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천국에서
김사과 지음 / 창비 / 2013년 9월
평점 :
공교롭게도 최근에 읽은 세 권의 한국 소설들, 김사과의 <천국에서>, 임솔아의 <최선의 삶>, 장강명의 <한국이 싫어서>의 주인공들은 여자다. <최선의 삶>의 강이는 10대, <천국에서>의 케이는 20대 초반, <한국이 싫어서>의 계나는 20대 후반이다.
<최선의 삶> 뒷 표지엔 내가 좋아하는 작가인 박성원과 내가 좋아하는 평론가인 신형철의 추천사가 적혀있다. 특히나 신형철은 “나는 이 소설이 서술하고 있는 이 모든 슬프고 아픈 일들이 실제로 일어난 일이라고 믿는다. 나는 이 작가를 만나고 싶지 않다”라고 추천사에 적었다. 읽지 않고 배길 수 있겠는가.
한 마디로 <최선의 삶>은 영화 <파수꾼>의 여학생 버전이다.
올해 한국 작가 중 가장 두드러진 활약을 한 작가를 뽑자면 단연 장강명이 아닐까. 이상하게도 나는 장강명의 작품이 싫다. 초기작인 <표백>도 그렇지만 그의 캐릭터들은 참으로 재수가 없다. (아직 댓글부대는 읽지 못했다.) 한국 사회를 까는 듯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캐릭터들이 내뱉은 하소연이 내겐 불편하게 들린다. 내가 꼰대여서일까. 아니면 천민이어서?
이명박이 대통령 되었을 때 나도 이민을 알아봤다. 갈 방법이 없더라. 어떡하나. 참고 살아야지.
박근혜가 대통령 되었을 때 진짜 진짜 이민 갈려고 알아봤다. 여전히 갈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오죽하면 병아리 감별사를 할 생각을 했을까. (프랑스 이민)
평생동안 닭똥 냄새를 맡으며 하루 종일 병아리만 만지며 살 자신이 없었다.
그런데 <한국이 싫어서>의 계나는 한국이 싫다는 이유로 보란 듯이 호주로 유학, 시민권을 획득한다.
‘누군 뭐 한국이 좋아서 이러고 사는 줄 아나.’
한국이 싫어도 참고 살 수 밖에 없는 사람들이 태반인데
계나는 헬조선을 벗어난 것만으로도 성공한 삶이 아닐까.
장강명의 <한국이 싫어서>에 대해선 많은 이웃 분들이 리뷰를 썼기에
김사과의 <천국에서>를 소개하고자 한다. (세 편의 소설 중 가장 재밌게 읽었다)
김사과 작가는 사과처럼 상큼하게 생기셨을까 짐작했건만 앞 날개의 사진보고 깜짝 놀랐다.
혹시 구미호?? (혹시 작가님이 보신다면 죄송합니다. 농담이에요. 부러워서 드리는 말씀이지만..... 코가 참 크시네요.)
플로베르의 <감정교육>이 줄거리가 없다면 김사과의 <천국에서>도 줄거리가 없다.
그럼에도 두 소설 다 잘 읽힌다. 남녀간의 만남이 주된 내러티브를 이루기 때문일까.
케이도 계나만큼이나 재수없다. 뉴욕 맨해튼의 유학생이라니. (영어도 졸라 잘한다.)
그나마 일찌감찌 한국으로 귀국해서 봐줄만 했다.
케이는 홍대 모임에서 재현을 만나 곧 연인이 된다. 재현과의 다툼 이후 케이는 우연히 만난 초등학교 동창인 지원과 사귄다. 지원은 케이가 좋지만 한편으로 그녀와의 ‘차이’를 감당할 수가 없다. 케이는 자신과 문화적으로, 경제적으로 너무나 다르다.
지원의 누나 캐릭터도 재밌지만 광주 치킨집 아저씨는 근래에 본 가장 재밌는 캐릭터다. 베를린 유학생, 문화운동가, 지인의 자살, 결국엔 치킨집 사장. 똑똑하고 진솔돼 보이기도 하면서도 나중에 찾아온 케이를 성추행할 정도로 막장이기도 하다. 하긴 아저씨가 오해할 만도 하다. 치킨 먹으러한 번 온 아가씨가 인생 상담을 하러 찾아왔다니, 그것도 서울에서 광주까지.
케이는 생각했다. 그래서 악몽을 꾼 거고, 꿈은 꿈일 뿐이지. 하지만 그것은 별로 위안이 되지 않았다. 그 꿈은 케이가 가장 두려워하는 것을 건드리고 있었기 때문이다. 자신이 하찮고 시시한 사람일지도 모른다는 것. 다른 평범한 사람들과 다를 바 없을지도 모른다는 것. 그리고 그 사실을 사람들에게 들키게 될지도 모른다는 것.
이 문장이 난 따끔했다. 나는 나이가 들수록 점점 더 시시해지는 느낌이다. 원래 시시했는데 더 시시해지는지도. 인간의 삶은 몰락의 과정이라고 말한 건 피츠제럴드였던가?
결국 삶이란 시시함과의 대결인가?
내가 다른 사람과 다르다고 내미는 기표란 얼마나 허망한것인가.
이렇게 살아가면 난 뭐가 되지? 아니, 아무것도 안하고 가만히 있는 거 그게 어떻게 살아가는 거야? 이해가 안돼. 모르겠어. 살아간다는 건, 좀 다른 거 아니야?......
수족관 속에 있는 물고기가 수족관을 부수면 어떻게 돼? 죽겠지. 뻔하지. 하지만 수족관 속에 있는 건 살아 있는 거야?.....
여기는 천국이고 나는 울고 있어. 근데 써머 여기가 진짜 천국이야? 써머 넌 그렇게 생각해? 정말? 진짜? 어떻게 여기가 천국이야? 내가 진짜 원하는 단 한가지가 빠졌는데, 아아, 나 이제 진짜 알겠어. 여기가 왜 이렇게 좋은지. 그건 제일 중요한 한 가지가 빠져 있으니까. 내가 원하는 거, 내가 진짜 원하는 거, 그게 없으니까. 그래서 이렇게 평화로운 거야. 이 평화는 내가 원하는 그 딱 한 가지를 버리고 얻은 거야. 그러니까, 여기는 천국이 아니야. 여기는 지옥이야.
윗 문장을 읽다보면 ‘사토리세대’라는 용어가 떠오른다. 통계에 따르면 자신이 행복하다고 느끼는 일본의 젊은이는 75%에 달한다. 수족관 속의 물고기나 우물 안의 개구리나 그것이 자신의 세계라 미리 한정짓는다면 천국일 수도 있다.
거짓된 천국.
문득 그녀는 수족관 따위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녀는 더 이상 두렵지 않았다. 기억의 푸른 물은 나를 익사시키지 못할 것이다. 헤엄쳐 그 강을 건널 거니까. 그렇다. 헤엄쳐, 저 너머에 닿을 거다. 거기에 한번도 본 적 없는 풍경이 펼쳐져 있을 것이다. 그것이 좋을지 나쁠지 모르겠다. 거기가 천국일지 지옥일지 모르겠다. 하지만 가겠다. 아니, 지금 간다.
개인적인 해석이지만 김사과의 <천국에서>는 장강명의 <표백>에 대한 반박처럼 들린다. 완벽한 세상?
완벽한데, 여기는 너무나도 완벽한데....어떻게 뭐가 빠져 있을 수가 있지?
그러니까 김사과의 <천국에서>는 장강명의 <표백>이 실패한 지점을 넘어서려 시도하는 셈이다.
애초에 수족관 따위는 없다. 완벽한 세상이란 환상이거나 거짓된 믿음에 불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