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은 일제 타도를 위해 언론.문학.사학.대종교.아나키즘.의열단 등 가능한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여 싸우며 오늘날 우리가 새겨둘 참 지식인의 전형을 보여준다.


386-3(3.1운동), 8(8.15), 6(6.15공동선언)- 과제는 여전히 현재에도 그대로 남아있다고 박호성교수는 말한다. 너무도 쉽게 외래사상에 전도되는 현실을 보면서, 어쩌면 현실의 반보 전진을 위해, 필요한 모든 사상을 내것으로 소화-실천하려했던 신채호 선생의 삶은 너무 비장하다. 저자는 멀리 체게바라에서 찾을 것이 아니라, 가까운 우리 안에서 찾지 못하는 아둔함에 일침을 가한다. 그리고 그말로 부끄러워진다. 지척에 출생지와 묘소가 있다지만, 한번도 찾아가지 못한 불찰도 말이 아니다. ,

근대사마저 관심도 없고, 해방전후사의 인식만 책동냥한 주제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386과제는 현실에 살아있다.  과거청산은 발전적 과제?는 아닐지 모르지만, 면면히 살아있는 것을 가려내고 골라내는 작업은 지금 현재를 위해서도 대단히 중요한 일인 것 같다. 안개처럼 모든 것이 아무것도 아닌 냥 감춰진 현실에서는 더 더욱 그러한 것 같다.

신용하교수는 여러 사상을 흡수하는 가운데 신채호만의 공통된 특징을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1. 타협없는 완전독립,절대독립 2. 강렬한 '자유사상'-무정부주의자였을 때에도 '절대자유'를 추구하였다. 3. 강렬한 '주체성'이다.-'문화적 사상적 주체성' 4. 집요한 '진보사상'이다. 5. 열렬한 '전투성'이다. 6. 뜨거운 '민족애'이다.

지금 신채호 선생이 젊은 나이로 살아있다면, 이 공통된 원칙을 가지고 어떤 일을 가지고, 무엇을 내것으로 만들고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래도 황우석을 믿느냐: 믿지 않느냐?가 8:2더군요. 집단의식은 전혀 문제를 떼어놓고 보려하지 않는 것 같아요. 일상의 문제로 가져올 생각이나 분리된 문제로 여길 생각은 전혀없더군요. 동네수첩이나 돌려보며 비어있는 꿈맞추기에 전염된 듯 보입니다. 멋모르는 사춘기연애처럼, 집단의식의 퇴행 시점과 결과가 두려워지기만 합니다. 어떤 형태로 어떤 모습으로 나타날지 ....말입니다.  ...월드컵 특수가 만만치 않게 예상되는군요. 하지만 광장이라기보다 국가주의 모습을 띠게 될 것 같군요. 16강에 진출하지 못한다면...그 퇴행은?? 선거국면도 예상보다 선거운동하기가 쉽겠군요. 확실한 아이템하나 잡아서 맘을 거기에 끼워넣으면 될테니까? 아무튼 여러가지로 걱정되는 모습이 많군요....

제 눈이 의심스럽네요. 다른 곳의 여론조사 결과도 그런가요? 정말이라면 당혹스럽네요.??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여울 2006-01-13 16: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의랭킹에 스크랩 | 블로그담기 | 외부홈피에 랭킹담기 인쇄 | 메일 | 신고  

2006-01-12 핫랭킹 1등
총투표자 3,666 / 의견 97 / 조회 20,253
황교수, 줄기세포 6mm자랐다 믿어 말어?

8자이내의 한글 
6
님  2006-01-12 10:06

황우석 교수가 12일 오전 기자회견을 갖고 서울대 조사위원회 발표와 관련한 공식 입장을 밝힌다.
황교수는 줄기세포가 없다는 조사위의 발표와는 달리 자체적으로 배양했다는 미공개 줄기세포주 2개를

공개할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예상된다.

 
황 교수는 또 논문 조작과 줄기세포 바꿔치기 의혹에 대해서도 노성일 미즈메디병원 원장과 윤현수
한양대 교수 그리고 김선종, 박종혁, 유영준, 이유진 연구원 등 6명의 공모 가능성을 언급
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황교수의 반박에 대해 당신은 믿으시겠습니까?

투표가 진행중입니다. (2006-01-12 ~ 종료일 없음 ) 총투표자  3,666

3,148명(86%)

믿는다 : 줄기세포는 있다! 못믿는다 : 거짓말은 거짓말을 낳는다

518명(14%)

※ 비로그인 투표수 2662개 | 로그인 투표현황 보기


여울 2006-01-13 16: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설문&투표 > 사람과 이슈 > 시사랭킹
 
나의랭킹에 스크랩 | 블로그담기 | 외부홈피에 랭킹담기 인쇄 | 메일 | 신고  

2006-01-12 핫랭킹 2등
24
총투표자 2,462 / 의견 125 / 조회 6,916
황우석 교수에게 재연기회를 줘야한다고 생각하십니까?

news  님  2006-01-11 18:08

 

투표가 진행중입니다. (2006-01-11 ~ 종료일 없음 ) 총투표자  2,462

yeowul 님은 '반대' 에 투표하셨습니다.

1,990명(81%)

찬성 반대

472명(19%)

※ 비로그인 투표수 581개 | 로그인 투표현황 보기


여울 2006-01-13 16: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설문&투표 > 사람과 이슈 > 사회이슈
 
나의랭킹에 스크랩 | 블로그담기 | 외부홈피에 랭킹담기 인쇄 | 메일 | 신고  

2006-01-12 핫랭킹 3등
총투표자 1,135 / 의견 22 / 조회 1,931
황우석박사 12일 기자회견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간지러용 
2
님  2006-01-12 12:07

 
 황우석박사의 기자회견이 있었습니다. 그 내용은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바꿔치기에 대해 배양을 담당한 미즈메디측이 줄기세포배양에 실패하자 이를 은패하기위해 미즈메디의 수정란줄기세포로 바꿔치기한 것으로 추측하며 이들을 신뢰한 황박사팀은 조작사실을 알 수 없었다.-
 
 ②. 황박사팀의 기술수준은 여전히 세계최고이며 독보적이며 뉴캐슬대와는 비교불가수준.-
 
 ③. 2004년줄기세포는 분명히 있었고 박연구원이 확인.-
 
 ④. 2005년 논문의 경우 (사이언스지에 제출마감일이 임박해) 오염사고가 일어나 6개가 훼손되고(2개는 미즈메디에서 보관해 건짐) 이미 다른 6개가 형성단계에 있어 총 12개를 수립했다고 판단했기에 미즈메디연구원의 보고에 따라 이를 모두 줄기세포로 확신한 자신들로서는 조작이 아니었다는 내용의 완곡한 표현.-
 
 ⑤. 사용된 난자수는 공급된 난자중 일부만 사용되므로 논문기재수가 맞다.-
 
 ⑥. 인간유전자무균돼지줄기세포확립 및 특수동물복제성공등 새로운 연구성과획득.-
 
 ⑦. 재연실험에 6개월여 소요. 지원있을시 단축가능.-
 
 ⑧. 대국민사과와 모든책임은 황우석박사가 질 것이며 연구원들에 대한 선처 및 기술유출방지를 당부.-
 
12일 오늘 황우석박사의 기자회견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투표가 진행중입니다. (2006-01-12 ~ 종료일 없음 ) 총투표자  1,135

142명(13%)

반성의 기미가 없으며 연구팀 전원에게 철저한 책임추궁이 필요하다 황박사를 신뢰하며 연구의 빠른 재개에 전폭적 지지를 보낸다.

993명(87%)

 

 

 삼일째 계속이다.

 060111 일터 회의 뒤 한잔, 내가 타겟이었다.  몸도 으슬으슬하고 힘든데, 회의 뒤 저녁 모임이 생긴다. 많은 인원이 참석했는데, 이상하게 의견이 나에게로 모아진다. 인사철, 진급대상자 가운데 하나인 나도 여러가지로 생각을 편하게 갖으려 해도 쉽지 않던 차였다. 그런일로 *장은 본사를 다녀왔고, 저녁 회식을 틈삼아 그 이야기를 하려는 기세였다. 각박한 세상, 일터도 압박감이 날이 갈수록 드세진다. "기술자중 한사람이나 될까? 희망이 없는 것 같아." "노**, 너무 철학자 같아" "적도 많은 것 같고.." 미리 다짐을 주려고 자리를 만든 모양이다. 꽤나 많은 술을 주고 받고...( 여전히 하고싶은 일과 하는 일의 경계선, 시간을 언제까지로 잡을 것인가가 고민이지만, 마누라 덕을 보고 딴 일하는 것이 꿈이긴 하지만,  진로에 대해 고민을 품게되는 나이가 된 것이다.)

인사로 인한 불편한 관계, 1-2달의 공백기간이 잠자는 내내 겹쳐진다. 별로 경험하고 싶지 않은 그 기억들이 있어서 말이다.  나를 불편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은 분명히 있다.(원칙적인 편이라..) 하지만 그들이 나의 일터에 대한 애정마저 왜곡하는 것이 더 큰 부담이고, 그 생각들, 현실적인 힘들이 버젓이 존재한 상태에서 1년을 보내야하는 것도 만만치 않기때문에, 그 불편함을 몸은 싫어하고 있는 듯했다. 미리 알려주는 고마움. 반전의 기미는 전혀 없는 듯했다.

 

060112 여전히 몸은 몸살기운으로 시들하다. 저녁 아카*미 모임인데 그 책들은 미리 보아두었고, 새로운 책들은 눈이 들어오지 않는다. 피곤함에 술까지 깜빡깜빡 졸기를 몇번 했다. 퇴근 무렵, *장는 밖에 다녀오면서 소식을 받았는지 ' 좋은 소식' 있을지도 모르겠어, '잘하면 될 것 같아'라고 언질을 준다. 잠시 뒤, 공고문이 떴다. 축하인사, 축하 술,(물론 모임도 가질 못했다.) 나를 비롯한 작년 대형 사고친 멤버들이 누락되지 않았고, 기술자들도 배려되었다.  일자리도 없는 사람이 많고, 일자리를 보전하는 것도 힘든 세상에 너무나 작은 것으로 고민하는 나, 역시 소시민에 소심파의 일원인가보다. 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060107

060110  외줄타기

 왼 편은 문화

오른 편은 제도화

전제는 변화

맘 중심은 문화로

하지만 문화는

열에 아홉, 밑둥이 없는 빙산

지칠 줄 모르는 울림만

속절없는 메아리만 부딪네

 

전*동 사*라에서 일곱분이 맘을 나누다. 신*동에서 나머지 다섯, 그리고 둘 시간을 나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도 새벽 속살은 동네한바퀴 돌아올 쯤 감청에서 연청으로 물든다. 하지만 잘못 본 듯하다. 오늘은 어제와 달리 아침은 언제그랬냐는 듯 하얗다. 흐린 아침이 마치 새벽 색을 바꿔버린 듯 호들갑이다. 아침 땀으로 몸을 깨워주다. 출근 길 아침해가 곱다.   060109 7.5K,   060110 8K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