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나는 사람들의 연배가 조금 낮추어졌는데, 시각이나 받아들이는 데 있어 차이가 남을 느낀다.

조금 생각이 다른 부분에 쉽게 격하고, 솔직한 비판이 덧붙는다.

어제 가지 못한 토론회에 다녀온 친구는 다소 들뜬 목소리로 발제내용을 요약해준다.

다른 친구는 궁금하다는 듯, 상황을 되묻는다.

 

잠깐, 회의 짬이 있어 책상에 놓인 "다*께"라는 신문을 본다. 반전/반자본주의라는 내용에 다소 격하게

주장이 섞여있음을 보게되고... 십여년이상 지난 찌라시를 발견하는 듯한 느낌이 스친다. 그리고 한 친구

는 회의가 끝난 뒤 뒤풀이자리에서 메이데이 자료를 판다.  손바닥만한 얇은 자료에 15년이 훌쩍지난 문

구들이 베겨있다.

 

조금만 내려오면 바뀐 것이 없는 것일까?  불쑥 나이가 수시로 종이를 접듯 접혀 끊임없이 유통되고 왕래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나이를 사이에 두고 쓸데없이 장벽들을 두고 있는 것은 아닐까?

 

열정과 솔직함, 격한 감성들에 베인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가을산 2004-04-29 22: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 '다*께' 만드는 친구들, 상당히 열정적이죠. 에너지 넘쳐요. 대전에서만도 무슨 행사때마다 늘 한쪽을 채우고 있는 것 같습니다. 잘은 모르지만, 대학생 중심의 젊은 그룹인 것 같고, 좌파이면서도 노동운동보다는 반세계화, 반자본 운동에 중심을 둔 것 같습니다. 지난 세계사회포럼에서의 모습은 참 인상적이었습니다. 정말 " 열심히 ***** " 살더군요. (열심히에 별 다섯개입니다.)
여울마당님께서 말씀하신 토론회가 어떤 모임인지 모르지만, 저희 모임도 반세계화 관련 주제였는데, 저처럼 '온건, 중도'인 사람이 목이 메어서 사회를 보기 힘들 정도였답니다.
<--- 저의 경우 이런 주제와 우리의 일상이 '자아 정체성의 혼란'을 부채질하는 요인입니다.

여울 2004-04-30 09: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을산님이 사회를 보셨군요. 토론회는 가을산님이 주관한 토론회였습니다. 수고 많으셨군요. ㅎㅎ

비로그인 2004-05-09 23: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열심인지는 몰라도 나이 고하를 막론하고 미세한 생각의 차이도 견디지 못한 청춘들임에는 틀림없습니다. 그래서 '열심'도 괘씸하게 느껴지죠. 그런 열정에는 동조자보다는 구경꾼이 필요하지 않나 싶었습니다.
전체 이념스펙트럼에서 보면 좌파 중에 극좌라고 보여지고 좌파 내에서는 극우계열이 아닐까 싶어요.(냉소적인 평가인지는 모르지만...) 맑시즘으로 보면 트로츠키 계열이었던 모양인데 어떻게 변신을 해서 다X께가 되었는지...꾸준히 정부에게 탄압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으로 압니다. 나름대로 대중화(?)에 성공을 한 것으로 보이긴 하는데 말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이런 모임에 대해서는 최대한 '거리두기'가 최고의 대안이 아닐까, 지켜봅니다.
제가 두 분 말씀하는데 뜬금없이 끼어들었습니다.


여울 2004-05-06 22: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댓글 감사합니다. 가끔 놀러 오세요. ..
 

모임이 겹친다.

좋은 날이 있는 모양이다. 혹시나 했는데,  4곳이 겹쳐버렸다.

아침 마눌님께 한 곳을 부탁?드리구. 나머지는 쪼갤 수 없다.  가서 듣는 것이 체질상 맞지만?

올인 모임에 힘을 보태기로 한다.(4/27 참터 회의-신,이...친친에서 저녁식사. 오늘은 세부준비회의)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가을산 2004-04-28 10: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흠.. 그럼, 오늘 저희 초청강좌는 못오시겠군요.

여울 2004-04-28 12: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에...! 흨~ 맘이 몇갈래로 나눠지는 생채기의 고통 아시죠?! 잘 치루시길 바랍니다.
 

 

1.

올인하여야 할 것 같다. 몇달간 어제 그다지 신경을 쓴 것 같은데, 꿈결에서 그 주변을 맴돈다. 그 덕분에 하루살이 아침형인간이 되어, 다시 선잠을 자는데 또 신경이 곤두선다. 300-30 집중에서 성장통을 위한 분산! 하고 싶은 일, 할 수 있는 일이 창발적으로 나올 것이고, 그에 따른 집중관리 인원도 있으니 부족한 것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왜~ 괜한 걱정과 설레임이 교차하는지 모르겠다.

2.

스케줄 : (복안) 3년 프로포잘대로 간다. 집중하여 기본 사무국운영이 되도록 한다. 최소단위와 역할분담. 하지만 논의뒤 속내와 판단을 확인한 결과, 의견차이가 별반없다. 그림그리고 채워넣은 방법은 동의하지 못한다. 할일을 최대한 브레인스토밍하고, 하고싶은 일을 나누고, 이에 걸맞는 형식을 꾸리면 더할 나위가 없겠다. 그렇게 되리하 확신한다.

3.

다들 설레이고 있다. 집중력과 하고싶은 일 하게 만드는 것이 관건이지 않을까?

왕비성 6명, 1930-2050 저녁식사 겸 이과두주 4-5잔 절주. 이야기 많이... 속내 많이 나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가을산 2004-04-27 09: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올인할 대상을 찾으셨다니 부럽습니다. ^^
 

 

청주공항 일원을 정신없이 뛰었다. 예상과 달리 초반을 천천히 뛰었음에도 여전히 힘들고,

배고프고... 중간중간 급수와 간식에 허덕여야 했다. 결국 2번이나 주중 걷기... ... 힘들다.

포기하고 싶고, 회수차 타고 싶고... ... 뭐때문에 이짓을 하나 싶고... ... 마지막 남은 몇킬로미터

거리는 더욱더 아득해 보인다.  구십구프로는 고통의 연속이었다. 아니 포 나인....마지막 골인점을

통과할 찰나만 뭉클할 뿐. 남들은 몇달만에 첫풀을 도전하지만, 1여년이 지났으니 요령도 생기구

편해지고 싶은 심산이 큰가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배바위 2004-04-26 20: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축하. 축하. 드디어 첫 완주를 했구나... `뭐 때문에 이 짓을 하나` 싶은 그 심정 실감난다. 나도 똑 같은 심정이었는데.. 다 끝내고 나니 또 다시 뛰게 되더구나.. 즐기는 달리기로 행복해지길!

waho 2004-04-30 16: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대단하시네요...전 운동과는 담 쌓고 살아서...
 

○ 몸내기 스트레칭 간단히 한 뒤 시계방향
1랩 6.9 km 6'23"/6'04"/5'30"/5'40"/5'50"/5'40"/5'** 계 40'22"
○ 몸달기 스트레칭 및 *장실...약 10' 뒤
2랩 6.9km 2km 10'07"/14'30"/19'10"/24'03"/28'53"/33'10" 계 33'10"
○ 몸맺기와 풀기 2km 질주, 옆으로,뒤로 까치걸음...질주 섞어서 13'
-------------------------------------------- 15.8km 86'32"

1. 숙원사업이었던, 말도 많았던 신규 플랜트에 우리공장 유치가 확정적이다. 지난 한해 동료들이 생고생하다시피 하였는데 다행이다.

2. 3런에 주피터!님표 뽕달 실험에 들어가본다.

3. 1랩은 경제주로, 2랩은 템포런 수준으로 조건 변화를 주기로.

4. (1랩) 마음을 비우고 몸이 가는 것보다 반보 늦게 마음을 따라가게 하고 무의식의 원초본능 나무 숲에 마음을 주고... ... 2KM 까지 들쭉날쭉하지만 이후에선 편안해진다. 옷깃, 발끝..한몸이 된다. 어제보다 컨디션이 좋아 쭈욱 이어진다. 4KM지점까지두. 천천히 무리하지 않고....된다.

5. (2랩) 과연 속도를 올리면 될까? 언덕은 부지런히 내리막은 보다 바지런히... 2KM, 3KM 지점도 아무런 반응이 없다. 조금 힘이들어서 인가? 아니면 애초 기대하기 어려운 것인가? 그러나 반응은 조금 늦게 나타난다. 4KM 부터 몸은 이제 속도에 익숙해지는가 보다. 호흡도 안정되고, 달림도 편안한다. 쭉쭉. 주피터님이 붙인 명상의 그늘 코스에서 무념무상이다. 쭉쭉. 높인 속도에서 맛은 더욱 짜릿하다.

6. (실험노트) 조건의 간섭을 없애려 1랩과 2랩의 간격을 두었는데, 재현성이 있을지는 의문이다. 하지만 속도를 높이면 거리상으론 더 먼 지점, 시간상으로 어떨지 모르겠지만. 더욱 고조된 느낌을 얻을 수 있는 것 같다.

7. 잔설로 주로에 기대고 싶은 나무들 몇그루가 상처에 내동댕이 쳐져 있다. 바다를 보면 다 안아줄 것 같고, 나무를 보면 품에 들어가고 싶고, 안고 싶은 것일까? 유전자가 90%이상 같다는 말이 사실이겠지? 우리 몸은 늘 숲을 원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무의식 중에... 옅은 새순들이 물이 있는 곳으로 고사리 손을 내밀고 있다. 봄비 한번 오면 고사리 손들의 열렬한 환호에 적잖이 당황할 것 같다. 주로를 달리는 맛은 한껏 날테고. 다음주가 기대된다. 이어 목련이 피며...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