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제왕의 생애 (반양장)
쑤퉁 지음, 문현선 옮김 / 아고라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사방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순식간에 그것을 산산조각 내서 저 하늘 멀리 날려버릴 수도 있습니다. 만약 어느 날 그대가 왕이 된다면, 왕궁 안에 가득한 미인들과 수많은 금은보화를 갖게 된다면, 그대는 그대 자신이 텅 비어, 한 조각 나뭇잎처럼 바람 속을 떠돌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180)

나, 제왕이 된다면 나의 생애는 어떻게 될까.... 나 자신은 텅 비어 바람속을 떠돌게 될까?

단백은 어린 나이에 원하지도 않았던 섭국의 왕이 되었다.

나는 이 책에 대해 이 한문장 외에 다른 말을 덧붙이고 싶지 않다. 이 하나의 문장에서 끄집어 낼 수 있는 모든 이야기들을 떠올려보라. 그리고 그 이야기들의 깊이를 생각해보라... 나는 나의 한계에 대해서는 생각하지도 않는다. 다만 쑤퉁이라는 작가가 꿈에 기대어 글을 쓰고, 꿈에 기대어 살아간 이야기들을 풀어놓는 것을 꿈속의 꿈처럼 꿈결에 들을뿐이다. 저 한문장 안에 수많은 역사가 담겨있음을 꿈속의 이야기처럼 들을 뿐이다. 어느 시대, 누구의 역사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수백년을 지나간 역사의 몇 단편들이 어렴풋이 떠오르기도 했지만 꿈에 기대어 쓴 이야기에서 역사의 사실을 끄집어 내려는 것은 어리석은 짓일뿐인것이다....

가을이 깊었으니 머지않아 섭국의 재난이 닥치겠구나, 라는 말은 제왕인 단백의 첫 말이었다. 그리고 끊임없이 되풀이되는 '섭국의 재난이 닥치겠구나'는 역사의 흐름속에서 당연히 몰락해가리라는 섭국의 운명을 담담히 받아들일 수 있게 해주고 있다. 아니, 그렇게 믿었다.  
나는 무심결에 어린 단백이 섭국의 제왕이 되었기에 섭국의 재난이 닥치겠구나,라고 생각하고 만 것이었다. 하지만 역사의 흐름은 '어린 나이에 섭국의 왕이 되었다'에서 시작해 바로 '섭국의 재난이 닥치겠구나'로 끝나는 것이 아닌것이다.

두려움에 떨고, 그 두려움을 '죽여라'라는 명령으로 물리치려고만 한 겁많고 철없는 어린 제왕 단백의 섭국통치는 당연히 그의 할머니 황보부인에 의한 섭정통치인 것이었고 내게 황보부인은 그 이상의 의미가 아니었다.
"이건 내가 너희 사내놈들과 즐긴 한바탕의 농담이니라"(207)
죽음을 앞둔 황보부인이 단백에게만 보여 준 향낭의 비밀을 알게 된 순간 나는 예상할 수 있었던 일이었음에도 새삼스럽게 놀라버렸다. 그녀가 진정 권력의 중심이었고 역사의 흐름을 좌우하려한 야망가였던 것이다. 이것 역시 섭국의 재난이 닥치게 되리라는 것을 말하려한 것일까?

"나는 문득 내 섭왕의 표지가 다른 사람의 몸에도 잘 어울리며, 심지어 더욱 위풍당당해 보일 수도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환관의 누런 옷을 입고 있으면 나는 어린 내시에 불과했다. 금관과 용포를 걸치고 있어야만 비로소 제왕이었다. 그것은 아주 무시무시한 경험이었다"(98)
단백이기 때문에 제왕인 것이 아니다. 제왕이 되고자 하는 야망이 없었던 단백이었기에 그는 그저 제왕의 겉옷을 뒤집어 쓴 제왕일 뿐이었던 것이다. 그래서 두려움만 가득한 단백은 충신 양송을 비참히 죽게 만들어버렸고, 어린 섭왕의 잔학함은 머지않아 섭국의 재난이 닥치리라는 것을 떠올리게 한다.

이렇게 나는 대섭궁안에서 벌어지는 잔혹한 이야기들은 오로지 섭국의 재난이 닥치리라는 것을 예고하는 것이라 믿었고, 나는 그렇게 단백의 어리석고 불안정한 마음에만 생각을 집중하고 있었다. 그것이 섭국의 역사라고 생각을 했다. 역사를 생각하다니. 진정 어리석은 것은 오로지 나 뿐이었던 것이다.
제왕의 자리에 더 어울린다고 믿었던 단문의 통치는 어쩌면 단백의 그것보다 훨씬 더 잔혹한 것이었는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 것은 이미 단백이 제왕의 옷을 벗어던지고 섭궁을 나와 광대의 꿈을 향해 걸어가고 있을때였다. 단백이 광대의 꿈을 꾸고 있으니, 머지않아 섭국의 재난이 닥치리라......

"인간은 초조함과 공포, 거칠게 날뛰는 욕망으로 엮인 생명의 끈 한 가닥을 잡고 있다. 누구든 그 끈을 놓으면 그 즉시 어두운 지옥으로 떨어진다. 나는 부왕이 그 끈을 놓음으로써 죽음에 이른 것이라고 굳게 믿고 있었다"(232)
"왜 죽음은 나 혼자만을 이렇게 덩그러니 남겨둔 것일까? 왜 이 누구보다 깊고 큰 죄를 지은, 용서받지 못할 자만을? 갑자기 뭐라 말할 수 없는 뼈아픈 슬픔이 북받쳐올랐다. 나는 살겁 뒤에 남겨진 경성의 백성들과 더불어 목을 놓아 울었다. 그것이 내가 평민으로 살면서 흘린 첫번째 눈물이었다.(340)

<단백은 어린 나이에 원하지도 않았던 섭국의 왕이 되었다>라는 한문장 외에 어떠한 말도 덧붙이고 싶지 않다는 말을 내뱉고 왜 이렇게 많은 말을 해버린 것일까.
아니, 실상 그리 많은 말을 한것도 아니다. 나는 섭국의 재난에 대해서만 이야기했을 뿐이다.
단백에 대해, 단백을 위해 목숨을 바친 연랑에 대해, 단백이 사랑한 혜비에 대해, 단백의 생을 바꿔버린 황보부인에 대해서도 제대로 이야기하지 않았다. '꿈에 새로운 세계를 본' 자유로운 광대 단백에 대해서조차 이야기를 하지 않았다. 나, 제왕의 생애는 나의 이야기로 옮겨놓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했다. 이 안에 담겨있는 삶의 이야기를 직접 쑤퉁의 글로 읽어보기를 권할수 있을 뿐이다.

그리고 속이 들여다보일 듯 맑고 끝이 없는 하늘을 눈처럼 하얀 새들이 날아 오르는, 꿈에 새로운 세계를 본 단백의 이야기를 털어놓는것보다 내 마음을 치는 것은 단백이 사랑한 혜비의 한마디뿐이었다.
"저는 부끄러움을 모르는 여자입니다. 하지만 궁 안에서나 궁 밖에서나 세상 어느 곳을 보아도 부끄러움을 아는 사람은 없더이다. 대체 어디에 부끄러움을 아는 사람이 있습니까?"(293)
순간 나는 부끄러운 자가 되었지만, 또한 도무지 내 부끄러움이 무엇인지를 모르는 자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괴짜 경제학 (개정증보판) - 상식과 통념을 깨는 천재 경제학자의 세상 읽기 Economic Discovery 시리즈 4
스티븐 레빗 외 지음, 안진환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7년 4월
평점 :
일시품절


요즘 읽는 책이 뭐냐는 물음에 '괴짜 경제학'이라고 했더니, 누군가는 들어봤다고 하고 또 누군가는 '경제'라는 말만 듣고 '난 경제관련 책은 싫어해'라고 말하더라.
글쎄.... 이 책이 경제학 책이던가?
뭐라 끄집어내어 설명하기는 힘들었지만, 경제적 개념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사회현상에 대한 데이터 분석 자료로 보는 것이 낫지 않을까, 싶었다.

광고문구에 나온 것처럼 손에 땀을 쥐게 한다거나, 경탄을 하게 된다거나 이미 알고 있는 세상이 가짜다! 라고 느껴지진 않지만 세상의 현상들에 대한 데이터 분석만큼은 흥미를 끌었다. 물론 그것 역시 완벽하게 믿을만한 수치라는 생각이 들지는 않지만.
상식과 통념을 깬다고 했지만 그것이 어떤 의미를 갖게 될 것인가는 독자의 몫이 가장 크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실... 금방 책을 다 읽기는 했지만 내 안에 수많은 궁금증과 물음이 담겨있기만 하고 정리된 결과는 없어서 뭔가 책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가 힘들다.

오늘, 책을 잘 읽지 않는 학생에게 이 책을 선물해주기로 했다. 법,을 전공한다고 하길래 '책을 많이 읽어야 되잖아!'라는 말을 해 줬는데 말로만 그러지 않고 이 책을 다 읽고 선물해주면 책을 읽겠냐고 묻고 기꺼이 선물해주기로 했다. 괜히 읽기 싫은거 떠넘긴건 아닌가 싶었지만 표정을 보니 좋아하는 것 같아서 내 마음도 좋다. 그래서 내게 이 책은 뭔가 미진하고 의문이 남아있지만 그 학생에게는 말 그대로 상식과 통념을 깨는 이야기가 될지도 모른다는 흐믓한 기분으로 책을 끝내기로 했다.

* 생각해보니 바로 이 글이 이따위 서평도 서평이야? 라는 말을 들음직한 서평아닌가! 하지만 어쩌나... 저자 자신도 인정하다시피 통일된 주제도 없고, 일관성 있게 설명하기도 힘들고. 그렇다고 이 책에서 다룬 주제를 열거하면서 자세히 설명하기는 싫은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난 정말이지 아무래도 익숙한 것에 대한 미련이 심각할만큼 강한가보다.

미리보는 나의 서재 2.0을 들여다보다가 '이거뭐야?'하고는 바로 나와버렸다. ㅠ.ㅠ

다른 사이트에서 많이 봤던 블로그 형태임에도 불구하고

도무지 알라딘 같지 않은 느낌은....................... OTL

 

 

 


댓글(5)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paviana 2007-06-01 15: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들어가 보고 이게 모야 그러고 있어요..
그냥 예전거 쓰면 안 될까요?

chika 2007-06-01 16: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덥썩) 그치요? 그치요? 익숙한것에대한그리움,이 더 커져가요 ㅠ.ㅠ

홍수맘 2007-06-01 16: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두려워 못 들어가고 있어요. ㅠ.ㅠ

해적오리 2007-06-02 12: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2283000

나두 맘에 안들어~


mong 2007-06-03 11: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금이 좋아요...ㅜ.ㅡ
 

... 철분약땜에 자제하던 홍차를

이젠 오전에 약 먹고, 오후엔 괜찮을꺼야! 하면서 슬슬 마시기 시작.

 

마트에서 파는거긴 하지만,

그래도 로얄밀크티, 

점심먹고 나서 마시는 달달한 차 한 잔,이 주는 이 포만감. 충족감. ㅋㅎㅎ

 

정말 맛있는 밀크티를 마시고 싶긴 하지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물만두 2007-06-01 13: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확~ 철분약 잘 흡수되는게 중요하다구!!!

chika 2007-06-01 15: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i0i
(기꺼이 벌 받겠음! 홍차가 으을마나 맛있는데에에~~~~~~~~~~~~~~~~)
 

영어도 잘하더니... 불어도 하는군!

조, 아저씨? 푸핫!

 

암튼!

난 한국어와 제주어를 할 수 있다구! 흥~!!!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7-06-01 12:35   URL
비밀 댓글입니다.

chika 2007-06-01 13: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고어는 잘 모릅니다.
영어배울 때, 고어는 사전에도 안나오고 힘들던데.. 그 비슷한 느낌일지도.
고전문학은 어려워요~ ㅠ.ㅠ

2007-06-01 13: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진주 2007-06-01 17: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 저두저두요~~
난 한국어 표준말과 경상도 방언을 구사할 수 있다궁! 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