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다리는 이에게

- 안도현


기다려도 오지않는 사람을 위하여

불 꺼진 간이역에 서 있지 말라

기다림이 아름다운 세월은 갔다

길고 찬 밤을 건너가려면

그대 가슴에 먼저 불을 지피고

오지않는 사람을 찾아가야 한다

비로소 싸움이 아름다운 때가 왔다

구비구비 험한 산이 가로막아 선다면

비껴 돌아가는 길을 살피지 말라

산이 무너지게 소리라도 질러야 한다

함성이 기적으로 울 때까지

가장 사랑하는 사람에게 가는

그대가 바로 기관차임을 느낄 때까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가난하다는 것은

-  안도현


가난은

가난한 사람을 울리지 않는다.

가난하다는 것은

가난하지 않은 사람들보다

오직 한 움큼만 덜 가졌다는 뜻이므로

늘 가슴 한 쪽이 비어 있어

거기에

사랑을 채울 자리를 마련해 두었으므로

사랑하는 이들은

가난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

학년 초 학비지원 신청 받을 때 예쁜 종이에 인쇄하고 코팅해서 교실 앞 게시판에 붙여두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너에게 묻는다

- 안도현


연탄재 함부로 발로 차지 마라

너는

누구에게 한 번이라도 뜨거운 사람이었느냐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해콩 2004-09-05 13: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짧으면서 강렬한 시! 그러나 요즘 아이들, 연탄이 무엇인지 알고 있을까? 혹시 사진이나 그림으로 본 건 아닐지... 세상이 변해 동일한 대상을 함께 공감할 수 없다는 건 약간은 슬픈 일이다.

해콩 2004-09-05 23: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는.. 누구에게 한 번이라도 뜨거운 사람이었을까? 내게 뜨거웠던 사람은?
 

우화의 강

- 마종기


사람이 사람을 만나 서로 좋아하면

두 사람 사이에 서로 물길이 튼다.

한쪽이 슬퍼지면 친구도 가슴이 메이고

기뻐서 출렁이면 그 물살은 밝게 빛나서

친구의 웃음소리가 강물의 끝에서도 들린다.


처음 열린 물길은 짧고 어색해서

서로 물을 보내고 자주 섞여야겠지만

한 세상 유장한 정성의 물길이 흔할 수야 없겠지

넘치지도 마르지도 않는 수려한 강물이 흔할 수야 없겠지


긴말 전하지 않아도 밀 물살로 알아듣고

몇해쯤 만나지 못해도 밤잠이 어렵지 않은 강

아무려면 큰강이 아무 의미도 없이 흐르고 있으랴

세상에서 사람을 만나 오래 좋아하는 것이

죽고 사는 일처럼 쉽고 가벼울 수 있으랴


큰강의 시작과 끝은 어차피 알수없는 일이지만

물길을 항상 맑게 고집하는 사람과 친하고 싶다.

내 혼이 잠잘때 그대가 나를 지켜보아 주고

그대를 생각할때면 언제나 싱싱한 강물이 보이는

시원하고 고운 사람과 친하고 싶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해콩 2004-09-05 13: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현경샘이 좋아하던 시.
 

너를 기다리는 동안

- 황 지 우


네가 오기로 한 그 자리에

내가 미리 가 너를 기다리는 동안

다가오는 모든 발자국은

내 가슴에 쿵쿵거린다

바스락거리는 나뭇잎 하나도 다 내게 온다

기다려본 적이 있는 사람은 안다

세상에서 기다리는 일처럼 가슴 애리는 일 있을까

네가 오기로 한 그 자리, 내가 미리 와 있는 이곳에서

문을 열고 들어오는 모든 사람이

너였다가

너였다가, 너일 것이었다가

다시 문이 닫힌다

사랑하는 이여

오지 않는 너를 기다리며

마침내 나는 너에게 가고

아주 먼데서 나는 너에게 가고

아주 오랜 세월을 다하여 너는 지금 오고 있다

아주 먼데서 지금도 천천히 오고 있는 너를

너를 기다리는 동안 나도 가고 있다

남들이 열고 들어오는 문을 통해

내 가슴에 쿵쿵거리는 모든 발자국 따라

너를 기다리는 동안 나는 너에게 가고 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해콩 2004-09-05 23: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김순희 샘이 좋다고 소개해준 시. 약간은 소녀같은 정서. 이 시를 읽으면 70~80년대 허름한 찻집에서 연신 출입구를 쳐다보는 그 역시 허름한 청년이 떠오른다. 그러고보니 그 자리에 나를 앉혀본 적은 없는 것 같다. 왜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