フル·コン 6 (CR COMICS) (コミック)
기타하마 카부토 / ジャイブ / 200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런 내용입니다.. 아니, 진짜에요. 절반 정도는 맞음. 여동생이 남친 있다고 하니까 절라 쇼크 먹던데 ㅋㅋ 예끼 이놈아 여친 있으면서 왜 이래. 여동생과 결혼할거니?! 여동생 쥬카가 아무리 예뻐도 그렇지.




자뻑 스타일의 남주이고 액션물 주인공이다보니 마초 성향은 피할 수 없는 듯하다. 특히 여자가 극구 싫다고 하는데도 무대포로 달려드는 츠루기를 보면 애잔함을 넘어서 섬뜩함까지 느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나무위키는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던데 굳이 설명하자면) 요리를 잘하는 남자들을 테마로 잡은 걸 보면 성인 여성들에게 인기를 얻어보려는 거 같은데, 이 못말리는 일본 마초 제작진들은 대체로 여성들이 어떤 남성에게 반하는지에 대한 감을 전혀 잡지 못한 듯하다 ㅡㅡ.. 뭐 사실 대체로 여성들의 취향이란 매우 제각각인지라 저렇게 다양하게 컨셉 잡는 게 맞을 듯도 싶지만 메이크업 아티스트의 그 오바는 좀() 제작진들도 이건 좀 아니다 싶었는지 곤과 레나 이야기가 등장할 때 잠깐 시리어스로 훅 가버리더니 결국 버려진 캐릭터로 남겨진 듯?

어둠의 존재라는 메뚜기 형제도 쫌.. 아무리 여성들이 BL 전개를 좋아한다고는 하지만 그렇게 찌질한 것들끼리 합쳐지는 모습을 보자는 게 아니야. 찌질수면 능력공이 있어야하고 찌질공이면 시니컬수가 있어야 한다고 ㅠㅠ BL 설정처럼 갈 거면 최소한 케미라도 고민해봐야 하는 거 아니냐?

아무튼 두 외계인 세력들 사이에 낑겨서 사실상 살아남은 인간은 몇 명밖에 없다는 꿈도 희망도 없는 설정과 가면라이더 시리즈 중 매우 드물게 사랑(근데 이게 사실상 츠루기 때문이긴 하다. 그래서 그나마 그 마초들 중에서 최애를 굳이 고르자면 츠루기 캐릭터다.)을 다루는 희귀한 시리즈임에도 불구하고 생각보다 별로였다. 걍 보면서 ㅈㄴ 블레이드 다시 재탕하고 싶더라. 블레이드가 욕 엄청 먹는 걸 보고 기대 안 했는데 시청해보니 미친듯이 재밌던 걸 생각하면 예상을 깨는 작품으로는 둘이 서로 맞는 구석은 있는 듯하다. 블레이드와 대척점에 있긴 하지만. 카부토에선 OPED마저도 심금을 울릴만한 포인트가 없었는데 블레이드하면 바로 각성 생각난다는 점도 차이 중 하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옥중화 주해 전주대학교 한국고전연구소 연구총서 8
이해조 지음, 황태묵 외 옮김 / 흐름(디자인흐름)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니 근데 자세히 보니 이거 근친3P물인데요(그런 점에선 성지헌이 유리하긴 했는데 당한 처지가 넘 안습한 데다가 옥녀가 그의 할아버지를 친아버지까진 아니고 거의 찐아버지처럼 느끼고 있어서 오히려 명종이나 윤태원보다도 더 맺어지지 못할 듯..)?;; 이렇게 막 나갈 거 차라리 순수공 명종X츤데레수 윤태원 BL은 어떻습니(퍽)

전남친이 등장인물 픽픽 죽어나가는 드라마라 해서 봤는데 중반에 가서는 생각보다 그렇게 많이 죽진 않고 심리전으로 간다. 다만 어린 옥녀가 태연하게 사람 죽이는 거 보고 식겁하긴 했다(...) 심지어 등장인물들이 그걸 알고 있으며 개그소재로 사용하기까지 한다. 스토리 중 코로나 예언보고 약간 놀랐다. 더이상의 말은 아낀다.. 성인판 옥녀가 아동판 옥녀에 비해 너무 연기력이 딸려서 적응이 안 되는데, 그래도 중반부터는 아주 조금 나아지니 참고 보길 바란다.

이 드라마 정준호가 윤원형이라서 너무 겉보기에 착해보이는 것 같다는 페친의 의견이 있었다. 개인적인 의견으론, 그나마 사람이 마구 죽어나가는 설정에선 잔인성을 순화시키는 얼굴이 아닌가 싶었다 ㅎ 저절로 수위가 15금 정도로 낮춰지는(...) 그리고 그걸로 인해 안 보기에는 전우치라던가 엑스트라들의 비중이 너무 매력적이다 ㅋㅋ 웃음을 유발하는 두 가지 부분이랄까. 특히 여기선 지천득이 옥중화란 판소리를 지휘해나가는 소리꾼같은 존재인데, 이름에서도() 그 존재감이 확연하다고 할까. 피천득 수필 싫어하는데 다시 읽고 싶다는 마음이 새록새록 들었다.



하여간 나도 윤원형이 너무 잘생기고 젊게 나와 놀랐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정준호 꽤 어울리는 편. 사실 이 분도 무척 보수적인 인간임. 어떤 의미에서 보수적이냐면, 여자에 대해서 남자보다 아래란 생각도 갖고 있고(물론 드라마상에서. 실제 윤원형은 정난정에 대해서만은 엄청난 애처가였다고 함.) 정치적으로도 채널A 프로그램에 출연해서 자신의 생각도 피력할 만큼 보수란 뜻. 옥중화에서 그런 면모가 노골적으로 드러나서 보는 사람이 진보적 성향을 갖고 있다면 불편할 수는 있겠지만, 난 윤원형하면 한동안 정준호 이미지가 떠오를 것 같음.

그리고 마마(근데 그 드라마도 따지고보면 악역이었음)나 스카이캐슬에서 이미지를 탈피해서 그렇지 이 분 초기엔 악역 역할 베테랑이었음. 옛날 영화나 드라마로 데뷔할 때는 조폭 연기 꽤 많이 했었고 출연작 확인해보면 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메시아 예수의 복음 - 평신도와 목회자를 위해 쉽게 쓴 마가복음 주해서
신현우 지음 / 킹덤북스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직원들은 쉬면서까지 점보러가는데 나는 그러지 않는다. 내가 종교인이라서 그러느냐고 물어보는데, 그렇지 않다. 나도 젊었을 때는 타로점도 봤고 오컬트에도 관심이 많은 편이다. 단지 나는 그런 걸 나에게 적용하는 게 싫을 뿐이다. 이 작품의 주인공이 그렇듯이 생판 모르는 남이 말해주지 않아도 내 약점을 안다는 게 기분나쁘다. 애초에 내가 기가 쎄서 그런지 점술가들이 점을 잘 안 봐준다. 무려 옛 애인의 할머니에게 이런 곳에 왜 오냐고 쫒겨난 적도 있다 ㅋㅋ 기타 기가 쎄서 여기에 있으면 안 된다는 둥, 성형수술로 미녀가 된다면 세상을 주름질 텐데 참 아깝다는 둥 점술가들의 나에 대한 이유없는 혐오는 끝이 없어라 ㅠㅠ

아무튼 종교인에 대한 비종교인들의 혐오는 거의 다 이 드라마에서 접한 것 같다. 주인공들의 말투이던, 종교에 대한 혐오적 접근이던 간에 말이다. 그러나 결국 종교를 믿는 사람들도 개인이 자신의 인생을 선택할 자유가 있지 않을까? 예를 들어 내가 점술가를 왜 믿는지 모르겠다며 비종교인인 직원들에 대한 혐오발언을 하지 않듯이 말이다. 그러나 비종교인들은 내가 점을 안 보는 이유가 종교인이기 때문이라고 먼저 선입견을 갖고 다가오는 것 같다(물론 여기 나오는 비종교인들에게는 각자 자신만의 문제가 있으나 그런 동정론을 펴도 종교인들에게도 각자 자신만의 문제가 있으므로 불쌍하다거나 그런 마음 눈꼽도 안 들 뿐더러 애초에 의미가 없음..). 알마시히가 종교적 발언을 많이하는 건 사실이나, 알마시히를 숭배하는 사람들 모두가 그가 베이스로 삼고 있는 종교적 세계관을 파악하고 있을까?

이 드라마를 구경하는 관객들의 시선이 너무 단순한 게 제일 큰 문제다. 알마시히가 미국 대통령을 접하고나서 갑자기 성격이 변모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건 명백히 알마시히가 정치와 관련되어 있다는 메시지를 드러낸다. 그렇다면 그는 여전히 신인가? 근데 또 그렇다고 해서 그가 행하는 기적이 가짜라고 매도할 이유는 없다. 오히려 우리는 애초에 우리가 섬기는 신이란 게 무엇인지부터 조명해봐야 한다. 이는 플래티넘 엔드라는 작품과도 연관된다. 이 작품에서는 이 드라마보다 더 나아가서 우리가 섬기는 신의 능력 자체만 보면 크리쳐가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결말이 흐지부지하여 퍽 아쉬운 작품이지만, 이런 의문 자체는 훌륭했다. 시즌 2가 나오지 않는 이유가 예술의 자유에 대한 억압이라면 퍽 아쉬운 상황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즌 1으로도 그럭저럭 만족스러웠다. 이제 더 진화한 작품의 등장을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Changing Garo Adivasi culture of Bangladesh (Paperback) - The Changing Garo Adivasi culture of Bangladesh: A case study of Marriage Rituals'
Islam, Md. Rafiqul / LAP Lambert Academic Publishing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주인공은 애송이지만 주인공 팀 중 여자 밝히는 금발머리가 있어서 초반 내용이 거의 포르노급이다(...) 마초 업계들은 대체 왜 남자가 다 벗기만 하면 여성들을 혹하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걸까? 벗어도 맥락이 있는 거지 적나라하게 이 여자 저 여자 건드리는 시정잡배인데 얼굴 이쁘면 뭐함. 별로 이쁘지도 않긴 하지만.

근데 가끔 일드 특유의 그 감정 과잉 장면(주로 금발머리가 함)이 넘 소름 돋음 ㅋ 한국 막드도 엄청 감정 과잉 연기가 많이 나오긴 하지만 자연스러운 연기를 과장되게 한다면 이건 아예 부자연스럽고 인위적인 장면이 튀어나오는 것에 가까운데... 그냥 드라마를 이렇게 만드는건가 아니면 뭔가 실제 생활에서도 저런 과잉의 순간들이 있는건가. 가끔 일본은 정말 알면서도 모르겠다.





2. 솔직히 이렇게 특촬물 드라마에서 내노라하는 배우들이 줄줄이 등장하는데도 재미가 눈꼽만큼도 없는 드라마는 처음이다. 역시 연출이 과하기 때문인지. 아무튼 대표적인 배우로 가면라이더 가이무 미츠자네 역할을 맡았던 애를 꼽을 수 있다. 얘는 얼굴은 잘생겼는데 왜 맨날 찐따 부호로 나오냐 ㅋㅋ

3. 가로 3기가 그래도 가로라고 불릴 수 있었고 이후로도 계속 가로의 명맥을 유지하고 있던 까닭은 메인 악당들의 연기력이라고 생각한다. 주인공들이 발연기하면서 시청자들의 수명을 깎아먹고 있을 때 악인들이 활개치면서 가로를 다시 살려주는 기이한 밸런스. 특히 카네시로가 '그 녀석'의 말로는 가히 충격적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이다. 난 스포당했지만(...) 혹 새로 가로를 접하는 시청자가 있다면 열심히 피해가시길. 기대해도 좋다.

4. 4기에서는 외전 좀 줄였으면.. 어떻게 24편 중 2편이 연달아 회상장면이냐. 장난이 아니라 정말 하품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4K 블루레이] 덩케르크 (3disc: 4K UHD + BD + 보너스디스크)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 톰 하디 외 출연 / 워너브라더스 / 201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국 중간에 엇갈려버리고 마는 커플. 그러나 나는 처음으로 여자 분이 옳은 결정을 했다고 여겨진다 ㅎ 약간 배리가 오쟁이 진 남자처럼 되어버리긴 했지만(...) 어떤 결과가 되어버리건 간에 자신을 함부로 대하는 사람과는 거리를 둬야 한다. 묘하게 감이 좋은 여주 친구 분이 먼저 알아차리고 주의를 준 사항이긴 하지만.

시즌 2와 시즌 3 간의 텀이 길어서 그런지 아직 누구도 번역하지 않은 듯하다. 기왕이면 기다렸다가 번역될 때 보길 바란다. 나는 내 영어 실력을 너무 믿어버려서 결국 어중간하게 스포일러 받은 것처럼 되어버렸다; 생각해보면 이 드라마는 스토리 전개도 흥미롭지만 등장인물들이 하는 수준 높은 농담들도 진짜배기였는데 ㅡㅡ 제대로 이해 못한 농담들이 있다보니 뭔가 놓친 듯한 느낌이 든다. 묘하게 세상을 풍자하는 듯한 느낌이 드니 공부하시는 분들은 한 번쯤 번역해봐도 괜찮을 듯합니다 ㅎㅎ 누가 좀 해주세요.. ㅠ

그런데 이렇게 스토리를 막장으로 만들어놓으니 이 드라마를 좋아했던 나의 열기가 조금 식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아까 이야기했던 고품격의 대사도 있고 막장 스토리 말고 이 드라마의 매력은 아주 많은데.. 특히 배리가 선생에게서 연기 수업을 끝내고(암살자라는 게 들통나서이지만.) 어설프게 연기를 시도하다가 취업에서 미끄러지는 이야기가 빈번히 등장하기 때문에 배리의 연기씬이 줄어들었다고 해야 할까. 점점 액션물에 치중하다보니 반전 빼고는 이야기가 루즈해지게 되었다. 시즌 4가 재밌을지는 글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