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mber the stars 다 읽고, 윈딕시 읽고, 이제 summer to die 읽는 중이다. 


윈딕시 이야기 중에 정말 사랑스러웠던 이야기. 


오팔이 이사가서 친구 못 사귀고 맨날 엄마 그리워하며 외로워하다가 윈딕시 마트에서 윈딕시 데려오게 되고, 도서관에서 미스 프레니와 친구가 된다. 


미스 프레니가 도서관 사서가 된 이야기가 정말 사랑스럽다. 






Miss Franny Block started in, " and I was just a little girl no bigger than you, my father, Herman W. Block, told me that I could have anything I wanted for my birthday. Anything at all." 


Miss Franny looked around the library. She leaned in close to me. " I don't want to appear prideful," she said, "but my daddy was a very rich man. A very rich man.: She nodded and leaned back and said, "And I was a little girl who loved to read. So I told him, I said, 'Daddy, I would most certainly love to have a library for my birthday; a small little library would be wonderful.'"

 " You asked for a whole library?" 

" A small one." Miss Franny nodded. " I wanted a little house full of nothing but books and I wanted to share them, too. And I got my wish. My father built me this house, the very one we are sitting in now. And at a very young age I became a librarian. Yes ma'am." 


십대가 되기도 전에 도서관을 선물로 받은 미스 프래니! 나도 나에게 도서관을 선물로! (아님) 


이 도서관에서 있던 어느 날 프래니는 곰을 만난다. 곰이 앞에 있어서 떨면서, 싸우지 않고 먹히지는 않겠다는 의기로 읽고 있던 책을 던지면서 '저리 가!' 소리 지른다. 읽고 있던 책은 war and peace  그러자 곰이 도망가는데, 믿거나 말거나 책을 들고 도망간다. 그 이야기를 하자 사람들이 막 놀림. 프래니, 내가 숲에서 곰을 봤는데, 곰이 한 주만 더 읽고 반납하겠다네. 하면서. ㅎㅎ 


그거 아시나요? 


호신용품을 가지고 다니다가 치한이나 강도에게 대항하면, 정당방위 안 나오고 쌍방과실 나오잖아요. 

근데, 책은 무기가 아니라서 책으로 때리면 무기로 때리는거 아니라 정당방위 나온다고 그러던데요. 


war and peace,  좋은 무기가 될 법한 책이다. 하드커버여야 함. 


 그리고 이 책에서 또 좋았던 거, 슬픔 들어간 사탕, 술병 매달아 둔 실수 나무


 제일 좋았던 건 잘 웃는 윈딕시지만, 귀여운 이야기들이 많이 남은 이야기였다. 

 특히 생일선물로 도서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제 요나에게 어떤 지명들은 재난과 동의어였다. 뉴올리언스에서는 허리케인의 흔적을 볼 수 있고, 뉴질랜드에서는 도시를 폭삭 무너뜨린 대지진을 훔쳐볼 수 있고, 체르노빌에서는 핵 누출로생긴 유령 마을과 낙진으로 생긴 붉은 숲을, 브라질의 빈민가에서는 경제 재앙의 현실을, 스리랑카나 일본, 푸껫에서는 쓰나미의 위력을, 파키스탄에서는 대홍수를 경험할 수 있었다.
따지고 보면 재난이 없는 도시는 없었다. 재난은 우울증 같은 거라 어디에든 잠재했다. 자극이 임계점을 넘으면 그 우울증이 곪아 터지기도 하지만, 용케 숨어 한평생을 마무리하는경우도 있다.
- P12

재난 여행을 떠남으로써 사람들이 느끼는 반응은 크게 ‘충격 → 동정과 연민 혹은 불편함 → 내 삶에 대한 감사 → 책임감과 교훈 혹은 이 상황에서도 나는 살아남았다는 우월감‘의순으로 진행되었다. 어느 단계까지 마음이 움직이느냐는 사람마다 다르지만, 결국 이 모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재난에 대한 두려움과 동시에 나는 지금 살아 있다는 확신이었다. 그러니까 재난 가까이 갔음에도 불구하고 나는 안전했다.
는 이기적인 위안 말이다.
- P6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우리의 인종적 세계관에 대한 도전을 선량하고 도덕적인 사람들이라는 우리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도전으로 간주한다. 그런 이유로 인종주의 체제와 우리를 연관짓는 모든 시도를 마음을 어지럽히는 부당한 도덕적 모욕으로 여긴다. 아무리 적은 인종 스트레스라도 우리는 견디지 못한다. 이 사회에서 백인이라는 것에 의미가 있다고 암시하기만 해도 대개 일군의 방어적 반응을 보인다. 그런 반응에는 분노, 두려움, 죄책감 같은 감정과 논쟁하기, 침묵하기,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상황에서 벗어나기 같은 행동이 포함된다. 우리 백인은 이런 반응으로 도전을 물리쳐 균형을 회복하고, 인종적 편안함을 되찾고, 인종 위계에서의 우위를 유지한다.
나는 이 과정을 백인의 취약성으로 개념화한다.  - P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Joe‘s enthusiasm had its downside. In a town filled with people who liked to hear themselves talk, he had peer.
If a speech was scheduled for fifteen minutes, Joe went for at least a half hour. If it was scheduledfor a half hour, there was no telling how long he might talk. His solilo-quies during committee hearings were legendary. His lack of a filter pe-riodically got him in trouble, as when during the primaries, he had pronounced me "articulate and bright and clean and a nice-looking guy,"
a phrase surely meant as a compliment, but interpreted by some as suggesting that such characteristics in a Black man were noteworthy.

As I came to know Joe, though, I found his occasional gaffes to be trivial compared to his strengths. On domestic issues, he was smart,
practical, and did his homework. His experience in foreign policy was broad and deep. During his relatively short-lived run in the primaries, he had impressed me with his skill and discipline as a debater and his comfort national stage. Most of all, Joe had heart. He‘d overcome a 
bad stutter as a child(which probably explained his vigorous attachment to words) and two brain aneurysms in middle age. In politics, he‘d 
known early success and suffered embarrassing defeats. And he had endured unimaginable trag-edy: In 1972, just weeks after Joe was elected to the Senate, his wife and baby daughter had been killed and his two young sons, Beau and Hunter, injured in a car accident. In the wake of this loss, his colleague and siblings had to talk him out of quitting the Senate, but he‘d arranged his schedule to make a daily hour- and-a-half Amtrak commute between Delaware and Washington to care for his voys, a practice he‘d continue for the next three decades. - P16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띠지에 나와 있는데 몰랐네. 고딕스릴러 단편집이다. 


'사라지는 건 여자들뿐이거든요'는 마지막 작품인 허희정 작가의 '숲 속 작은 창가에서' 에 나오는 문장이다. 


여자들이 사라지는 숲을 조사하러 내려온 피디가 사리지고 싶어 P시를 찾은 나에게 하는 말. 

" 사라지는 건 여자들뿐이거든요."


책소개를 읽지 않아도, 제목만 봐도 어떤 책일지 알 것 같은 마음으로 읽었다. 고딕스릴러인지는 몰랐지만. 


작품들이 다 으스스하다. 어떤 장르였다고 해도 현실의 으스스함이 덮어졌겠지만, 대놓고 고딕스릴러들이라는 점이 읽고나니 더 인상 깊다. 




한국 작가들의 고딕스릴러를 아직 많이 못 읽어봤지만, 정말 잘 맞는 장르같다. 여자를 가두고, 죽이고, 사라지게 만들고. 우리나라 여성 작가들이 아주 잘 쓸 수 있는 장르인 것 같다. 각각의 단편들도 다 수작이고, 잘 읽었다. 


책 말미의 강지희 평론가의 발문이 특히 기억에 남는다.  


여자들이 실종되거나 죽고 난후에 남는 것은 "어떤 것도 변하지 않는 견고한 현실과 무기력을 동반한 적막" 


소설을 읽고 읽으면 더 와닿는 발문이긴한데, 발문의 전문을 읽어보길 권한다. 


"2010년대 중반 득세한 가정 스릴러는 대개 남편의 폭력성이나 비밀스러운 과거가 문제의 중심에 있고, 이에 대응하여 능동적 가학성을 발휘하는 여성 인물들이 등장했다. 그러나 최근 한국문학에서 여성 화자를 내세운 심리 스릴러들이 보여주는 가장 뜨거운 애증은 다른 여성을 향해 있으며, 가학성은 기묘한 자기 처벌로 귀결된다. 그 근간이 되는 유서 깊은 모녀의 애증은 이 소설집 중핵에 있다. 


어머니는 자애와 희생의 존재로 신화화되는 대신, 냉담하고, 잔혹하고 징그럽기까지 한 이기적인 존재로 그려지며 죽음과 긴밀한 관계를 맺는다. 어느 순간 증발하고 잊혀진 여자들은 생명을 줄 뿐 아니라 임의로 박탈하는 괴물적 모성이 지닌 권력의 이면이다. 이 가운데 평생 열정과 변덕으로 새로운 남자를 찾아 헤맨 어머니를 딸이 목 졸라 살해할 때, 한국문학의 오랜 모성 신화가 깨져나가며 새로운 권력 계승의 길이 열린다. (...) 모친 살해는 사회제도의 압력을 개인화된 불운과 추문으로만 경험해야 했던 여성들이 '종교'와 '친족'을 해체하고 레즈비어니즘으로 새로운 사회를 열어내는 시작점이 될 수 있다. 뿌리 깊은 애증과 불안의 부정적인 속성들을 유산으로 여기며 상속받을 수 있을 때, 여성들은 증여의 대상이 되거나 증발하듯 사라지기를 그친다. " 


한녀문학이라는 멸칭을 자조적으로 혹은 애증으로 말하곤 했다.(강화길 작품들. 어머니와 딸, 시어머니와 며느리)  좋아하는 작품에서도 독한 모녀 관계가 눈에 띄었는데 (남유하 '다이웰 주식회사' 같은) 위의 발문이 일정 부분 답이 되어 주는 것 같기도 하다. 이정표가 하나 생겼으니, 계속 읽으면서 생각해보겠지만, 아버지에서 아들로 내려오는 유산에 대한 이야기만 주구장창 읽어왔는데, 어머니에서 딸로 내려오는 그 독하고 찐득한 그 정서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거리가 생겼다. 


리뷰를 쓸 지 모르겠지만, 쓴다면 책도 별 다섯개. 흔한 콘셉트라고 생각했는데, 실려 있는 단편들의 수준도 높고, 발문까지 읽고 나니, 좋은 기획이었다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