흘리는 자가 있다는 것을.

가끔,

책장 넘어가는 소리에 아기가 뒤척이고,

또 가끔은,

뜬금없이 흰 양말을 신은 남편을 보기도 하지만(세탁해 놓은 검은색 양말이 없어서)

지금 난,

행복하다.

 

지금까지 읽은 책.    ^_________________________^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06-01-07 02: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하하~~ 갑자기 책의 진도가 정말 안나갈때가 있죠. 읽긴 읽어야겠는데 진도는 안나가고.... 그러다가 갑자기 속도가 붙는 때도.... 저도 요즘 책읽는데 속도가 붙기 시작했거든요. 12월 한달 내내 헤매다가... 우리 똑같네요. ^^

그로밋 2006-01-07 02: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바람돌이//님 찌찌뽕~ ^^

로드무비 2006-01-08 09: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와, 멋진 출발!^^

그로밋 2006-01-09 10: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롣드무비//님 출발이 좋아서 너무 신나는거 있죠 ^^
 

아이들의 세계엔 뭐가 있을까?

가끔,

아이들의 세계로 여행을 떠나고 싶을 때가 있다.

바로 오늘 같은 날엔 더더욱.

오늘,

4살 조카에게 '신데렐라'를 읽어주었다.

드레스를 좋아하는 조카는 '신데렐라'의 드레스를 아주 맘에 들어해서 자주 읽어달라고 한다.

그러면서 신데렐라가 왕자와 결혼하는 장면에선 꼭 물어본다.

"이모, 이건 진짜 드레스지???"

오늘은 신데렐라 책을 3번 읽어준 뒤,

국민학교 때 즐겨 불렀던 신데렐라 노래를 불러주었다.

"신데렐라는 어려서 부모님을 잃고요,

계모와 언니들에게 구박을 받았드래요

샤바샤바 아이샤바(무슨 뜻인진 모르겠다) 얼마나 울었을까요

샤바샤바 아이샤바 천구백팔십일년도"

끝까지 듣고 있던 조카

"신데렐라 노래는 그게 아닌데"

하더니 맑고 청아한 목소리로 노래를 부르는데,

"신데렐라의 집에는 옷장도 있고 화장대도 있고, 신데렐라의 집 미미"

-_-;;;

에공~~~~

허탈해하는 나를 뒤로하고 이짱(2살)이랑 신나서 인형놀이를 한다.

그런데,

그때 들려오는 노랫소리

"신데렐라는 어려서 부모님을 잃고요,

살아 살아 잘 살아 얼마나 울었을까요

살아 살아 잘 살아 행복하게 살았대요"

^_________________________^

아, 궁금하다.

아이들의 세계엔  뭐가 있을까~~~~~~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바람돌이 2006-01-03 01: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집 예린이도 신데렐라의 광팬인데요.
그게 디즈니판 신데렐라에서는 드레스때문에 신데렐라에 감정이입을 보여주는데...
문제는 일본판 시리즈 신데렐라가 있거든요. 이거 보고는 신데렐라 보다는 늘 신데렐라를 부려먹는 언니들을 더 좋아한다지요. 그래서 예린이는 절대 신데렐라 안한대요. 맨날 동생이나 엄마보고 신데렐라 하라지요. 그러고는 "신데렐라 뭐하니 빨리 과자 가져와" 이딴식으로 저를 부려먹으니 참~~~ 정말 아이들의 세계엔 뭐가 있을까요? ^^

깍두기 2006-01-03 15: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 두 집 아가들 모두 엄청 귀엽삼~

그로밋 2006-01-04 11: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바람돌이//님 ㅋㅋ 예린이가 세상을 좀 아는군요^^
깍두기//님 그쵸?? 녀석이 귀엽긴 한데, 가끔 감당하기 힘겨울때가 있네요 ^^
 

님들, 크리스마스 선물 받으셨나요??

저흰, 기대도 안 했는데 선물이 도착했지 뭐예요.

뭐냐구요?

뒤집기.  0-0



이것은 아닙니다.

그럼, 이거냐구요?


아이구~~~ 아닌거 아시죠? ^^

바로 우리애기 뒤집기(사진은 다음에 ^^)

아, 글쎄.

산타할아버지의 도움을 받았는지 새벽녘에 뒤집기 성공을 했지 뭐예요.

우리 애기가 다소 묵직한 편이라 오래걸릴꺼라 생각했는데, 며칠 만에 성공!!!

잠자다 깨서 껴안고 난리치고 하다가 정작 그 순간을 포착하질 못했네요.

나중에 찍긴 했지만 요게 좀 아쉽네요.

초보맘이 그렇죠뭐. -_-;;;

축하해주세요! ^^


댓글(5)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로드무비 2005-12-26 18: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백일 지난 지 얼마 안된 아그가 뒤집기를 했다고요?
전 5개월쯤에나 가능한 일인 줄 알고 있었는데......
축하드리옵니다. 그로밋님!
아기가 건강하게 무럭무럭 자라기를......
(사진 꼭 보여주세요!^^)

아영엄마 2005-12-26 20: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그로밋님, 축하드립니다! ^^(저는 우리 아그들이 언제 뒤집기를 했는지 기억도 안납니다.^^;;)

깍두기 2005-12-26 21: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머, 축하드립니다!!!!
저도 그게 언젠지 가물가물......^^

그로밋 2006-01-02 11: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영엄마//님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 저도 조카가 언제 뒤집었는지 기억도 안 나네요. 우리 애기 뒤집기도 잊혀질까봐 이렇게 남겼네요. ^^

그로밋 2006-01-02 11: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깍두기//님 감솨~ 감솨~~ ^^ 요즘 저도 자주 깜빡깜빡~ 나이는 못 속이나봐요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