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왜 졸릴까? - 홍승철 교수의 기면병 이야기
홍승철.김예영 지음 / 군자출판사(교재) / 2025년 5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현대인은 잠을 충분히 자기 힘든 사회 환경을 유지하고 있다. 24시간 각성 상태가 되고, 직업에 따라서,밤과 낮이 바뀌는 경우가 흔하다. 회사나 직장 생활에서, 잠과 관련한 질환이 늘어나고 있으며,자칫 일상생활에 지장이 발생하고, 사회적 신뢰를 저버리는 일들이 반복될 수 있다.
책에는 기면병의 동반 질환이 소개되고 있다. 우울장애, 불안장애, 주의력결핍장애, 품행장애, 폐쇄성 수면 무호홉증, 불면증, 렘수면 행동장애, 하지불안증후군,주기적사지운동증, 비만, 2형 당뇨병, 고혈압, 면역질환이 여기에 해당되며, 정신과 질환, 수면장애, 내과적 질환으로 구분하고 있다. 현대인의 우울증, 불안, 비만,당뇨가 기면병과 함께 나타날 수 있는 대표적인 질환으로 손꼽히고 있다. 특히 기면병 환자는 정상인에 베해 2`3배 높은 비유로 우울증을 겪고 있다.
오렉신은 기면병 환자의 각성을 유지하고, 물질대사를 활발하게 하고 있다.기면증의 특징이 작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상황에 놓여지는 낯선 질환이므로,오렉신이 부족하면, 기면병 환자는 기초대사량이 감소하고, 신체 활동이 줄어들기 때문에, 비만이 생길 환경이 조성되고 있으므로, 대사 질환을 주의하여 관찰하고, 적극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기면병은 1형 기면병과 2형 기면명으로 구분한다. 기면병 환자군에 따라 치료 방법을 달리해야 한다. 학교 생활에서, 남들과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면, 하교 생활,직장 생활에서 지각을 하거나, 약속을 지키지 못하고, 수업 시간이 나도 모르게 자는 경우가 나타난다. 식사를 하던 도중에 잠을 자는 경우가 나타나며, 옆에 있는 사람이 그 현상이 신기한 현상으로 보지만, 기면병으로 보지 않는 경우가 많다. 심한 낮졸림증이 있어도 병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책에는 기면병 진단을 하는 과정에서, 수면다원검사,다중수면잠보기검사 를 통해, 환자의 질병 상태나 건강상태, 수면장애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