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age.aladin.co.kr/product/99/90/coversum/8991931308_2.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99/90/coversum/8991931316_2.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82/74/coversum/8991931375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70/54/coversum/8991931332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70/54/coversum/8991931340_1.jpg)
미미여사책을 세 권(수로는 다섯 권이지만) 읽었다. <기이한 이야기>도 대기 중이다. 외딴집.이 그 중에 최고여서 시대극인 <기이한 이야기>도 상당히 기대된다. <외딴집>은 등장인물이 참 마음에 들었고, 시대 특유의 분위기가 마음에 들었고, 이야기 전개도 상당히 마음에 들어서 대만족이었다. 계속 되는 그 여운이라니!
<쓸쓸한 사냥꾼>은 연작 소설이라는 점에서 <나는 지갑이다>와 같은 느낌이 들었고, 소소한 이야기가 빨리 읽히는 편이라 괜찮았지만 기대만큼은 아니었다. 특히 <이와 손톱>을 차용한 단편이 들어있다 해서 같은 시기에 구입해서 스포일러가 나올까 전전긍긍하며 읽었던 걸 생각하면;;
<레벨 7>은 뒤로 갈수록 실망스러운 작품이었다는. 전반부는 흥미진진했으나 두 에피소드가 교차하면서, 장르의 모호함과 어중간한 반전과 짜맞추기식의 이야기 전개로 기운을 쫙 빼버렸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71/28/coversum/8991931367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70/46/coversum/8952750977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69/82/coversum/8901076144_1.jpg)
![](http://image.aladin.co.kr/coveretc/book/coversum/8949700905_1.jpg)
이른바 고전이라고 하는 작품들. 그 중에 가장 재미있게 읽은 것은 <이와 손톱>이다. 이야기가 잘 짜여있고, 오늘날 추리소설에 익숙해져 있는 독자라면 누구나 예측할 수 있는 반전이 숨어있지만, 그래도 읽는 재미가 있었다. 결말 봉인본 덕분에 조금 고생하긴 했지만..^^
<시체는 누구?>는 재미면에서 조금은 떨어지지만 고전적인 멋이 살아있는 작품이다. 홈즈를 연상시키는 주인공이 등장하여 왓슨을 연상시키는 집사와 함께 사건을 풀어가는데 오랜만에 옛 작품을 읽어서 그런지 재미가 쏠쏠했다.
<황금을 안고 튀어라>는 기대를 많이했지만, 솔직히 재미가 없었다. 각 캐릭터가 잘 살아있어서 오히려 이야기보다는 캐릭터에 집중하면서 읽었던 작품이다. 굉장히 긴박감 넘치는 소재를 이렇게 긴박감 없게 쓸 수도 있구나, 생각했다.
<환상의 여인>은 비극시리즈를 읽기 전에 읽어봤는데, 예전에 한 번 읽은 기억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범인을 모르고 있다가 깜짝 놀랐다. 이런 반전은 언제나 환영이다. 옛날 작품이라고 무시해선 안된다니까!
![](http://image.aladin.co.kr/product/92/82/coversum/899203637X_1.jpg)
최고의 작품! 모두들 극찬하는 <아웃>에서는 그다지 공감을 느끼지 못했으나, <그로테스크>부터 시작하여 <잔학기>를 거쳐 <아웃>에서 기리노 나쓰오에 대한 감탄이 극에 달했다. 단연코 나는 이제, 기리노 나쓰오의 팬이다. 미로 시리즈가 부디, 더 번역되어 나오길 바란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70/54/coversum/8959132799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51/4/coversum/8975274454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97/11/coversum/8925511215_1.jpg)
<나이팅게일의 침묵>은 전작(바티스타 수술팀의 영광)이 훨씬 나아서, 뒤이어 출간된다는 3편을 볼까말까 고민하게 되었다. <사라진 이틀>은 요코야마 히데오의 감동 강박증이 무엇인가 확실히 알게 해 주어서, 한동안 멀리할 것 같다. <불안한 동화>는 온다 리쿠의 한계를 절실히 보여주는데, 온다 리쿠는 추리 소설은 어울리지 않는다. 그저 판타지적 요소를 결합한 청춘 소설이나 쓰는 편이 낫겠다. 그래서 앞으로 온다 리쿠는 무조건 패스.
![](http://image.aladin.co.kr/product/92/29/coversum/895460322X_2.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92/29/coversum/8954603238_2.jpg)
![](http://image.aladin.co.kr/coveretc/book/coversum/8954603319_1.jpg)
한동안 멀리했던 한국 소설의 재발견. <바리데기>이후 거의 황석영 팬이 된 나는 읽지 않은 전작들을 찾아 읽기 시작했고, <심청,연꽃의 길>에서도 실망하지 않았다. 오랜만의 장편소설로 돌아온 신경숙의 <리진>역시 단아하고 아름다운 문체의 힘이 작품을 빛냈다. 좋은 작품들이 더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02/45/coversum/8970635750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98/57/coversum/8984987646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93/70/coversum/8901068389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97/83/coversum/890107060X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01/70/coversum/8901074613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4/58/coversum/898407182X_1.jpg)
추리소설이 아닌 책 몇 권들. <연을 쫓는 아이>는 괜찮았다. 아프가니스탄이라는 공간적 배경에 대한 이해도 물론 있었겠지만,, 거기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가슴 아팠고, 일종의 성장 소설이라는 점에서 괜한 뿌듯함을 느꼈다. <애덤스미스 구하기>는 경제서인 줄 알았더니 소설 형식이라서 조금 뜨아했던 면이 있었지만, 어느정도는 재미를 얻을 수 있어서 좋았다. 하지만 좀더 전문적인 내용을 다루었다면 더 좋았을텐데 아쉬웠다. <테메레르>는 기대가 커서 그런지 그다지. 흡입력은 좋은 편이었으나 2,3권으로 갈수록 비슷한 이야기가 반복되는 듯 해서 4권이 출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구입하지 않았다. <춤추는 죽음>은 1권만 읽고 2권은 읽는 중이라 평가는 일단 보류. 하지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