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로 앉아 금琴을 타고 샘터 우리문화 톺아보기 2
이지양 지음 / 샘터사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결코 읽기 쉽지 않았다. 솔직히 고백하자면 중간 중간 어떤 얘기를 하고 있는지 알아채지도 못한채 그저 책장만 넘긴적도 많다. 다른 책을 읽는 틈틈이 조금씩 읽었다고는 하지만, 익숙하지 않은 내용들을 겉돌기만 하면서 읽었기때문에 집중해서 읽지도 못한 탓도 있겠지......

지금 솔직히 책에 대한 느낌을 딱히 끄집어 내기 힘들다. 어려운 듯 하면서도 저자가 우리에게 익숙한 이야기들의 내용을 자분자분 설명해주고 있기때문에 또 한편으로 재미있기도 하고 흥미가 생겨나기도 한다. 
"소리를 통해 소리의 진원지 상태, 소리를 낸 사람의 심정이며 정서, 주변 상황까지 세심히 알아듣는 귀. 그런 귀가 있는 세상은 든든하고 평화롭고 행복하다. 내 마음을 나처럼 알아줄 사람이 있는 세상이므로"(42)

이쯤에서 나는 이 책에서 말하고 있는 소리들을 듣고 싶다는 생각이 뭉실뭉실 생겨나기 시작했다. 도대체 이 소리는 어떤 느낌일까? 말로 상처를 받은 사람에게 꼭 권해주고 싶다는 구음시나위는 도대체 어떤 곡이길래 영혼을 얼러주는 가락이라고 했을까? 회심곡을 들으면 아직까지도 철없이 부모에게 받으려고만 하는 내가 조금은 철이 드는 눈물이 흐를까?
책을 읽다 문득 궁금함을 참을 수 없어, 구음 시나위를 듣고 싶은 마음에 라디오방송에 책의 내용을 적어 곡을 듣고 싶다는 사연을 적어놨다. 들을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흥미롭다며 찾아보겠다는 대답을 들으니 괜히 기대가 된다. 역시 이 책은 문자로만 읽는 것이 아니라 소개된 곡들을 들으면서 두고두고 읽어야 진정한 가치를 드러낼 수 있는 책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러고보니 저자에게 소리를 배우라고 그렇게 권유한 심정을 이제야 새발의 피만큼이라도 느끼고 있는 것인가?

그렇다고 저자는 우리의 전통가락이 좋으니 그걸 들어야만 한다는 강요는 하지 않는다.
"판소리는 이 시대의 유행가가 될 수는 없다. 그것은 지나간 시대의 히트곡이다. 판소리가 유행하던 시대의 시대상과 생활 정서 및 감각, 인정 세태를 담고 있는 것이다. 그 판소리를 오늘날의 유행가로 다시 즐길 수 없는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판소리는 존재 자체로써 우리 음악 문화의 뿌리를 일깨우고 새로운 음악 문화 창조에 깊고도 다양한 게시를 준다. 자기 시대의 무엇을 노래에 담아야 할지 암시해 주는 것이다"(282-283)

옛글을 읽고 그 안에 담긴 우리의 음악 이야기를 읽고, 그러다가 음악을 듣고 싶어졌다. 이 시대의 유행가만을 듣는 것이 아니라 내가 새롭게 알게 된 추억의 명곡을 들어보고 싶어 이리저리 뒤적거리며 노래를 찾아 들어보는 것처럼, 판소리가 유행하던 시대의 정서와 그 마음을 들어보고 싶어진 것이다.
홀로 앉아 책을 읽으며 우리의 음악에 심취했다고는 절대 말할 수 없지만, 옛글 속에 담겨있는 우리 음악 이야기를 듣다보면 나도 모르게 우리 음악속으로 한걸음 들어가보고 싶어지게 되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홀로 앉아 책을 읽었지만 어쩐지... 누군가와 함께 책을 읽고 마음을 나눈 것 같은 느낌은 이 것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내가 발견하고 느낀 우리 음악 문화 전통은 '우리 것이라서 소중하고, 우리 것이라서 무조건 멋있다'는 식의 군색한 논리를 내세우지 않아도, '어디에 내놓아도 멋있고, 어디에 내놓아도 부끄럽지 않은 객관적 가치를 지닌 것'이었다. 타인을 모방하던 사람도 자기 스타일을 발견하면 모방을 그치게 되는 법. 우리는 너무 오래 서구 문화를 수입하여 확대 재생산하는 문화 시스템을 가동시켜 왔다. 그것은 우리 스스로의 모습을 우리가 너무 몰라서 그런 탓이 많은 듯하다"(저자서문)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늘바람 2007-05-24 06: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떤 느낌의 책인지 알것같아요

chika 2007-05-24 11: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글이 좋아서요... 음악도 같이 듣고 싶은데 말이지요;;;;
 

나는.... 뭔가 하나에 관심을 갖게 되면 편집증처럼 몰두하게 되는 듯 하다. - 그것이 '공부'같은 거라면 얼마나 좋았을까마는.... 소위 말하는 '성공적인 삶'을 향한 필요성분에는 전혀 관심이 없었던 것 같고.
그냥 뭔가 어느 순간 관심이 꽂히면 끊임없이 그 생각뿐이다. - 물론 그렇다고 내가 집요하게 집중해서 몰두하거나 깊이있게 파고드는 건 아니다.

그니까 흔히 말하는 '흥미'를 느끼고 이것저것 들쑤셔보다가 어느 순간 싫증내며 나가 떨어지는 것.

근데 지금 내 관심사는 뭘까.

날마다 피곤한 이유가 뭔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5582345

 

책 정리도 해야하고... 요즘은 책보다 공부에 더 신경을 쓰고 싶지만, 몸과 마음과 정신이 이미 게을러져버린 나로서는 책을 손에서 떼어놓을수가 없다.

이번달, 통장이 결국 마이너스를 기록할 초유의 사태를 맞이하야... 긴장하고 있었는데, 다행히 자금(?)이 풀렸다. 에헤라디여~
돈 얘기는 어쨌거나 싫다아~

아무튼 조금 사정이 트일 기미가 보이니 이제 .... 딴데신경을 좀 써봐야겠다.

오늘 집에 가서 책의 일부만이라도 정리를 해야겠다. 너무 많이 쌓여있고, 내가 다 읽고서 정리하려면 또 한달, 한달... 무기한으로 늘어나버릴테니까. 아, 근데 지금 시점에서는 책이 별로 없는데.. 어쩔래?
아무튼 맘 내키는대로 책을 판매하거나 이벤트로 화악 풀어버리거나.
이벤트로 화악 풀어버리는 짓을 자주하면 즐찾이 마구 증가할테니, 지금은 어쨌거나 맘 내키는대로 판매할래. 아니, 지금 당장은 사무실 청소하고 퇴근준비할래.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정신을 못차리고 있다. ㅇ0 ㅅㅇ ㅇㅍㅊㅍㄱ대ㅑㅔㅓㅏㅣㄴ렶ㅁㄴ어ㅏ맄틍/.ㅍ먼ㄹㅇ;ㅣㅕㅈㄱ댭ㅁ넘ㅇ너라ㅣㅑㅐ4ㅕ9ㅓㅏ민ㄹ우ㅏㅍㅊ,ㅡ./ㅌㅊㅋ퍼ㅏㄱㄷㅁ쟈9ㅕㅅㅁㅇㅋ으,.ㅊㅌㅍ커ㅗㄱㅇ니ㅏ;ㅡㅏㅋㅇㅌ랴ㅐㅕㅈㄷ갸9ㅔㅇㄹ나ㅣㅊㅌ녀ㅑㅐㄱㅈㄷ배ㅑㅔㅂㅁㅡㅇㄴ러ㅏㅣㄱㅁ댜ㅐㅔㄷ저ㅏㅣ먀ㅐㅂㅈㄱ더ㅏㅗㅓ마ㅓㅣㅁㄴㅇ렵487ㅂ0ㄱㄹ다ㅣㅁ너ㅏㅣㅕ8ㄱㅈㄷㅂㄴㅇ르,./.,ㅡㅋㅌㅊㅁ노ㅕㅓㅁ져8ㅇㄹ나ㅣ'ㄴ마ㅡㅋ퉃

무작정 손바닥으로 자판을 내리눌러 나온 문자의 조합.

아무생각없이 딱 열두시간만잤으면좋겠다. 그러고나면 다 개운해질까?물론그건아니다.그게아니란것도 알지만지금순간만큼은그냥딱열두시간만잤으면좋겠다는생각뿐이다.그러고나면 달라질것없고똑같겠지만그래도정신만큼은조금맑아지지않을까?미칠것같다.이런몽롱한상태로저녁시간까지있어야한다는것이끔찍해끔찍해오늘학원가지말까?그러면내일쉬고금요ㅗ일도가기싫어질꺼고그러다보면아,정말가기싫어질꺼같다.사실니가영어를재밌어하긴하지만안되는말을떠들어대고안되는말을들어주고서로의견이통하지도않는사람과얘길르나누누것도싫잖아어제는담배냄새도무지많이났고.아,사실걸고넘어지고싶은건그게아니잖아벌써오후세시다조금정신이나네.커피의효과인가?아무튼또정신차릴수없을만큼해롱거리기시작하면커피를마셔야겠다뭔가안정되지못한상태인듯한내내적인불안은그이유가뭘까?정말..불안은영혼을잠식하고있는것인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이드 2007-05-23 15: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션한 스트로베리 아이스티 한자 어때요? 음냐음냐~



chika 2007-05-23 16: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끄아~! 아이스티, 원츄~ ㅠ.ㅠ
아쉬운대로 얼음물이라도마셔야겠어요.끄흑~ㅠ.ㅠ
 

피곤이 쌓이는 것 같은데, 여전히 잠자는 건 들쑥날쑥이다.  낮에는 기운없이 아니, 정신없이 멍,,,하니 다니고 있고, 저녁에는 졸다 깨다 하면서 맑은 정신상태를 갖지 못하고. 깊이 잠드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깨어있는 것도 아니고. 도대체 지금 내가 뭐 하는 짓인가, 싶다.
걱정거리가 있는 것도 아닌데 말이다.

어제는 지극히 현실적인 꿈을 꿨다. 꿈속에서도 여전히 더듬거리고 문법적으로 마구 틀린 영어를 쓰는데, 그래도 좀 나은것은 옆에 영어를 잘 하는 누군가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거리낌없이 하고싶은 말을 내뱉었다는 거. 그리고 꿈에서도 여전히 일단 틀린 말을 내뱉고 조금 지나서 혼자 아까 표현은 이게 맞는건데... 하면서 다시 되새김질 했다. 그러고보면 현실보다 꿈속의 내용이 좀 더 나았다는 얘기가 되나?

내가 말만 꺼내면 웃는 표정이, 꼭 내 말이 틀려서 비웃는 것 같았던 전 강사를 이젠 내 편한대로 대하게 되었다. 어줍잖은 영어 쓰기를 포기하고 그냥 알아듣든 알아듣지 못하든 우리말로 마구 내뱉았는데 - 사실 수업을 받던 기간동안에는 우리말을 전혀 못알아듣는 표정을 지어서 진짜 모르는 줄 알았다. 그런데 말이다 다 알아듣고 이해하는거 아닌가! 이런 젠장.
아무튼 궁금한 건 좀 못참는 성격이라, 그동안 말이 안돼서 꾹 참고 있었지만 이젠 될대로 되라는 심정이니까 그냥 궁금한 걸 물어봤다. 그랬더니 본인이 알아서 내가 묻고 싶은 걸 영어로 말하더니 '모른다'고 한다. 헉! - 하긴 고유명사라고 생각하긴 했지만 그래도 뭔가 통용되는 말이 있을 줄 알았는데.
그래도 좋았다. 한명은 영어로 한명은 우리말로 하고 싶은 말을 서로 떠들어대니 얼마나 좋은가! ㅋ
결국 그런건 '이웃'에게 물어보라고 웃으며 얘기를 끝냈는데, 수업 끝나고 물어봤지만 모르더라. 더 이상의 설명은 내 처지에서 불가능하기에 얌전히 인사하고 밖으로 나왔다. 복도에서 또 우연찮게 전 강사를 만났는데 '뭔지 알았냐'고 묻는다. '모르겠다는대요~!' 라고 말하니 웃으며 가버린다. 흑~
아무튼 이젠 생각을 바꿀꺼다. 전 강사는 나를 비웃는 것이 아니라 그냥 재밌어서 웃는 것이다...라고.
나도 내가 가끔 엉뚱하고 행동방식이 웃기다는 거 알지만, 댁도 만만치않어. 그럼, 편해지는거지.

점심시간에 밥 먹으러 갔다가 내가 싫어하는 직원의 모습을 보고 밥 먹기 싫어져 바로 돌아나와버렸다. 배가 덜 고팠구나, 라고 하면 맞다고 할꺼다. 나이는 갈수록 더 먹어가고 있지만, 여전히 애들처럼 싫은건 참지 못하고 있다. 우웩~! 도대체 어쩔거냐고.

 

내 마음과 내 생각과 내 몸이 모두 아무것도 하지 않는 나태하고 게으른 상태를 요구하고 있다. 그렇게 살면 안된다는 의식이 밑에서 치고 올라오고 있지만 또 만만치 않게 그 반대의 본능이 치고 올라오고 있는 것이다. 결국은... 내가 생활에 있어 실천력이 부족함으로 인해 나타나는 괴리감인지도 모르겠고.
아, 또 단순한 문제를 복잡하게 만들어가려는 조짐이 보인다. 이제 그만, 자야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7-05-23 01:32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