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잔소리 없는 날 ㅣ 동화 보물창고 3
A. 노르덴 지음, 정진희 그림, 배정희 옮김 / 보물창고 / 2004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초등 3학년 이상이면 재미있게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책입니다. 우리 막내가 초등학교 4학년 때 쓴 독후감으로 지역도서관 독서감상문대회에서 동상을 받은 작품입니다.
<어른들에게 잔소리 하는 날을 만들자> 4학년 선민경
"히야∼ '잔소리 없는 날'이라고?"
택배로 책이 왔는데 제목부터 필이 딱 꽂혔다. '잔소리 없는 날이 우리 집에도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이 황금 같은 날을 쟁취한 복 많은 녀석이 누군지 알아보기 위해 단숨에 읽었다.
부모님의 끊임없는 잔소리에 나처럼 몸과 마음이 지쳐 가는 주인공 푸셀. 불쌍한 푸셀은 월요일 하루를 잔소리 없는 날로 결정하게 된다. '와~ 진짜 부럽다!' 모르는 사람 파티 끌어들이기, 학교에서 일찍 오기, 술 취한 사람 집으로 데려오기 등을 시도한다. 모르는 사람 파티 끌어들이기랑 술 취한 사람 집으로 데려오는 것은 사절이지만, 학교에서 일찍 오는 것은 정말 부러웠다.
내가 푸셀이라면 파티 같은 것은 벌이지 않고 컴퓨터 죽치고 하기, 텔레비전 실컷 보기, 친구들하고 놀러 나가기, 학원 안 가기, 용돈도 달라고 하면 많이 주실까? 하여튼 나는 이렇게 소박하게 보내고 싶다.
"오늘이 끝나는 건 밤 12시잖아요? 저 공원에서 잘 거예요!"
오후 7시쯤 잔소리 없는 날이 끝났다고 안도하는 부모님께 푸셀이 내뱉은 청천벽력 같은 말이다. '와∼ 이 녀석 대단한 녀석인데 재밌겠다!'
나는 한껏 부러워하며 친구와 함께 텐트를 치고 공원에서 잔다는 푸셀을 지켜보았다. 소풍 같은 느낌도 들고, 한밤중 공원의 텐트에서 지낸다는 것이 떨리면서도 재밌을 것이다.
"귀신? 진짜 귀신이라고?"
집으로 간다던 올레가 귀신이 있다고 돌아와 푸셀이 조심조심 가보니, 세상에! 그 귀신은 아빠였다. 푸셀과 올레가 걱정돼서 따라오셨다고 한다. '역시 부모님의 사랑은 누구도 못 말린다. 잔소리도 아이들을 사랑하는 부모님의 마음이겠지?' 감동을 받으면서도 여전히 잔소리가 듣기 싫을 때가 있다. 아니, 무척 많다.
안네 마리 노르덴의 책은 '잔소리 없는 날'과 '동생 잃어버린 날'을 읽었는데, 진짜 어린이 마음을 잘 그려내었다. 내 친구들도 많이 공감하고 엄마도 공감한다고 웃으셨다. 많은 어른들은 개구리 올챙이적 일을 기억하지 못한다. 그런데 작가님은 어린시절을 잊지않고 있는 것 같았다. 물론 외국은 우리나라와는 다른 문화적 차이가 있지만, 어린이의 마음은 같다고 느꼈다.
'잔소리 없는 날'이 책으로만 끝나지 않고, 나라에서 한 달에 한 번 정도 정해서 지키게 하면 좋겠다. '잔소리 없는 날'에 잔소리를 한 부모님은 벌금을 물려서 아이들이 원하는 걸 다 들어주게 한다면 아이들은 정말 신나게 뛰어 놀며 자랄 것 같다. 헤헤헤∼ 나의 조그만 소망이다!
이건 내 생각인데, '잔소리하는 날'도 괜찮을 것 같다. 물론 부모님이 우리에게 하는 날이 아니라, 우리가 부모님께 잔소리를 하는 날이다. 정말로 엄마 아빠께 내 맘대로 잔소리하는 날이 실현되면 얼마나 좋을까? '개구리 올챙이 적 생각 못 한다'더니, 부모님이 정말 그렇다. 부모님도 어렸을 때는 잔소리가 듣기 싫었을 텐데, 개구리가 된 지금은 올챙이 생각을 해 주지 않는다. 우리가 부모님께 잔소리를 한다면 개구리가 된 부모님도 올챙이에게 하는 잔소리를 줄여나가지 않을까? 헤헤∼
"전국의 어린이들이여, 꿈의 유토피아를 위해 단결하자.
우리도 부모님을 사랑하니까 마음껏 잔소리하는 날을 정합시다!"
책 속의 푸셀도 그렇지만, 나도 부모님의 잔소리가 사랑이고 관심이라는 걸 안다.
"엄마 아빠, 사랑해요. 부모님의 잔소리까지도 사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