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인생은 훨씬 크고 장엄하고 고귀한 것이다. 나 하나는 세계의 최소 단위이자 세계의 모든 것이기도 한 존재다. 희망의 단서端緖인 나 하나를 지켜내야 한다. 그렇게 서로를 알아보고 경외하고 함께 걸어가는 용기를 내야 할 때이다. 척박한 광야에서도 작은 올리브나무 하나가 스스로 뿌리를 내리고 살아남으면, 그러면, 나무는 나무를 부르고 숲은 숲을 부르며, 다시 천 년의 사랑이 시작된다. 이런 시대에 작은 올리브나무 같은 나 하나로부터 우리 삶을 지키는 푸른 방패가 되고 소리 없이 세상을 지탱하는 푸른 기둥이 되어갈 것이니. 여기 천 년의 올리브나무 아래 기대어 그대 안의 신성한 빛과 강인한 빛을 길어 올리기를. (11쪽, 「서문」 중에서)
오래된 나무를 보면 경건해진다. 그 나무가 품은 시간을 가늠할 수 없기 때문이다. 처음부터 그랬던 건 아니다. 그냥 거기 나무가 있구나, 꽃을 피우면 예쁘고 열매를 맺으면 고마웠다. 언제부터였을까. 한자리에서 뿌리를 내리고 움직일 수 없는 시간을 살아내는 일의 고단함과 위대함을 깨닫게 된 게. 거대한 자연 곁에서 우리가 살아가고 있다는 걸 알게 되면서 그들이 인간을 지켜보고 있다고 느끼면서다.
박노해의 포토 에세이 『올리브나무 아래』에서 그런 마음이 쌓여 인간을 어루만지는 사진을 만났다. 팔레스타인, 요르단, 시리아, 레바논 등에서 담은 37장의 사진. 제목 그대로 이 사진집은 올리브나무를 만날 수 있다. 아름다운 풍경은 아니다. 눈물과 고단함을 품은 나무와 삶이 있다. 올리브나무에 기대어 사는 사람들, 올리브나무의 그늘에서 휴식을 취하고 올리브나무를 사랑하고 섬기는 사람들. 어쩌면 토속 신앙처럼 보이기도 하는 몸짓들, 그러나 그 안에 담긴 간절한 바람과 기도를 생각하면 그게 무엇이든 상관없다는 걸 알게 된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010/pimg_7630901654044536.jpg)
사진집을 펼치며 마주한 첫 번째 사진. 올리브나무가 품은 시간은 과연 얼마일까. 그 시간은 어떻게 흘러갔을까. 나무와 인간의 시간은 과연 같은 것일까. 자꾸만 질문이 생긴다. 그러면서 가만히 사진을 매만진다. 마치 올리브나무의 숨결을 느낄 수 있을 것처럼. 그러데 올리브나무뿐일까. 인간 곁에서 인간과 공존하며 살아가는 식물과 동물은 얼마나 많은가. 어리석은 인간만이 그 놀랍고도 귀한 사실을 잊은 채 살아가고 있을 뿐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010/pimg_7630901654044537.jpg)
나는 올리브나무가 바라본 풍경을 알지 못한다. 올리브나무가 어떻게 자랐는지 알지 못한다. 어떤 바람과 어떤 고난과 함께 성장하고 살아가는지 알지 못한다. 그저 시인의 글귀를 따라 올리브 나무와 사람들을 생각할 뿐이다. 올리브나무처럼 남은 사람들, 올리브나무처럼 서로가 서로를 떠받치는 사람들을 말이다.
한때는 올리브 숲이었으나, 세월이 흘렀다. 거친 바위 산에서 살아남은 올리브나무 세 그루. 누가 보아주지 않아도 자신의 자리에서 단단히 뿌리를 내리고 서 있는 저 나무들은 세상을 떠받치는 기둥처럼 굳건하다. 사람은 나무와 같아서, 자신이 그런 줄도 모른 채 하나의 비밀스러운 기둥이 되어 이 세상을 지탱하고 있는 그런 사람들이 있다. (30쪽)
인간의 잔혹한 손길에 잘려나가고 파괴되고 무너졌을 모든 것. 시인이 마주한 풍경은 그런 것이었다. 그러나 그 안에서도 시인의 시선을 붙잡은 건 올리브나무 가지에 담긴 애도였다. 전쟁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전쟁이 끝나는 순간에도 삶은 이어진다. 죽음과 삶의 경계에서 그렇게 살아남고 살아간다. 처절하게 소리치고 울부짖는 대신 기도를 경전을 읽고 기도하는 사람들. 그들의 죽음을 누가 허락했단 말인가. 이 한 장의 사진을 전쟁을 끝내지 못하는 이들에게 보여주고 싶다. 당신들에게 전쟁은 무엇이냐고 묻고 싶다. 누구를 위한 전쟁이냐고. 그 죽음은 누구를 위한 것이냐고.
전쟁보다 더 무서운 것은 전쟁 그 후이다. 파괴는 한순간이지만 재건은 긴 가난과 노동이고, 죽은 자는 산 자의 가슴에서 매일 다시 죽는다. 살아남은 이들은 마을 묘지를 조성해 올리브나무 가지를 바치며 경전을 읽고 기도한다.
“죄 없이 죽은 자는 높은 자리에 있으리라.”
신의 손길을 대신하듯 올리브나무 가지가 차가운 묘지를 푸른 숨결로 어루만진다. (80쪽)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010/pimg_7630901654044538.jpg)
그럼에도 주어진 삶을 감사하며 살아가는 이들. 하루하루 최선을 다해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하는 사람들. 그들이 바치는 감사와 기도 앞에 나도 두 손을 모은다. 항상 부족하다고 불평하며 살았기에 부끄럽다. 하루를 마치고 내일을 맞이하는 일을 당연하게 여기는 우리는 감사를 잃어버린 사람들이다. 하나하나 따지지 않아도 모든 것이 감사한 일뿐이라는 걸 잊지 말아야 한다.
알 자지라 신화에서 창세기로 전해진 노아의 방주 이야기. 노아는 비둘기가 올리브 새잎을 물로 오는 것을 보고 홍수의 시대는 끝났으며 새로운 삶을 시작할 때임을 알았다. 이로부터 올리브 가지를 문 비둘기는 평화의 상징이 되었다. 전란의 땅에 노을이 물들고 오늘도 긴 아잔 소리가 울릴 때 하루 일을 마친 농부는 올리브나무 사이에서 기도를 바친다. 파괴된 대지에 가장 먼저 피어났던 저 올리브 새싹처럼. 사무치는 마음으로 삶에 대한 감사를 드린다. (92쪽)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010/pimg_7630901654044539.jpg)
어떤 이들은 그들의 삶은 그들에게 속한 것이니 자신과는 상관없다고 말할지도 모른다. 분쟁과 전쟁은 우리의 일이 아니라고. 반복되는 역사 앞에서 재생되는 삶의 폐허, 우리는 무엇을 바라보며 살아야 할까.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는 축소되고 세상과의 단절은 더욱 확대되는 세상.
박노해 시인은 사진을 통해 묻는다. 편리함이 모든 걸 지배하는 세상 속에서 우리가 붙잡아야 할 것은 무엇이냐고. 우리가 스스로 나무가 되어야 한다고 말이다. 내 안의 나무가 들려주는 소리에 귀를 기울이라고. 올리브나무 하나가 내게로 와 가만히 옆에 선 느낌이다. 눈과 마음을 보는 사진들, 오래 담아두고 싶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010/pimg_7630901654044540.jpg)
이 가을, 박노해 시인의 에세이를 읽으며 올해 남은 날들을 헤아려도 좋겠다. 바쁘면서도 뭔가 이루지 못해 늘 아쉽고 불안한 시간, 정작 무얼 위해 살고 있는지 생각한다. 멈추지 않는 전쟁, 나는 괜찮다는 부끄러운 안도, 삶은 무엇으로 채워지는지 누군가 내게 알려주면 좋겠다. 인간이 인간을 파괴하는 세상, 희망은어디에 있을까. 그럼에도 우리가 기댈 존재는 내 곁에 있는 인간인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