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

얻을 수 있을까
얻는다면 내것인가
가까이 다가와
내 것인 것처럼
내 것인 양

얻을 수 없어
이름표를 붙이는 순간 달아나는
쥐면 쥘 수록 빠져나가

아무것도 없는 안개

얻을 수 있을까 얻을 수 있어
지샌 밤
옴켜쥐지 않으려
내 것이 아니라 네 것
우리라는 꼬리를 붙이자
바투 다가서는 내 것

다 모르지만 다 아는 거. 다 아는 것.

 

발.

 

1. 일터에서 새로운 분들과 대면식 겸 식사를 같이 했다. 서울서 오는 손님일정에 맞춰 반낮술을 시작하니 해가 저물즈음에 끝내는 회식이기도 하다.  새로운 손님이 세분, 아는 사장님들 세분인데다가 주고받고 한 분들도 있어 약간  취지가 올라왔다고 할 수 있다.  대리기사분에게 몸을 맡기고 중간에 내려 500번 버스를 탔다. 버스 이동 중에 생각이 났다. 마음은 소유할 수 없는 것이라고 말이다. 소유하려고 애쓸 수록 마음은 빠져나가거나 나의 수위가 높아져 흘러나가는 것이란 생각이 잡혔다. 마음을 애결복걸하면 안된다는 걸 말이다. 가까울수록.

 

2. 일찍 잠들었다. 라디오 취침예약을 하고....이렇게 흔적을 남기고 잠든 것인데. 글을 쓴 흔적만 남지를 않았다.

 

3. 사람들은 말한다. 사람도, 삶도 마음도 추상적이라고 한다. 빛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려면 스펙트럼을 통과하는 가시광선을 살펴볼 수 있다. 하나하나 분석해서 살필 수는 있지만 정작 빛은 잊어버린다. 사람들 마음을 어떻게 읽느냐고 하지만  사람들은 그 속은 자세하게 모르지만 마음이 있는지, 떠나버린 것인지 오고있는 것인지는 느낀다. 마음 속을 헤아리는 것보다 마음이 있고 없음은 더 잘 파악할 수 있다.  사회적 삶이 말라버린 지금. '삶' 역시 구름같다. 따지고 따지다보면 구름 속을 헤매는 것 같다. 하지만  년백만원, 오백만원, 천만원, 오천만원, 억대의 삶은 그려진다. 사회적으로 비교되는 삶은 가까이에서 느낄 수 있고 품평을 할 수 있다. 그래서 곁의 삶을 헤아리고 통증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 사람도 그러하다. 사람을 남길 수 있을까. 처음도 사람이요. 끝도 사람이다.  사람을 믿는다는 것은 씨앗을 뿌리는 것이고 관계를 만드는 것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 역시 모호하다. 사람을 어떻게 챙겨야 한다는 것인지 어떤 관계를 만들어가야 한다는 것인지 세세히 살필 수록 오리무중이다. 일틈 사이로 갈라진 마음들이 쉽게 복원되는 것도 아니다. 일로 틀어진 관계는 서운하고 소원하다. 어떻게 그 인간들과 대면하라는 것이라고 하는 후회막심한 일들이 다시 생각난다. 하지만 일들의 기복들도 그 관계들로, 그 사람들로 인해 맺어졌다. 인정하지않고 믿지 않으면서 일들이 제대로 된다는 것은 로또만큼 어려운 확율일 것이다. 믿고 인정하고 인정하고 믿고 하는 수밖에 없다. 관계의 그물을 회복하는 수밖에 없다. 그런면에서 처음도 사람이고 끝도 사람이다. 사람을 보는 일에 대해 논어에서는 시,관, 찰로 나누어서 말한다. 봐야할 것, 응시해야 할 것, 느껴야할 것을 구분하고 있다. 찬찬히 들여다보는 것이 시작이다. 곁의 사람도, 삶도, 마음도.....교감의 동원, 공감의 동원이라는 말이 끌린다. 일상의 의례에 느낌을 가져가고 올 수 있는 것도 근본은 성실함일 것이다. 모임에 대한 예의이기도 할 것이다. 느낌을 주고받으려면 그 만큼 노력도 필요할 것이다. 사적인 것에서 공적인 것으로 너머가는 가교. 사회적 삶에서는 만남에 자신감이 붙어야 한다. 그래야 시작할 수 있다. 어떤 것도 새롭게...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지난 달 큐슈-블랙투어를 하기 전 몇몇 후배들에게 전보를 보냈다. 문자도 통화도 선물도 그러해서 따듯한 마음을 느리게 전했다. 아날로그 감성이 통했는지 `평생처음‥` `감격ㆍㆍ` 따듯한 마음들이 새끼쳐서 돌아온다. 가끔 잊혀질만하게 느리게도ㆍㆍㆍ 봄을 들인다. 꽃이름은 듣고 깜박해버렸다. 집안과 사무실 표정의 온도 스위치를 on에 둔다. 봄에게 전보를 친다.

발. 어디는 눈발이겠지만 여긴 봄빛.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대전시민아카데미 2월 일정 안내]

설 명절 잘 보내셨나요? 늦었지만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아카데미는 요즘 2016년 사업을 준비하느라 바쁜 척 하고 있답니다^^; 이달 일정이 많지는 않지만 아주 중요한 `정기총회`가 들어있습니다. 날짜 확인해주시구요,

▲ 에퀴녹스(SF읽기모임)
- 2월18일(목) 19:30
- 아카데미 책방
- 텍스트 : 낸시 크레스 <허공에서 춤추다>

▲ 동시상영관
- 2월23일(화) 19:30
- 아카데미 책방
- 영화 <신과 함께 가라>와 종교개혁 전후의 서양음악(독일 코랄을 중심으로)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읽기모임
- 2월24일(수) 10:30
- 아카데미 책방

▲ 정기총회 `2016 아카데미로`
- 2월26일(금) 19:30
- 아카데미 책방

▲ 미술로 보는 세계사
- 매주 화요일 13:30 구암도서관
- 매주 수요일 19:30 도안 한라비발디아파트 커뮤니티센터
- 텍스트 : 캐롤 스트릭랜드 <클릭 서양미술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잡생각-슈스케, Kpopstar 등등등 대중음악 프로그램을 보면서 정치신인발굴프로그램도 기획하기가 그리 어렵지 않을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해본다. 물론 수사학이란 예술이 다시 등장하기도 해야겠지만 `밑져야 본전`이란 명구는 예외없이 적용될 것 같다. 외로움과 소외를 푸는 프로그램이 아니라 소외와 고독의 근저를 뜷고가는 기획이 필요한 건 아닐까. 꼭이 아니라 반드시 성공할 수 밖에 없다.

발. 성공의 등식과 방법 가운데 왜 정치만 예외가 되어야 하는가. 우리는 대단하다.

2. 딴생각-난 정부가 바보라고 보지 않는다. 일사분란함 자체가 힘의 표시이자 과시라고 본다. 수중에 넣은 힘의 유용으로 보자면 갑이 아니라 상갑이다. 그에 비하면 야당이나 야권과 시민사회단체들은 아마추어라고 봐야한다. 힘도 없고 결정적인 것은 최악의 시나리오를 감안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렇다. 정부는 권력유지를 위해 생사를 걸고 ㅆㅏㅇㅜㅁ을 시작한지 오래되었다. 병적인 증상은 더 심해질 수밖에 없다.

루쉰이 말한대로 미친개는 몽둥이로 패서 더 이상 활개를 치지 못하게 해야한다. 역사에 양보는 없다. 건전함과 양식 안에서 사고하는 것이 얼마나 생각도 사고도 좁은 일인가는 세상사람들이 다 느끼는 일이다. 정치는 늘 상식밖을 먼저 감안해야한다. 그리고 상식밖을 던지기도 해야한다. 집권해본 야당세력은 원로도 없고 뚫고 나가려는 정치인도 없다. 아쉬운 것이 아니라 절벽으로 서로를 밀어넣는 현실이 더 절망적이다.

3. 관계의 관계 - 동양사람들은 서양사람들보다 관계중심 사고를 한다고 한다. 서양인

이 명사중심 언어구사를 한다면 동양인은 동사부터 구사하려는 경향이 강하다고 한다. 이를 `내재적` 이라 한다면 우리는 서구합리성을 배우고 교육받지만 언어에서부터 쉽게 익숙해질 수 없다. 개인적이라기보다는 집단적이자 관계적이라 볼 수 있다. 하지만 지난 백년의 어색한 변화와 동거는 스스로도 서로도 제대로 변화시키고 있지 못하다. 어정쩡한 `관계`, 합리성이란 양말을 벗어들고 끼리만의 결속만 추구하는 외로움에 사로잡혀 있다. 제대로된 `관계`란 `관계의 관계`까지 배려하는 것은 아닐까. 어쩌면 의식적으로 노력하는 것이 합리성이란 서구의 옷을 제대로 입는 것일 것이다. 일터안을 벗어나야하는 이유도 아는 사람만 맺는 관계밖을 지향하는 `그물코의 연결망`을 다시 건들고 꿰는 것이 작은 변화로 이어질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장재민 - 이번 작업은 외곽 지역을 여행하던 중, 조성 공사가 이루어지고 있는 공원묘

지와 골프장 부지 주변을 본 것에서 시작되었다. 조경(Landscaping)은 어떤 목적에 의해, 인간이 조율한 경치이다. 다시 말하면, 적절히 조율된 상태로 살아가는 삶의 단면인 것이다. 도시를 떠나 마주하주하는 이러한 풍경과 그 장소에서 찍은 한 장의 사진을 들여다보는 일들은...몇 개의 부위가 제거된 신체와도 같다. 내 과거나 누적된 외부의 개입은 삶의 작은 현상도 파악하기 어려운 인식의 불구상태로 낯선 풍경을 보게 한다. ...이 전시의 제목은 레비-스트로스의 저서 슬픈 열대에서 인용한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