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우유와 소보로빵 마음이 자라는 나무 8
카롤린 필립스 지음, 전은경 옮김, 허구 그림 / 푸른숲주니어 / 200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에도 외국노동장들이 많다. 동남아 근로자들을 보면서 늘 안타깝다는 생각을 했었다. 고향을 떠나 타향에 와서 힘든 노동을 하면서도 가족을 생각하는 마음때문에 언제나 희망을 잊지 않는 그들을 보며 존경을 느꼈었다.

이 글도 아프리카에서 나라가 망하고 엄마의 마을이 사라진 상황에서 독일에 정착하게 된 샘의 부모는 독일 정부의 지원으로 간호사, 운전사 일을 하며 살아간다. 샘은 그런 힘든 엄마의 마음을 잘 알고 독일어도 잘하고 피아노, 미술등을 잘하는 학생으로 자란다. 하지만 독일 사회가 어려워지면서 독일 시민들이 외국에서 온 근로자들을 탄압한다. 유색인종이 사는 집에 불을 지르고 구타하는 사건이 자주 발생한다.  샘은 그런 상황에 직접 처하게 되고 학교에서도 왕따를 당한다.

하지만 학급 음악연주회를 통해 가장 많이 샘을 괴롭혔던 보리스와 우정을 찾는다는 이야기이다. 샘은 얼굴이 깜해서 커피우유, 보리스는 얼굴에 여드름이 많아서 소보로빵이라고 제목을 지은 듯하다. 화상으로 손이 부상을 입어 피아노를 칠수 없게된 샘을 위해 보리스가 함께 연주할 것을 제안하고 2주간의 연습끝에 멋진 연주를 하고 대회에서 2등을 해서 반 친구전체가 함께 여행을 가게 된다.

중학생들이 읽기에 아주 재밌고 쉬운 작품이 될 것 같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월의바람 2007-03-22 09: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코시안 문제와 관련해서 논술시에 꼭 읽어야 할 작품이다.
 
소은 씨와 초록빛 자전거
김준식 지음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0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학교 다니는 아들과 그의 친구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을 하지 위해 소설을 썼다고 한다.

교과서에 있는 고리타분하고 구태의연한 말 말고 좀 더 쉽고 자상하게 해주고 싶어서 썼다고 한다. 그런 그의 의도대로 이 글은 중학생,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다.

세 장으로 되어 있는데 나뭇잎 하나에 별 하나씩 뜨는 동네에서는 초등학교 시절 석주라는 아이에게 왕따를 당했던 경험을 위주로, 인경이와의 풋사랑, 소은씨와의 각별한 우정을 다루고 있다.

둘, 희망과 반성으로 채워지던 교실에서는 중학교 시절을 배경으로 한다. 진규, 신제와의 우정, 그리고 인경의 죽음, 소은 씨의 소멸을 다룬다.

셋, 스스로 알을 깨고 나오던 시간은 고등학교 시절을 다룬다. 엄마의 병, 아버지의 가출, 고통, 혜란과의사랑, 해성과의 우정, 강민과의 의리, 돌아온 소은씨와의 대화를 통한 삶의 의미 되살림을 주된 모티브로 한다.

삶이란 누구를 위해서도 아니고 바로 나를 위해 열심히 사는 것이다. 절망도 희망도 사랑도 마음도 공부도 싸움도 결국 내 것이다.

세상은 내가 본 만큼 넓고, 내가 사유한 만큼 단순하고, 내가 사랑한 만큼 아름답다 

많이 교훈적이고 딱딱한 부분도 있지만 한 인물이 성장해가는 과정을 볼 수 있어서 앨볌을 보는 것처럼 파노라마를 보는 것처럼 명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다소 - 중국문학 다림세계문학 1
차오원쉬엔 지음, 첸 지앙 홍 그림, 양태은 옮김 / 다림 / 200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책따세의 추천도서라서 학생들에게 권하기위해 읽은 책이다.

중학생들에게는 흔히 권할만한 책이 쉽지 않은데 이 책은 짧은 단편 4편이 수록되어 있고, 각 작품이 비슷하지만 다른 주제를 담고 있어 읽기도 좋고 감동도 큰 것이 장점이다.

<빨간 호리병박>은 황순원의 소나기와 비교해서 읽으면 참 좋다. 소년, 소녀의 순수한 사랑 이야기로 비슷한 장면을 많이 연상할 수 있다.

<바다소>는 <노인과 바다>를 연상하면서 읽을 수 있는 작품이다. 어린 소년의 할머니의 대한 사랑, 이해 그리고 소에 대한 집념이 잘 나타난다. 어린 나이에도 할 수 있다는 의지가 강하고 그리고 그것을 해야고 만다. <미꾸라지>는 <바다소>와 비슷한 내용인데 강한 집념을 볼 수 있다.

<아추>는 주인공이름으로 부모없이 사랑없이 사는 아추의 비참한 삶을 나타낸다. 이를 통해 가족의 사랑, 소외된 인간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다.

중학생들에게  권하기에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느 날 내가 죽었습니다 (반양장) 반올림 1
이경혜 지음 / 바람의아이들 / 200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죽을 것을 미리 알고 쓴 글일까?

흔히들 어른들은 청소년들이 아직 미숙하고 어리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그들의 행동은 무모하다고만 생각한다. 하지만 <어느날 내가 죽었습니다>는 청소년들이 얼마나 자신에 대해 깊이 생각하고 미래를 고민하고 친구들을 걱정하고 어른들을 객관적이고 사실적으로 관찰하는지 잘 나타나있다.

청소년 권장도서라서 그리고 제목이 강렬해서 읽었지만 줄거리보다는 심리묘사가 잘 된 글이다.

청소년들의 심리묘사나 현실적 행동들이 잘 나타났다는 느낌만을 갖게 하는 책이다.

부모님의 행동, 말들이 청소년들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잘 알 수 있다.

부모님의 이혼, 별거, 싸움이 청소년들에게 정말로 많은 변화와 아픔을 준다. 어른들은 어른답게 가정을 위해 자신을 희생해서라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도록 해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진과 유진 푸른도서관 9
이금이 지음 / 푸른책들 / 2004년 6월
평점 :
절판


요즘 뉴스에서 영아를 유기하는 사건이 너무나 자주, 끔직하게 나온다.

아이를 소중하게 사랑하지 못하고 어른들의 이기로 버리는 일들은 최근에 더 비일지재해지고 있다

이 책은 작은 유진과 큰 유진의 이야기이다.

같은 유치원을 졸업한 두 유진은 같은 경험을 하지만 서로 다른 해결방법을 가지고 있다.

유치원 원장에게서 성폭행을 당하고 큰 유진은 가정의 사랑으로 이를 극복하고

작은 유진을 정말 부끄러운 일이므로 잊어야 한다고 강요받으며 고통으로 넘기려 한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많은 경험을 한다. 그 경험이 때로는 긍정적인 것이 될 수도 있고 부정적인 것이 될 수도 있다. 그 결과는 아무도 모르는 것이다. 모든 경험을 긍정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본인뿐만아니라 주변의 사람들이 함께 노력해야 한다.

이 작품은 중학생이 읽을 수 있도록 추천되는 책인데 청소년기의 학생들이 읽고 성에 대해, 그리고 정체성에 대해 위기 극복에 대해 생각하게 하는 작품이다.

문제는 나쁜 경험이 아니라 해결방법에 있다. 올바르게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혼자가 아니라 함께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