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바람을 맞다(천양희, "너무 많은 입", 창비, 2005)


  바람이 일어선다 나무가 서 있는 곳은 초록빛 생명으로

  가득 차 있다 나무는 영원한 초록빛 생명이라고 누가 말했더라

  숲을 뒤흔드는 바람소리 「마왕」곡 같아 오늘은 사람의 말로

  저 나무들을 다 적을 것 같다 내 눈이 먼저 하늘을 올려다

  본다 비가 오려나 거우누별이 물기를 머금고 있다 먼 듯

  가까운 하늘도 새가 아니면 넘지 못한다 하루하루 넘어가는 것은

  참으로 숭고하다 우리도 바람 속을 넘어왔다 나무에도 간격이

  있고 초록빛 생명에도 얼음세포가 있다 삶은 우리의 수난

  목숨에 대한 반성문을 쓴 적이 언제였더라 우리는 왜

  뒤돌아본 뒤에야 반성하는가 바람을 맞고도 눈을 감아버린

  것은 잘한 일이 아니었다 가슴에 땅을 품은 여장부처럼

  바람이 일어선다

 

- 멜기세덱님 서재에서 가져옴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짱꿀라 2006-12-29 23: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문장들이 너무나 아름답다고 할까 표현이 너무 멋지네요. 잘 읽고 갑니다.

비로그인 2006-12-30 12: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숲을 뒤흔드는 소리는 정말 마왕을 듣는 것 같을 때가 있어요.
저만 느끼는게 아니었네요.
좋은 시 잘 읽었어요.

프레이야 2006-12-30 12: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산타님/ 승연님/ 신년시로 생각할래요^^

2006-12-30 14:31   URL
비밀 댓글입니다.

프레이야 2006-12-30 23: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속삭이신 ㅂ님/ 잘 다녀오세요. 그리고 새해엔 어여 서재로 돌아오시길 빌어요^^
 
 전출처 : 물만두 > 빈집의 약속 - 문태준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6-12-18 16:37   URL
비밀 댓글입니다.

프레이야 2006-12-18 16: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소근소근님/ 긴 이야기, 아픈 이야기 들려주셔서 감사해요. 그랬군요. 살다보면 세상에 이해 못할 일은 없는 것 같아요. 표면적인 것으로만 봐서도 안 되구요. 속내를 들여다보면 누구든 그만한 사정과 그럴만한 가치가 있지요. 힘든 부분 있더라도 잘 해내시리라 믿고 싶어요. 그러고 계신 것 같지만요^^ 건강하시기 바랍니다.

2006-12-19 08:2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6-12-30 09:2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6-12-30 11: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프레이야 2006-12-30 12: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속삭이신선한님/ 그렇군요. 몸과 마음 푹 쉬고 돌아오세요. ^^
 

폭포

 


폭포(瀑布)는 곧은 절벽(絶壁)을 무서운 기색도 없이 떨어진다.

 


규정(規定)할 수 없는 물결이

무엇을 향(向)하여 떨어진다는 의미(意味)도 없이

계절(季節)과 주야(晝夜)를 가리지 않고

고매(高邁)한 정신(精神)처럼 쉴 사이 없이 떨어진다.

 


금잔화(金盞花)도 인가(人家)도 보이지 않는 밤이 되면

폭포(瀑布)는 곧은 소리를 내며 떨어진다.

 


곧은 소리는 소리이다.

곧은 소리는 곧은

소리를 부른다.

 


번개와 같이 떨어지는 물방울은

취(醉)할 순간(瞬間)조차 마음에 주지 않고

나타(懶惰)와 안정(安定)을 뒤집어 놓은 듯이

높이도 폭(幅)도 없이

떨어진다.

 ------------------------------------ (푸하님 서재에서 가져왔어요)

* 감상 : 이 시에서 그는 단순하고도 힘찬 언어로써 양심에 부끄러움이 없고자 하는 자세를 보여 준다. 계절과 밤낮을 가리지 않고 절벽을 곧게 떨어져 내리는 폭포의 모습, 그것은 타협없는 양심의 자세이며, 굴종이나 무기력을 용납하지 않는 투철한 정신의 기상이다.
이 작품에서 '떨어진다'는 말이 6번이나 쓰였다. 그만큼 그것은 폭포의 본질적 속성이다. 그러면 떨어지는 폭포는 부서짐과 직결된다. 물이 생명을 가진, 그리하여 사람과 같은 존재라면 부서진다는 것은 자신을 포기하는 것, 그리고 산산조각이 나는 고통을 받는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폭포는 무서운 기색도 없이 절벽을 떨어진다. 곧 이 의미는 조금도 두려움없이 자신을 내던질수 있는 강렬한 영혼의 이미지다. 이로부터 울려 나오는 곧은 소리는 스스로 곧을 뿐 아니라 이 세상 안의 모든 곧은 소리를 부르는 듯하게 들린다.
마지막 연의 나타와 안정을 뒤집어 놓은 듯이라는 것은, 시인 자신을 포함한 사람들의 안이(安易)하고 타협적인 삶을 각성시키는 실천적 행동으로 보는 것이다.

* 성격 : 주지적, 상징적, 참여적

* 구성
제1연 : 전체 개관(폭포의 객관적 묘사)

제2연 : 폭포의 내적 속성
- 제1행 : 폭포의 장관에 대한 감탄과 감격-정확히 말할 수 없는~
- 제2행 : 현실적 이념이나 그것에의 집착과 같은 그 무엇에도 얽매이지 않고
- 제4행 : 일체의 억압으로부터 자유로워지려는 인간의 정신적 지향
('고매한 정신'이기에 특정한 무엇을 향해 떨어지지 않는 것임)

제3~4연 : 폭포의 소리와 선구자적 행동
- 3연 2행 : 밤을 깨뜨려야 한다는 바른 소리
- 4연 1행 : 바른 소리만이 정말 필요한 (진정한) 소리이다.
- 4연 3행 : 곧은 소리가 메아리처럼 반향을 일으켜 함성을 이루게 됨

제5연 : 폭포의 정신(精神)
- 2행 : 제2연의 쉴사이없이와 의미상 호응
- 나타와 안정 : 게으른 태도(타성) / 안주하려는 태도
- 4행 : 높이와 폭이 없는 폭포는 없다. 그러나 이미 시인에게는 폭포의 실제 모양을 떠나 절대의 위치에서 떨어지는 것을 보며 현기증이나 도취감에 빠져 있음을 알수 있다. 역설적 표현이다.
(--- 참고 문학이론 <역설>)

* 주제 : 부정적 현실과 타협하지 않는 의지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프레이야 2006-12-09 12: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속삭이신님/ 감상 자료는 페이퍼로 옮겨둡니다.^^

비로그인 2006-12-09 14: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시 오늘 두번째에요.
푸하님 서재에서 읽었는데, 김수영님이 좋아하시겠어요.
덕분에 저는 두 번 읽고 두 번의 느낌을 받을 수 있었어요.

프레이야 2006-12-09 17: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승연님, 이 시 푸하님 서재에서 가져왔는데 깜박하고 빠뜨렸네요.^^
 

 

새벽밥

 

                                                                  김승희(1952~  )

 

새벽에 너무 어두워

밥솥을 열어 봅니다

하얀 별들이 밥이 되어

으스러져라 껴안고 있습니다

별이 쌀이 될 때까지

쌀이 밥이 될 때까지 살아야 합니다.

 

그런 사랑 무르익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해리포터7 > 모퉁이 -- 안도현

모퉁이


모퉁이가 없다면

그리운 게 뭐가 있겠어

비행기 활주로, 고속도로, 그리고 모든 막대기들과

모퉁이 없는 남자들만 있다면

뭐가 그립기나 하겠어


모퉁이가 없다면

계집애들의 고무줄 끊고 숨을 일도 없었겠지

빨간 사과처럼 팔딱이는 심장을 쓸어내릴 일도 없었을 테고

하굣길에 그 계집애네 집을 힐끔거리며 바라볼 일도 없엇겠지


인생이 운동장처럼 막막했을 거야


모퉁이가 없다면

자전거 핸들을 어떻게 멋지게 꺾었겠어

너하고 어떻게 담벼락에서 키스할 수 있었겠어

예비군 훈련 가서 어떻게 맘대로 오줌을 내갈겼겠어

먼 훗날, 내가 너를 배반해볼 꿈을 꾸기나 하겠어

모퉁이가 없다면 말이야


골목이 아냐 그리움이 모퉁이를 만든 거야

남자가 아냐 여자들이 모퉁이를 만든 거지



--- 안도현 (좋은생각 2006년 12월호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