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0일 일욜에 안산을 다녀왔다.

이미 약속된 ‘4.16생명안전공원‘을 납골당 설치 반대라는 현수막으로 안산을 도배한 자한당의 패륜적 행위에 분노하며, 광주시민상주모임 식구들과 함께 했다.

중이염으로 2주째 치료중인데 차도가 없어 망설였지만, 선거와 이런저런 사정으로 많은 이들이 함께하지 못함으로 머릿수 하나 보태는 마음으로 동참. 광주에서 13명이 일당백의 정신으로 무장하고 출발~

안산에 도착하여 점심을 먹고, 우선 4.16기억교실에 들러 ‘그날‘에 멈춘 아이들의 일상이었던 학교생활을 살펴보며 추모하고 마음을 다스린 후 4.16연대와 합류했다.

2시부터 단원구 4거리 3곳에서 현수막을 펼치고 피켓을 들거나, 상가와 지나는 시민들에게 4.16안전공원을 알리는 전단지를 드렸다. 전단지를 잘 받아주는 상가나 시민들도 많았지만, 손사래를 치며 거절하거나 외면하는 시민도 제법 많았다. 심지어 ˝아직도 세월호냐? 다 끝났지 않느냐. 그만 좀 하라!˝는 모진 말을 하는 분들도 있었다 그동안 언론으로만 접하던 그 모든 상황을 실제로 접하며, 유가족들은 날마다 이런 말을 들으며 견디었구나 싶어 가슴이 아팠다.ㅠ

물론 안산에 사는 분들의 여러가지 사정도 이해는 하지만 ‘내 새끼가, 내 손주가 이런 일을 당했다면...‘ 이런 가정으로도 다 공감되는 거 아닐까, 여전히 안타깝고 안타깝다.

문제는 정치꾼들이 화랑유원지 일부 공간에 조성될 봉안시설은 200평 이내로 전체의 0.1% 정도를 차지하고도 지하에 조성하는데, 납골당 운운하며 집값이 떨어진다, 혐오시설을 결사반대한다며 시민들을 부추기는데 있다.

자한당.바른미래당 후보들은 노골적으로 결사반대 현수막을 내걸었고, 더민주는 시민의 뜻에 따르겠다고 기만하고 있었다.

유일하게 민중당은 뚝심과 소신으로 4.16생명안전공원을 지켜내겠다, 전국에서 후보들이 합법적으로 현수막을 내걸었다. 주황색 민중당 후보들의 현수막을 보면서 무너져내렸던 마음에 단비같은 위로가 되었다.

촛불을 들어 대통령도 끌어내린 우리가, 6.13 지방선거에서 투표를 잘해야 하는 또 하나의 이유다!


<민중당의 선거 현수막이 안산으로 모인 까닭>

지난 8일, 민중당 홍성규 경기도지사 후보의 선거현수막 30여 장을 안산에 집중 게시하였습니다. 현수막은 모두 “박근혜 적폐잔당, 패륜집단에게 단 한석도 주지 맙시다”입니다.
안산의 자한당과 바미당이 4.16생명안전공원을 납골당으로 폄하하며 선거에 악용하는데 맞서 저희 유가족들이 캠페인을 한다는 소식을 듣고 이런 결정을 했다고 합니다. 그저 고맙고 미안할뿐입니다.

http://naver.me/xE2mSVfw


댓글(7)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2018-06-17 03:3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7-13 02:1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7-13 02:5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7-01 14: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7-13 02:1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8-27 16: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순오기 2018-08-28 20:07   좋아요 2 | URL
광주에 비가 엄청 쏟아졌는데 우리동네는 지대가 높은 편이라 괜찮아요! 광산구는 배수도 잘돼서 걱정없어요!^^
 
알아맞혀 봐! 곤충 가면 놀이 - 2021 책날개 선정, 2019 책날개 선정, 학교도서관저널 선정, 2019 어린이도서연구회 추천 바람그림책 68
안은영 지음 / 천개의바람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6월 주제가 곤충이라 활동자료로 구매했는데, 퀴즈로 되어 있어 아이들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좋을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을 그리다 - 안티-스트레스 컬러링북 러브 안티-스트레스 컬러링북
카멜레온북스 편집부 엮음 / 카멜레온북스 / 201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버이날, 친정엄마께 치매예방 색칠놀이를 해보시라 선물했다. 마음대로 색칠하는 거지만 아주 잘게 나누어져 쉽지는 않다. 하지만 기초단계 색칠을 하고 그 윗단계로 선택하면 무리 없을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른들의 추억 색칠하기 1 - 뇌운동을 위한 치매예방용 시리즈 1
남천우 지음 / 프린트아트리서치센터(PARC)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버이날 친정엄마께 치매예방 색칠놀이로 선물해드렸는데, 본이 있어 색칠하기가 좋다고 하시네요.
추억돋는 화투를 색칠하며 즐거워하는 모습을 그려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나무 백가지
이유미 지음 / 현암사 / 200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 거리엔 하얀 꽃이 소복히 핀 이팝나무가 한창입니다. 여름이 올 무렵에 핀다는 이팝꽃, 그래서 입하목(立夏木)이라고도 부르죠.

왜, 이팝꽃일까요?
마치 꽃이 이밥처럼 피고 꽃무리가 쌀밥을 고봉으로 담아놓은 듯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왜, 쌀밥을 이밥이라 했을까요?
고려를 멸하고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는 정도전의 토지개혁으로 권신귀족들이 독점한 농지를 몰수하여 백성에게 나누어주고 농지의 9분의 1 수확량으로 세금을 내게 한 ‘정전제’를 시행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백성들은 드디어 쌀밥을 먹을 수 있었고, 이밥을 이씨가 주었다 하여 쌀밥을 ‘이밥’이라 하였답니다. 내 어릴 적 생일에나 먹었던 ‘이밥에 고깃국’은, 북한 주민들이 즐겨 쓰는 표현이기도 하죠!^^ 우리말 발음법칙상 ‘이밥‘이 변음하여 ‘이팝‘이 되고, 꽃나무 이름도 ‘이팝나무’가 된 듯...

광주광역시 가로수 5대 수종의 하나인 이팝나무는 광산구에서도 가로수로 많이 심어 우리동네를 비롯한 곳곳에서 볼 수 있습니다. 마치 하얀 쌀밥을 퍼 놓은 듯, 혹은 하얀 눈꽃을 뿌려놓은 것 같은 모습입니다.

이팝나무는 주로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에서만 볼 수 있어 서양인들은 이 꽃나무를 처음 보고 ‘눈꽃나무’라고 했답니다.

이팝나무는 남부지방에서 자라는 낙엽성 교목으로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데 고향은 전라도, 경상도 같은 따뜻한 남쪽이고 해안을 따라서 서쪽으로는 인천까지, 동쪽으로는 포항까지 올라온답니다. 그러나 옮겨심으면 중부 내륙에서도 잘 자란다고 합니다.

4.27 판문점 선언으로 남북교류와 여행이 자유로와지면 북녁땅에도 이팝나무가 있는지 꼭 확인해보고 싶네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크pek0501 2018-05-08 14: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름의 유래가 그런 거군요.

우리 생애에 북녘에 갈 수 있는 때가 오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