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능하면 낯선 방향으로 ㅣ Entanglement 얽힘 2
김이설.이주혜.정선임 지음 / 다람 / 2025년 7월
평점 :
『가능하면 낯선 방향으로』는 김이설, 이주혜, 정선임 작가가 참여한 얽힘 두 번째 프로젝트다. 얽힘이란 말에서 관계에 대한 이야기를 기대할 수 있다. 세 작가의 단편을 읽는 것 외에도 작가들이 서로에게 질문을 던지고 답을 하는 「얽힘 코멘터리」가 있어 소설이 어떻게 쓰였고 의미하는 바에 대해 들을 수 있다. 맨 마지막에 「얽힘 코멘터리」가 있지만 단편 하나를 읽고 코멘터리를 읽는 방법도 나쁘지 않았다.
이주혜의 「할리와 로사」는 전주로 1박 2일 여행을 온 ‘할리’와 ‘로사’의 이야기다. 그저 평범한 여행 이야기로 여길 수 있다. 그러나 소설을 읽다 보면 전주라는 지역이 할리에게 어떤 의미인지 알게 된다. 서울에서 미용실을 운영하는 할리와 네일숍을 하는 로사는 서로의 이름도 모르고 지내온 이웃이자 친구이다. 점심을 먹고 맣은 시간을 보내지만 사적인 부분은 알려고 하지 않는 그런 관계. 방송에 나온 전주를 보는 할리의 표정을 보고 로사가 결정한 여행지였다.
소설은 전주한옥마을을 시작으로 순교지 산행으로 이어지며 할리의 기억을 끄집어낸다. 할리가 그곳을 왜 떠나고 싶었는지 가족과 관계를 끊고 사는 이유를 짐작할 수 있다. 로사는 그런 할리를 지켜보며 아무것도 묻지 않는다. 순교지 산행을 포기하지 않도록 기다리고 격려한다. 시간이 늦어 성당 안에는 들어가지 못했지만.
저 아래 시내에 불빛이 하나둘 커졌다. 건물들은 이제 별자리처럼 이어지는 조명 윤곽으로 남았다. 할리는 빛과 어둠의 교대식을 물끄러미 내려다보며 생각했다. 고작 흙 한 줌이 돌아왔는데, 그것을 우리는 귀향이라 부를 수 있을까? 할리는 자신도 모르게 이를 악물었다. 무엇을 참는지도 모르고 한껏 참았다. (「할리와 로사」, 39쪽)
할리의 귀향은 불가능할지 모른다. 여행이란 이름으로 전주에 잠시 들렀을 뿐이다. 그건 로사에게도 마찬가지다. 할리가 다음 여행지로 생각한 인천은 로사에게 아픈 기억으로 가득한 곳이니까. 얽힘은 사람과의 관계에서만 이뤄지는 게 아니라 공간에서도 그러하다. 좋은 기억으로 연결되는 공간은 친절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지만 상처를 떠올리는 공간은 손절의 대상이 된다. 전주를 여행하게 된다면 소설 속 할리와 로사의 여정을 따라가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정선임의 「해변의 오리배」는 서울에 사는 ‘미연’이 친구 ‘승재’의 부고 소식을 듣고 인천으로 향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마침 영종도에서 사춘기 딸 ‘유나’가 좋아하는 아이돌 공연을 예매했기 때문이다. 미연에게 가장 중요한 건 유나와의 관계이기 때문이다. 미연에게 인천은 과거의 공간이다. 승재와의 관계도 마찬가지다. 한때 어울렸던 사이가 전부다. 친구들의 말처럼 사귀거나 한 게 아니므로.
인천에 온 목적은 장례식장이 아니라 공연이었다. 그런데 갑자기 유나는 공연을 보지 않겠다며 차에서 내린다. 유나의 목적은 공연이 아닌 카톡을 주고받은 상대였던 것. 미연은 유나의 카드 사용 내역을 쫓아 유나를 따라가지만 상대를 확인하는 대신 공연장으로 향한다. 이제부터 미연에게 새롭게 채워질 수 있을까. 유나와 삐걱대는 관계는 풀릴 수 있을까.
김이설의 「최선의 합주」는 다른 두 소설과 다르게 소설의 배경이 인천이다. 엄마는 유부남이었던 아빠와 결혼해 ‘유현’을 낳았다. 유현은 아빠의 가족에게 인정받지 못한 존재다. 그러나 어느 날 아빠와 함께 온 오빠는 달랐다. 오빠는 가출을 반복하다 집을 나갔지만 아빠의 죽은 후 돌아왔다. 그 후로 엄마가 돌아시고 유현에게 유일한 가족은 오빠뿐이다. 직장에 다니가 그만둔 무료 강의를 들으며 지내고 시내버스 기사인 오빠의 수입으로 생활한다.
강의를 듣다 만난 경은 언니를 오빠에게 소개한 건 나였지만 결혼과 동시에 오빠가 집을 나간다는 소식에 당황한다. 반기는 이 없는 결혼식에 갔다 나올 수 밖에 없다. 신행 후 집에 온 오빠와 경은 언니는 그들의 집으로 떠난다. 나와 오빠와 경은 언니가 잘 지낼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내가 둘과 적절한 거리를 두는 것뿐일까. 셋이 함께 일 때만 가족이 되는 것 그것만으로도 충분할까. 그런 생각 때문인지 유현이 배우는 리코더 연주의 공연이 끝난 후 마음이 오래 남는다. 떨리고, 두렵고, 어렵고, 힘들고, 외로운.
아홉 명의 합주는 무사히 잘 마쳤으나 결국 빈 소리를 내는 사람을 찾지 못했다. 빈 소리를 그대로 둔 채 연주했다. 관객들은 그게 우리 전체의 소리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우리의 최선이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비었다는 것조차 몰랐을 것이다. 그럼 상관없었다. 어쩌면 소리를 내지 않은 사람이 제일 떨리고, 두렵고, 어렵고, 힘들고, 외로웠을지도 모른다. (「최선의 합주」, 137쪽)
인천에서 직장 생활을 했다. 소설을 읽으며 그 시절이 떠올랐다. 연인이 병원에 입원해 일을 마치고 서울까지 갔다가 막차를 타고 집으로 돌아오던 겨울이. 그런 뜨거움, 그런 열정이 있었던 날이 있었다. 인천에 사는 이들에게 익숙한 공간이 다르게 느껴질 것 같다. 「해변의 오리배」에 나오는 중국집이나 「최선의 합주」 속 유현의 오빠가 운전하는 914번 버스를 타는 승객에게는 더욱 그러할 것이다.
소설을 다 읽고 다시 「얽힘 코멘터리」를 통해 인물 사이의 관계, 기억, 장소에 대한 대화를 읽으니 북토크나 작가와의 대화에 초대된 기분이다. 소설이 더 가까이 다가오고 내가 생각했던 것과는 전혀 다르게 다가오기도 한다. 그런 점이 얽힘 프로젝트가 바라는 게 아닐까 싶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