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Q246 華麗なる事件簿(上) (單行本(ソフトカバ-))
脚本 泉澤陽子 栗本志津香 木村凉子 / 扶桑社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국 사람에게 마음이 있는 이상 완전범죄란 정말 철저히 무리인듯. 공범자가 있어도 있는대로 서로 다투니까 힘들고 혼자 있으면 뻘짓하게 되고. 하긴 그게 사람이라서 그렇지.

생각해보면 책을 잡기 전의 내가 기억에 없다. 그러니까 내가 기억하는 나는 줄곧 철이 들어있던 셈이다. 처음 집은 책이 나의 라임오렌지나무였으니까. (무려 주인공격이 기차에 치여죽는...) 아무 생각없이 사는 젊고 이쁜 애들 보면 부럽다. 8화의 그 심정 이해할 것 같다.

그러나 살인 동기가 너무 취약함. 솔직히 1화에서 7화까지 보면서 '저 정도면 저 범인은 아침에 일어나서 이 닦다가도 아 사람 죽이고 싶다 생각하겠네'라고 계속 생각했었다. 아무리 그 연결고리를 마련해준 사람이 마리아 T라곤 하지만 이 드라마 작가 사람을 무지 안 믿는 듯.

 

 

오랜만에 탐정(?)물 보는데 굉장히 흥미진진했다. 주인공이 반취미로 범인을 추리해내는 장면이 마치 에드가 앨런 포 소설을 보는 듯했다. 추리에 모든 스토리의 힘이 집중되지 않은 것도 그렇고.

최신 드라마라 그런지 굉장히 과학적이다. 생물은 물론이고 화학 쪽이 주로 나온다. 어느 팟캐스트 방송에서 우리나라 탐정소설을 다루면서 진행자가 '좀 더 최신기기를 이용하지 않는 게 아쉬워요. 요즘엔 CCTV에 다 나올텐데 확인하면 안 되나?'라고 말했었다. 그런데 바로 이 드라마에서 IQ 300의 범죄자가 CCTV를 사용하여 신출귀몰 날고 긴다. 주인공이 항상 그걸로 뒤통수 맞음. 나중에 얘기하겠지만 옛날 골동품 물건 선호한다고 다 좋은 게 아녜요 여러분. 아무튼 우리나라 드라마도 이런 세련된 탐정물이 있었으면 좋겠다 생각했지만 최근에 나온 드라마 잠깐 보니 아직도 탐정과 범인이 지하감옥에서 흙탕물에 뒹굴면서 몸싸움중이시더라. 하젭알...

작가가 경찰에 원한있나 싶을 정도로 경찰이 무능하다. 이 점에선 좀 호불호가 갈릴 것 같다. 8화부터 심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고화질세트] 와카코와 술 (총4권/미완결)
신큐 치에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17년 12월
평점 :
판매중지


애당초 왜 술을 마시는 데 이유가 필요해요?

 

1. 일본 사람들은 레몬 뿌려먹는거 진짜 좋아하는 듯. 항상 음식에 레몬 아니면 라임이 올라감. 그치만 아깝지 않나요? 그것도 음식인데 뿌리면 같이 먹지.
2. 보통 고로케 줄 때 '옆이 트여 있으니 조심하세요' 같은 말 한국은 잘 안 하는데 나도 평생에 한 번 들어본 거 같음. 놀라서 쳐다보니까 주인이 당황하면서 '떨어뜨릴 것 같으니까요' 라고 하심. 살면서 한국 사람들의 무신경한 말투에 '이 사람이 날 싫어하나?' 라고 생각할 때가 한두번이 아닌데 어머니는 내가 너무 과하게 신경쓰는 거라고 하심. 그렇지만 외국 사장님 중 친절하신 케이스를 꽤 많이 봐서 난 한국 사람들이 굉장히 서비스가 불친절한게 아닐까 생각함. 백인들은 더하다고 하는데, 잘 보진 못했지만 거기도 고객이 이상하지 않은 이상 쌀쌀맞게 말할 거 같지는 않음.
3. 한입에 먹게 만든 메뉴가 많음. 그리고 여성 고객을 배려한답시고 산뜻한 술만 자꾸 추천해주는 게 맘에 안 듬. 이런 데선 음식 많이 주고 진한 술을 추천해주는 한국이 좋은 듯. 아 그치만 그 일본주 넘쳐도 되게 잔에 되? 같은 거 받쳐주는 건 살짝 부럽더라. 남자들은 식당 주인이 여자에게 말 한마디 안 하고 술 잔뜩 따라줄 때 그런 행복한 느낌 모를려나.

 
 

 
와카코와 술은 심지어 남친이 있는 직장 여성조차 혼자서 술을 마실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서 숨어서 술을 즐기는 (나같은) 모든 혼술여성들에게 한 줄기 희망을 보여주고 있다. 등산하고 막걸리 한 잔 두둑히 걸치고 온 남성들 욕하는 우리나라 꼴페미보단 수준이 높은 편.
그렇다고 와카코와 술에서 단점이 없는 건 아니다.
1. 꼰대 아저씨의 치근거림을 미화시켰다.
2. 여자력이란 말 존내 거슬림.
3. 직장생활이 미화된 건 상관없다. 대기업에서 짬밥 좀 있고 잘 나가는 아가씨라면 뭐... 근데 왜 직장생활을 반성하고 있어?
그래도 "와카코야 너 직장에 나갈 거니까 술은 1/4만 마시자?"(저 오늘 쉬는 날인데요) "너 아가씨가 이렇게 많이 마시면 안돼."(하면서 왜 제 잔에 있는 술을 자신의 잔으로 덜고 계십니까) 이런 말 안 듣는 거 부럽다. 그리고 뭔가 부러워 가게에서 당당히 혼술하는 거 ㅠㅠ 나도 나중에 해봐야지.
 

 
생각지도 못한 데서 지역아이돌 애니의 고장 나가레카와 시를 만났다. 히로시마였구나. 가볼까. 뭔가 매운 소스같은 게 별로 없는 고장인 거 같은데 입맛에 맞을 듯하네.
 

 
레알 결혼식을 좀 재밌게 하던가 해야 술 마시고 먹으면서 볼 기분이 나지 영감은 무슨 교장선생님처럼 사회를 보고 축가는 노래방에서 회사원 아재들이 부르듯하면서 어머 와카코는 마시고 먹기만 하는구나~이러면 열받음 안 열받음? 맛있는지는 모르겠지만 레알 먹을 것도 쥐꼬리만큼 주고 가격은 미친듯이 비쌀텐데 먹으면 어때서. 나 같으면 밥상 뒤엎겠음. 그리고 '와카코는 언제 결혼해?' 이런 물음도 순수하게 보이지는 않음. 이제 결혼은 개인문제 아니었습니까??? 나이가 찼다고 무조건 결혼하고 그런 시대는 아닌 것 같은데.
 

 
아 너무 슬픈 일이에요.
부추전엔 막걸린데.
엄마 왠지 와카코가 카스 생맥주로 보이는 걸 마시고 있어요 ㅠㅠ
그리고 한식집에선 와아 맛있어!라고 소리질러야 함.
아무튼 코리안 타운에서 와카코가 이런 주문을 하는 장면은 이해할 수 없다. 얼마나 양 적고 맛없는 식생활을 했으면. 가격 싸고 많은 음식을 먹어보지 못한 일본인의 비애가 느껴진다. 그러고보니 일본은 확실히 다른 매체에서도 술 마실 때 안주가 많거나 아주 맛있어 보이는 걸 본적이 없는것 같다. 기껏해야 회 정도? 꼬치는 살짝 부럽지만 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Russkaya Osen (Russian Autumn) (Paperback)
Vyacheslav Voylokov /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월급 5만에 접시 닦고, 청소하고 밥 짓고, 대두 60KG 짊어질래요?

 

우리나라는 물론 일본도 패스트푸드의 산지가 되어버렸다.

아이들은 케찹이 없으면 아무것도 먹지 못하며 편의점에서 제공하는 도시락을 먹고도 사람들은 생존할 수 있다. 무작정 싼 음식을 찾기 위해 사람들은 패스트푸드를 선호하고 쓰레기는 늘어만 가며 가난한 사람들이 그 쓰레기를 먹고 죽어간다. 그러나 일본 변두리엔 옛날 요정식당이 있다. 가격은 1인분당 8만원 이상으로 결코 싸지 않다. 그러나 식기는 대나무로 만든 세심한 젓가락, 흙으로 만든 그릇. 말끔히 다 먹는다면 쓰레기는 결코 생길 수 없는 맛있는 음식들을 제공한다. 그러나 다른 시골동네와 마찬가지로 빚더미와 재개발에 시달리는 이 가게는 언제 어떻게 쓰러질지 아무도 모른다. 여기에 가게를 전전하는 성격나쁜 요리사인 주인공이 취직한다.

 

생각해보니 이 배우 가면라이더 덴오에 나왔던 분 아닌가.

 

여자한테 인기 많은 철부지 남자애라는 설정도 그렇고. 가게를 보느라 밖에 한번도 나와본 적이 없는 요정의 여주인 오센과 주인공의 썸은 흥미진진하게 전개된다. 드라마 끝까지 그 상태로만 유지되는 점도 마음에 든다.

주인공은 자기 자랑도 심한데다 직장에 대한 불평불만이 많은 편이다.

 

그런데 옛날 식의 직장들이 다 그렇다. 그때의 시급이 지금도 통하는 줄 알고 복지 그런거 존중 안 하고 그보다 최저시급의 개념도 없고 하지 않아도 될 일 다 시키고 어라 딱 내가 다니는 직장이지 않나... 한솥밥 먹는 것도 걍 애증의 관계지 가족적인 관계는 아닐 듯한데. 정말 대단한 직장이라는 생각이 든다. 사장이 젊은 게 다행이랄까; 그러나 생각해보면 현실의 직장도 최저임금 이상으로 월급을 올려줄 생각이 없다. 우리 직원들도 솔직히 최저임금만 받으면 감지덕지로 생각하고 그 이상으로 직장에 대한 애정을 품고 있진 않다. 그러나 너무 가까워져도 여러 원치않는 사건이 생겨서 꺼려지기도 하다. 적당하게 거리를 두는게 스트레스를 더는 방법이긴 하다 ㅎㅎ 근데 음식점 내에서 직원들이 다같이 자신들이 만든 음식을 먹고 있다면 그건 진짜라는 말을 들은적도 있다. 음식점이란 가게의 특징인 듯하다.

 

가장 인상깊었던 음식은 역시 마지막화에 나오는 혼카레 이야기였다. 한번 가쓰오부시 종류의 음식도 먹고 싶다고 생각될 정도.

 

그렇지만 드라마의 내용에 의한다면 최근엔 그리 맛있는 음식 종류가 없다는 듯해서 마음에 걸린다; 두부에 쓰는 콩도 고를 수 있단 얘기는 들었지만 4계절에 따라 다르다니 그것도 처음 들었다. 나는 요새 두부가 정말 좋은데, 최근 맛있게 만든 두부 구하기가 점점 힘들어지는 것 같다. 예전엔 동네에서 직접 만드는 손두부들 많았는데 요새는 ㅠ.ㅠ
이상하게 풀무원이나 이런데서 나오는 두부들은 왜 맛이 그리 맹맹하고 야들거리는지;; 맛있게 좀 만들지..(물론 가격 문제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이어 게임 12
카이타니 시노부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11년 1월
평점 :
절판


그래서 네 자신에게 빨간 사과를 넣게 할 필요가 있었던 거야.

간단히 말하자면 복지사회의 가능성을 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복지가 실현이 안 되는 상황.

이유는 3가지로 요약할 수 있음.
1. 여태까지 평범한 사람들을 등친 사기꾼들을 모았다.
2. 외딴 섬에서 게임을 진행하고 경찰도 오지 않으므로 본능적으로 행동하기 쉽다.
3. 여태까지 사무국은 게임 진행자 중 직원을 한 명씩 섞어서 넣었다. 즉 파이널 게임에서도 그랬을지 모르는 상태.
그래서 아키야마는
1. 일단 배신자가 몇 명 나오는지 파악한다.
2. 일반 플레이어 중 배신자를 한 명 골라내서 위협한다.
3. 사무국 사람을 찾아내기를 시작한다.
사무국 사람이 있다는 걸 간파했다기보단 본능적인 감 같다는 생각이 들지만.

 

 

역시나 이전처럼 서로 협력하자는 나오의 제안이 받아들여지지 못해서 나오와 신이치는 궁지에 몰린다. 신이치도 한 번 바닥으로 떨어질 때 가슴이 철렁해서 그런가 마지막이라 생각해서 그런가 나오와 스킨십 엄청 하는 거;;; (나중엔 다 필요해서 그랬다는 게 밝혀지지만 그게 라이어 게임의 묘미??)

 

일단 혼자서 승리하면 받는 상금이 50억이니 눈이 돌아갈 만한 상황이긴 하다. 또한 당장 혼자 빨간사과에 투표하면 -10억엔이 될 수 있는 상황이 있는데 불안을 느끼는 게 당연하지. 결말이 어떻게 되었는지는 직접 보시라. 뻔하지만.

결국 커플이 결성되는 플래그도 의미심장하게 나오고 끝난다. 하지만 해피엔딩으로 되었다는 건 누구나 알 수 있겠고 ㅎ 영화 엔딩까지 보면 초반에 버스비 빌려갔던 할아버지도 뭔갈 하는 장면이 나온다. 이것도 결국 사람을 믿으라는 메시지가 담긴 훈훈한 결말. (라이어 게임 관계자였을 가능성을 제시하지만.) 교훈성 있는 일본 드라마 중에선 제법 루즈하지 않고 깔끔한 결말이다. 여러분도 인생길 중에서 한 번은 바보솔직한 나오같은 인간을 발견하고 인류를 믿어보시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이어 게임 19
카이타니 시노부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15년 6월
평점 :
절판


자, 배신의 가격은 얼마나 될까요?

 

처음부터 내가 겜블 중 유일하게 좋아하는 러시안 룰렛이 나와서 맘에 든다.
 

이유는 게임 도중의 능청과 허세가 중요하기 때문. 여기서 다시 후쿠나가가 데뷔한다. 랄까 이 배우 애드립 너무 잘해(...) 신이치 역인 쇼타 능가하는 듯.

태양같은 하렘의 정점에게 라이벌 등장.

심리학을 떠나서 이렇게 자신의 상황을 적극적으로 마이너스로 만드는 인물은 처음 본다. 심리학의 열기가 아직 남아있을 때 만든 드라마일텐데, 심리학의 허점을 열렬히 파고드는 게 예언자적인 면이 있다 ㄷ 그치만 프로파일링과는 전혀 상관없는 개인적인 일을 문제로 제출한 교수는 정말 에바 ㅋ 교수의 사적인 일에 대해 교수의 부인에게 물어본 카츠라기의 행동이 형사로서는 적절할 테지만, 교수가 출제할 수 있는 과제로서는 부적절했다. 아키야마는 어차피 지난 일이니 쿨하게 끝내려는 듯하지만, 대학교에서는 교수가 무슨 변덕을 부려도 학내에서는 넘어간다는 증거같기도 해서 씁쓸하네용.

 

그 순진했던 M 나오가 이렇게 아키야마 신이치를 속이는 단계까지 발전! 자세한 설명은 생략합니다(응?)

쉽게 설명하면 나오도 점점 게임 실력이 늘어서 드디어 게임 설명이 나오면 게임의 빈틈을 파악하기 시작했다. 근데 다들 반응이 '너무 빨리 알아채는 거 아냐? 그 나오가?'...

 

 

세븐틴 포커가 가장 지능게임 짱이었다.

이건 진짜 드라마팀 갈아서 게임 만든 게 보인다. 수고했엉... 근데 아키야마 2기부터 왤케 나오에게 질척거리기 시작하냐 ㅋ 여성시청자 서비스냐 ㅋ 아무튼 스토리 넘나 대단해서 내 뇌가 따라가지 못함 으하핫... 셔플은 잘 해야 합니다 여러분.
 

 
3명과 뭐?....
세미파이널 전반전은 누가 능숙한 거짓말쟁이인가 자체에 집중되어있다. 라이어게임 답다고 할까. 얘네들 접촉하면 십자가가 늘어나 승리하는 구조라 계속 접촉접촉거리는데 엄청난 말로 들리는데 말입니다. S와 M에서 따온 드라마팀의 작전인가. 이런 상황에 안 맞는 은근한 섹드립이 파이널에서도 등장한다. 은근 이거 찾아내서 캡쳐해내는 재미가 쏠쏠하답니다.
 

 

 
좀 생각해봤는데, 라이어 게임이 사람들에게 불편한 이유는 칸자키 나오가 여자이고 아키야마 신이치가 남자인데서 나온 문제가 아닐까 싶다.
 
 어쨌던 나오는 바보이고 솔직하며, 신이치를 이용하고 있다. 신이치는 강하다. 이로 인해 결국 사람들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며 마침내 최종 보스까지 안심시켜서 함락한다는 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하지만 1기에 말했다시피, 나오는 2기에서 바보이지 않다. 이미 라이어게임을 경험해봐서 사람이 어디까지 거짓말을 고수하는지 파악하고 있다. 나오에게는 그것이 무기다. 사람들을 믿게 만들기 위해 자신을 유약하게 만들며, 그 신념을 유지하기 위해서 심리학교수를 따돌릴 것을 각오해가며 심리학마저 부정한다. 언제나 어렵게 말할 필요가 없다는 나오의 말이 이를 잘 보여준다. 라이어게임에서 칸자키 나오가 싸우는 상대는 적도, 사무국도 아니다. 그녀는 인간에 대한 자신의 신뢰와 싸우고 있다. 여기서 자기VS자기의 이론이 또 다시 나온다. 물론 게임에서 져도 상관없다는 말은 그녀가 하는 유일한 거짓말일 가능성이 높다. 어차피 라이어 게임은 누군가가 아주 많이 벌어서 분배를 해야 한다는 결정적인 시스템이 있으니까. 그러나 칸자키 나오가 바보이지만 주변 사람들이 착하고 천재라서 라이어 게임이 해결되었다는 건 터무니없다. 인맥도 실력이다. 라이어 게임에 대한 비난은 여기서 이기지 못한 패자가 비난을 하는 상황이라고 봐도 될 것이다. 다만 아키야마 신이치의 라이벌이 못된 여자인 점에 대해선 성차별이라 볼 수 있을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