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얘들아? (이건 편지글이니까 그냥 편안하게 부르려고 해.)

우리가 처음 만난 오늘, 어떻게 아무런 인사도 없이 그냥 보낼 수 있겠니. 지난 며칠동안 아주 많은 말들이 입가에 맴돌았지만 그건 앞으로 서로를 알아가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할 수 있도록 남겨두고 오늘처럼 특별한 날엔 말야 아주 특별한 이야기를 하고 싶구나. 바로 '인간의 믿음'에 관한 이야기... (좀 생뚱맞지?ㅋㅋ)

우선... 우리 스스로를 믿자. 지금 내가 어떤 모습이건 나는 무엇보다 소중한 존재라는 것, 그걸 끝까지 믿자. 태어날 때 사람은 모두 순수하게 선한 마음을 가지고 태어났고 그건 숫자로 환산되는 점수, 등수, 돈과는 별개의 것이라고 생각해. 다른 사람들이 '나'에게 어떤 '값'을 매기던 상관없이 '나 자신에 대한 믿음' 하나만 있다면 태어날 때 가지고 있었던 그 순수함은 온전히 내게 남아있는 거라고 믿어. 나는 소중한 사람이고, 진실된 사람이고, 존중받아야할 사람이라고 그렇게 꽉~~ 믿는 거지. 남들이 매긴 숫자를 가지고 나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보다 슬픈 일이 있을까? 외모나, 점수나, 가정형편이나.. 그런 겉으로 나타나는 사실과는 무관하게 '너'는 아주 소중한 존재란다. 평생 가장 아껴주고 사랑해야야할 사람, 바로 자기자신이지. 남들의 어떤 평가에도 꿋꿋하게 자신의 소중함을 믿고 끝까지 지켜나가는 것, 그게 바로 자존심 아니겠니?

그리고... 서로를 굳게 믿자! 이건 아마 자기자신을 믿는 사람만이 할 수 있는 일일거야. 스스로를 믿는 사람이라면 상대방의 소중함도 믿을 수가 있겠지? 서로에게 거짓없는 참된 모습으로 다가갈 수 있다면 우리 모두는 참말 행복할 거야. 믿음의 반대말은 뭘까? 그래, 상대방을 믿지 못하고 끝없이 의심하는 마음이지. 상대방을 의심하는 건 이미 내 스스로에게 모진 형벌이란다. 너를 믿지 못하는 나의 괴로움, 그건 거의 지옥과 같은 괴로움이니까. 친구, 연인, 부모와 자녀, 담임과 학생... 모든 인간관계를 가장 피폐하게 만드는 건 서로를 믿지 못하는 경우일거야. 그렇다면 무엇이 우리를 끝없이 의심하게 하나? 거짓말, 거짓된 행동을 하는 순간, 서로에 대한 믿음에 틈이 생기더구나. 더 끔찍한 건 상대방을 속이는 순간, 스스로를 믿을 수도 없게 되어버린다는 사실! 다른 사람은 다 속여도 나 자신을 속일 수는 없는 노릇이기에...

말이 길어졌네. (눈치챘겠지만 너희 담임은 아주 말이 많은 사람이란다..ㅋㅋ)

너희들에게 하고 싶은 말은 한가지! "스스로를, 또 서로를 믿자! 나는 아주 소중한 존재이다. 내가 그러하므로 다른 사람들도 역시 모두 소중하다. 모두 소중한 존재인 우리는 서로에게 아주 진실한 모습으로 다가가자." 이것이 운명적으로 너희를 만난 내가 바라는 아주 거창한 소망이야. 담임으로서 나도 너희들 한명 한명에게 진실된 모습으로 다가가도록 아주 많이 노력할게.

 

담임을 맡는 해마다 '올 해는 어떤 아이들과 함께 할까? 아이들과 즐겁고 행복할 수 있을까?' 이런 저런 생각에 마음이 두근두근 한단다. 그건 설레임이기도 하고 두려움이기도 한데... 설레임은 행복에 대한 예감에서 오는 것 같고 두려움은 지난 경험상 학교에서의 행복해지는 것이 그리 쉽게 오는 것이 아님을 알기에 느끼는 것 같아. 하지만 서로가 노력해서 어렵게 어렵게 얻는 것이라야 참으로 행복한 행복이겠지? ㅋㅋ 올해는, 너희들은 어떨까? 우리가 함께 아주 많이 행복했으면 좋겠다.

 

2006. 3월 첫날. 2학년 10반 담임 000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해콩 2006-03-02 00: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올해 편지는 아주 많이 짧아졌다. 욕심을 줄인 탓인가? ㅋㅋ
에고.. 이 편지가 아이들의 마음을 조금이라도 움직일 수 있을지.. 아니면 지겨운 담탱이의 잔소리가 될지.. 설레고 두렵다.

느티나무 2006-03-02 01: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건 우리 카페에 같이 올려주면 다른 선생님들께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해콩 2006-03-02 22: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예~ 회장님!! ^^;
 

"고등학교 2학년, 올해를 재미있게 보내느냐, 그저 밍숭밍숭하게 보내느냐 하는 건 전적으로 너희들에게 달려있다고 생각해. 모두들 조금만 맘을 내서 신나고 즐거운 학교 생활이 되도록 하면 좋겠지? 담임으로서 나는 말이야~ 너희들이 원하는 걸 옆에서 도와줄 수는 있을거야. 그렇지만 말 그대로 그건 그저 도와주는 거거든. 너희들 한명 한명의 맘이 더 소중한 것이지. 실수하고 실패하는 것 두려워하지 말고 뭐든 해보는 거야. "

'관계'란 우리가 하기에 따라서 아름다운 단어가 될 수도 있고 정반대가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해. 낙동고등학교에서 보낼 마지막 해, 너희들 모두와 정말 잊지못할 관계를 맺고 싶은데...

42가지의 학급일을 나누어 모두에게 분담하는 건 어떨까? 아니 그 전에 모둠을 짜는 게 우선인가?

아~ 생각의 정리가 필요하다. 아이들에게 줄 첫 편지도 써야하는뎅~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해콩 2006-03-01 13: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1. 제일 중요하면서도 꼭 필요한 마음 자세
1) 자신의 교육관이나 학생관을 되짚어 보는 것으로 시작해야겠지요?
2) 올해 담임으로서 아이들과 어떤 학급을 만들어가고 싶은가에 대한 목표가 필요하겠지요?
3) 올해의 학급운영에 대한 (대략적인) 연간 계획을 세우는 것도 중요하겠지요?

2. 3월에는 일어날 수 있는 일 그리기
1) 새학기 첫날 아이들에게 어떤 이야기를 해 줄까?
2) 일상적인 학급 활동의 시작이 중요한 걸까?
3) 학부모도 교사만큼 부담스러운걸까?
 

친한 선생님 결혼식이 있었다. 결혼식 마치고 하객으로 모인, 내가 아주 좋아하는 샘들-ㅂㅈㅎ, ㅎㅇㅈ, ㅎㅅㅈ, ㅇㅇㅈ-과 죽성에 가서 대게 먹고 수다떨고.. 자리를 옮겨 태어나서 처음으로 조선비치호텔이라는 데를 가서 차마시고 또 수다떨고.

좋았다.  학교 비판이나 다른 교사들 평가(? 쉽게 말해서 욕!)을 넘어서서 하는 대화는 언제나 참 좋다. 내 이야기를 하고 다른 사람들 이야기를 듣고 정보를 주고받기도 하고... 방향을 잡아나가는 데 도움이 된다.

과유불급! 지나친 건 미치치 못한 것과 같다. 늘 오버하는 나의 버릇에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 아이들 스스로 결핍과 불편을 느껴야하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를 느끼도록 해야한다. 불편함을 느끼기도 전에 챙겨주고 신경쓰고 하는 것은 자칫 자립심을 잃게하거나 부담을 느끼게 하거나 잘못을 남탓하기 쉽게 만드는 것 같다. 담임 자신의 성취감을 채우는데 아이들을 내모는 것도 경계해야하고. 최소한의 것만 챙겨주고 필요한 건 스스로 해결하게 해야한다.

그럴려면 '필요'와 '욕망'과 '의지'를 느낄 때까지 꾹 참고, 팍 믿고 아이들을 기다려주는 뒷심이 필요한 것 같다. 기준을 세우고 중심을 잡고! 가장 좋은 교사는 아이들로 하여금 '아 우리가 해냈어'라고 생각하게 하는, 있는 둥 마는 둥한 교사!!!

아이들을 상대로 섭섭해하거나 배신감을 느껴서는 안된다. 그 나이 즈음의 나를 돌아보면 나 역시 아이들보다 더 세심하게 샘들을 대한 적이 한 번도 없는 무뚝뚝한 학생이었다. 교사라는 존재는 당시 내 머리 속에는 없었다. 내가 어떠하건 간에 아이들 역시 그럴 것이다. 섭섭함을 느끼는 것보다 차라리 미안함을 느끼는 것이 낫지 않을까? 교사란 어차피 짝사랑의 숙명을 타고난 간이역 같은 존재라는 것을 이미 알고 있지 않은가!

그러나 가끔은 내 마음을 솔직하게 고백하는 것도 필요할 것 같다. 교사도 인간임을 아이들도 알아야하지 않을까.

* 모둠활동은 접을까 생각했는데 다시 해볼까 하는 생각도 든다. 배달부, 편집부, 촬영부, 놀이부.. 또 필요한 부서가 뭐가 있을까? 총무부, 봉사부(또는 환경부), 선도부?,

* 사물함 이름표는 안 만들기로 했다. 담임이 똑같은 모양으로 만들어 주는 이름표는 너무 획일적이다. 아이들이 필요에 의해 나름대로 만든 이름표가 각자의 개성도 묻어나고 구경하는 재미도 쏠쏠하고 더 좋은 것 같다.

* '학부모에게 다가가는 법' 참 안되는 부분이다. 허심탄회하고 편하게 다가가는 법, 없을까?

* 디카를 장만해야겠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해콩 2006-02-27 11: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학부모 간담회 때, 아이들과 함께 읽을 수 있는 시집- [부모와 자녀가 꼭 함게 읽어야할 시]-을 한 권씩 선물할까 행각했는데.. 이것도 오버겠지? 자녀에게 해주면 좋을 말, 또는 하지말아야 할 말.. 준비해서 나눠드리면 어떨까?

글샘 2006-02-27 18: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담임 하실 생각으로 마음이 바쁘시죠? 교사가 간이역같은 존재임은 분명하지만, 간혹 간이역에서 평생 잊지못할 사건도 일어나잖아요. 마음 편하게 준비하세요. 특히 학부모 같은 부분은 미혼 선생님으로서 다가가기 어려운 면도 있지요. 학부모의 이기주의도 있고. 제 생각엔 시집을 선물하는 것 보다는, 학기 초에 학부모님 대상으로 선생님의 교육관을 편지로 보내 드리는 것이 어떨까 싶네요. 간담회날 오는 학부모는 아무래도 제한되어 있으니까요. 간담회날은 청소년 자녀 상담 방법 같은 것 간단하게 복사해서 드리니까 좋아하시더라고요. ^^ 올핸 즐건 일만 일어나는 담임 쌤이 되시길...

해콩 2006-02-27 21: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늘 감사드려요~ 학부모님께 솔직한 편지를 쓰도록 할게요. 그리고 자녀 상담법도 좋을 것 같구요. 자료 찾아보고.. 이곳에도 올리고..
많이 많이 도와주세요~글샘샘~ ^^
 

144445

4444를 잡으려고 했는데 한 발, 딱 한 발 늦었다. 4444는 누구였을까? ㅋㅋ

자수하셈~~ ^^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물만두 2006-02-26 14: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204451

느티나무 2006-02-26 23: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244455

뭐- 이것도 괜찮지 않나요? ㅋ


해콩 2006-02-27 00: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헤헤.. 숫자들마다 이런 저런 재미가 있군요. 다~~ 괜찮아요. 이렇게 찾아주셔셔 늘 감사함돠~
 

2006. 2. 25. 토

마음이 움직이기 시작한다. 꼼지락 꼼지락... 몸도 따라서 꼼지락 꼼지락...

좀 일찍 가려고 했는데 늘 그렇듯 이리 저리 꾸물거리다보니 학교에 도착한 시간은 12시 반이었다. 팔을 걷어부치고 어제 정리하다 내버려둔 서랍이며 물건들을 정리했다. 아무리 정리해도 그 많은 짐들이 들어갈 구멍이 없다. 그러나 경험으로 짐작컨대 이 짐들... 세월이 지나면 다 어딘가에 찾아들어가게 되어있다. 지금은 불안하지만 졸업한 후엔 어딘가에 정착해 있는 아이들처럼.

뭘 해야하나... 음악 듣고 차 마시며 잠시 두리번 거리다가 작년에 작업했던 [학교에서 행복해지기]를 펼쳤다. 눈에 들어오는대로 '선생님에게만 보여주는 나', '선생님께 들려주는 우리 아이 이야기', '아이들끼리 소개하기'  약간 손을 봐서 복사해두었다. 그리고 사물함에 부쳐줄 이름표 작업! '아이들끼리 소개하기'와 이름표는 예쁜 색지에 복사하면 훨씬 부드러워진다. 이름표는 일년 쓸거니까 코팅해두고 소개서도 문집에 넣을 거니까 잘 보관하도록 해야한다. 흠.. 월요일이나 화요일도 학교에 나와야겠다. 자전함도 다시 만들고 낡은 자전은 손도 좀 보고(3년 썼는데 너덜너덜..) 첫시간 수업준비도 필요하다.

더 필요한 건? 출석부 안면에 부쳐둘 용지, 아이들 자리 정하기, 임시 반장 정하기, 청소 도우미 정하기. 제일 중요한 건? 담임 소개서인데.. 재작년 담임할 땐 편지를 써서(쳐서) 복사하고 봉투에 넣어 하교길에 아이들 손에 들려 보냈다. 올해는 카페를 만들거니까 거기에 내 편지를 올려두고 카페등록을 숙제로 내줄거다. 학부모님께 보내는 편지도 써야하고.. 청소구역도.. 급훈이나 학급 구호는 어떻게 정할까? 중요한 반장,부반장 선거도 있고.

그러나 이런 물리적인 작업보다 더 중요한 건 정신적인 '결정'이다.

야간자율학습, 보충수업, 사설모의고사...이런 문제들이 없다면 사실 인문계 고등학교에서는 담임과 아이들 사이에 갈등이 거의 없을 것이다. 강제로 시키는 야간'자율'학습과 거의 모든 아이들이 참여하기를 강요하는 보충수업, 아이들 학업에 있어서 그 효과가 입증되지 않았음에도 늘 목말라하는 사설모의고사. 맘이 무거운 이유는 이런 것들 때문이다. 어느 선까지 강제를 허용을 할 것인가? 강제력에 대한 '허용'을 스스로 '허용'해야 하는가?

이미 '정의된 언어'에 정직해야한다. 야간자율학습은 그야말로 '자율'적으로 실시되어야 함을 전제한 정의이고, 보충수업은 그야말로 '보충'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아이들이 스스로 참여여부를 결정하게 해야한다. 눈가리고 아웅식으로 지금처럼 모든 아이들에게 신청서를 억지로 쓰게해서는 안된다. 거부하는 아이들에게 다른 아이들에 대한 간접적 피해, 성적 하락, 이에 기인하는 불안한 미래 등 치사한 이유을 들먹이면서... 사설모의고사는 불법이다. 불법이란 건 그 폐해를 교육부에서도 인정한다는 것이다. 불법 자행되는 것, 막아야할 일이다. 이것들은 모두 고민이 필요치 않는 '상식'이다.

그러나 학교에서 이런 상식을 지켜나가기란 무지 힘들다. 아이들은 판단력이 없는 불완전한 존재로 취급당하며 고등학교 3년을 그렇게 살다가 졸업하고 교문을 나가는 순간 -혹은 대학생이 되는 순간- 갑자기 판단력을 가져야하는 성인으로 대우받는다. 한번도 발휘해본 적이 없는 판단력이 고등학교를 졸업했다는 사실만으로 어느날 아침 문득 주어질까?

실패 역시 중요한 공부이자 학습이다. 나를 포함한 요즘 어른들은 아이들이 실패하는 꼴을 못본다. 스스로 시행착오를 거칠 시간을 기다려주지 않는다. 그 시간에 다른 아이들은 실패 없이 경쟁에서 이기고 결국 '성공' 할 것이라는 상대적 불안감이 학부모와 아이들을 옥죈다.

실패를 경험해보고 다시 원점에서 그 원인과 새로운 방법을 진지하게 고민하게 하는 시간. 참된 성숙의 기회를 제공하는 그 시간들을 어떻게 아이들에게 돌려주느냐. 이것이 우리 교육에서 진정 고민해야하는 부분이 아닐까. 6~7시간의 정규수업 후의 보충수업과 야간자율학습, 사설모의고사 그리고 학원, 과외수업으로 이어지는 아이들의 일과....  아이들에게는 실패하고 고민하고 다시 일어설 시간이 없다.

현실과 동떨어진 주장과 행동으로 제자들에게마저 우활하다고 비판받았던 공자가 떠오르는 밤이다. 과연 나도 현실을 외면하고 공허한 '이상'만 부르짖고 있는 것일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느티나무 2006-02-26 10: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우~ 정말 대단하십니다. ^^ 정말로! 존경스러워요,힘 내세요.

해콩 2006-02-26 13: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뇨 아뇨. 저것들을 다 했다는 게 아니고 앞으로 할 계획이라는 거죠. 그래서 개학 전에 학교에 함 더 가야할 것 같다는...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