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의 지배자
크리스토프 바타이유 지음, 김정란 옮김 / 문학동네 / 1997년 12월
품절


사물의 정신은 때로 사람의 정신에 일치한다. 그래서 우리는 그 나라에 세워진 건물들, 길이 늘어서 있는 모양, 강물의 깨끗함 정도 등을 보고 한 왕국의 영혼의 깊이를 헤아리는 것이다.
불행한 시대일때, 건축가들이 선택하는 자재도 사람들 마음처럼 무겁게 짓눌려 있다는 말은 맞는 말이다. 건축가들은 돌에게 영원을 약속할 수 이다. 그러나 그 일에 성공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투쟁도, 격정도 아니다. 침묵만 있으면 된다.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사람들은 왕국이 달라졌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풍경은 철따라 달라진다. 너무나 달라져서 과연 같은 풍경일까 하고 놀라게 된다. 그렇게 변화는 풍경처럼, 왕국에는 물이 스며들었다. 날씨는 점점 더 추워졌다. 안개가 바다에서 솟아올라와 땅속으로 스며들었다. 보헤미아 지방의 시벨같은 식물들은 멸종되었다. 정신이 하챦게 여기는 것 때문에 자연은 상처를 입는다. 물이 모든 것을 장악했다. 그런데 중적토를 실어다주는 강물의 범람과는 달리, 하늘에 의하여 그 마술적 힘을 박탈당한 물은, 땅으로부터 힘을, 정수를 빼앗아 갔다.-108쪽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hika 2005-04-28 17: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도저히 리뷰를 쓸 수 있을 것 같지않아 책을 읽듯 본문을 일부 떼내어 왔다.
<다다를 수 없는 나라>를 읽을때의 기나긴 여정에 비한다면 <시간의 지배자>는 뭔가... 뿌연곳을 열에 들떠 떠돌아다니는 느낌... 시테가 그런 곳일까?
 
에릭 호퍼 자서전 - 떠돌이 철학자의 삶에 관한 에피소드 27
에릭 호퍼 지음, 방대수 옮김 / 이다미디어 / 2003년 7월
절판


자유란 일부에게는 하고 싶은 것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의미하지만, 대부분에게는 하고 싶지 않은 일을 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성장할 수 있는 사람은 어떠한 조건에서도 자유를 느낀다는 것은 아마 진실일 것이다.-41쪽

자기 기만이 없다면 희망은 존재할 수 없지만, 용기는 이성적이고 사물을 있는 그대로를 본다. 희망은 소멸할 수 있지만 용기는 호흡이 길다. 희망이 분출할 때는 어려운 일을 시작하는 것이 쉽지만 그것을 마무리하는 데에는 용기가 필요하다. 전쟁을 이기고, 대륙을 제압하고, 나라를 세우는 데에는 용기가 필요하다. -62쪽

지상은 인간들로 넘쳐난다. 마을에서도, 들판에서도, 길에서도 사람들을 보게 되지만 당신은 그들을 주목하는 일이 거의 없다. 그러다 당신의 눈이 한 얼굴과 마주치고 경탄하게 된다. 갑자기 당신은 지상의 어떤 것과도 다른 인간의 숭고한 유일무이성을 의식하게 된다. 사람은 자신의 이미지로 자신을 만든다. 그런 만남에는 쓸쓸함이 있고 다른 별에서 온 것 같은 어떤 것이 있다.-12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열정
산도르 마라이 지음, 김인순 옮김 / 솔출판사 / 2001년 7월
구판절판


어느 날 우리의 심장, 영혼, 육신으로 뚫고 들어와서 꺼질 줄 모르고 영원히 불타오르는 정열에 우리 삶의 의미가 있다고 자네도 생각하나?...... 정열은 그렇게 심오하고 잔인하고 웅장하고 비인간적인가? 그것은 사람이 아닌 그리움을 향해서만도 불타오를 수 있을까?-273쪽

도대체 말로 무엇을 물어 볼 수 있겠나?
실제 삶이 아니라 말로 하는 대답이 과연 얼마나 가치가 있을까?-20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철학 이야기
윌 듀란트 지음, 황문수 옮김 / 문예출판사 / 2001년 5월
장바구니담기


남을 위해서는 행복을, 자신을 위해서는 완전성을 추구하자. 그것이 우리에게 행복을 초래하든, 고통을 초래하든([도덕의 형이상학]서설).
당신에게는 완전을, 타인에게는 행복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그대는 그대와 타인의 인격에 있어서 인간성을 언제나 동시에 목적으로 사용하고 결코 단지 수단으로서 사용하지 않도록 행위하라"([도덕의 형이상학])-307쪽

"나는 신을 숭배하고 벗을 사랑하고 적을 미워하지 않고 미신을 혐오하면서 죽는다" 볼테르(서명) 1778년 2월 28일.-28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철학 이야기
윌 듀란트 지음, 황문수 옮김 / 문예출판사 / 2001년 5월
장바구니담기


소로는 "철학자가 된다는 것은...... 지혜의 가르침에 따라 단순하고 독립적이고 아량과 신뢰가 있는 삶을 살기 위해 지혜를 사랑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지혜를 찾아내기만 하면 다른 것은 저절로 얻게 되리라고 확신해도 좋다. 베이컨은 "우선 마음의 양식을 추구하라. 그러면 나머지는 저절로 얻게 되거나 그 상실을 전혀 느끼지 못할 것이다"([학문의 진보])라고 권한다.
진리는 우리를 부자로 만들지는 못하지만 자유인이 되게 한다.-12쪽

기본 과목은...... 어릴적부터 가르쳐야 하지만 강요해서는 안된다. 자유인은 지식 획득에 있어서도 자유인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강제에 못 이겨 습득한 지식은 기억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강요하지 말아야 한다.
초등교육은 일종의 오락이어야 한다. 이렇게 하는 것이 어린이의 자연적 소실을 알아내는데 더욱 유리할 것이다([공화국])-48쪽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hika 2005-04-07 17: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할 것이다.(요한 8,32)
- 나는 자유인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