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과일은 차게 해서 먹으면 더 맛이 나는 이유는 무엇일까.설탕의 단맛을 100%라고 할 때 과당의 단맛 정도는 115~117%로 더 높다. 반면 포도당은 65~75% 정도. 이들의 단맛 값이 일정치 않은 이유는 온도에 따라 단맛 정도가 변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과일 성분에는 설탕보다 더 진한 단맛을 내는 과당이 들어 있다. 과일 속의 과당 함량은 온도에 관계없이 언제나 일정하다. 과당은 알파형과 베타형이 섞여 수분에 녹아 있는데 과당의 베타형은 알파형에 비해 3배나 높은 단맛을 낸다고 한다.

과일의 단맛이 온도에 따라 차이가 나는 이유는 바로 과당의 베타형과 알파형 비율이 온도에 따라 변하기 때문이다. 보통 우리 혀에 과일이 닿을 때 느끼는 평균 단맛은 알파형과 베타형의 비율이며 이 비율이 온도에 따라 달라지면 과일의 단맛도 다르게 느끼는 것이다.

과일의 온도가 내려가면 알파형이 베타형으로 바뀌어 과일 속에 베타형이 많아진다. 때문에 과일을 차갑게 하면 더 달게 느껴지는 것이다. 하지만 과일을 너무 차갑게 하면 혀의 감각이 둔해지므로 오히려 단맛을 느끼지 못할 수도 있다.

포도당도 알파형과 베타형이 있다. 그러나 포도당의 베타형은 알파형보다 단맛이 더 강하지는 않다. 때문에 포도당이 많은 벌꿀물의 경우 과일과 달리 온도에 따른 단맛의 차가 거의 없다. 그러면 설탕은 어떨까. 설탕에는 과당과 포도당이 1대1의 비율로 포함돼 있으며 과당은 베타형으로, 포도당은 알파형으로 연결돼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숙지황.황기.산조인 등 도움


소아의 일시적인 야뇨는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야뇨 증상이 오래 가고 불안.위축.열등감 등 정서적인 문제가 나타나면 공동체 생활에 자신을 잃고, 대인관계 형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므로 치료를 받아야한다.




야뇨증은 1차성과 2차성으로 나뉜다. 1차성은 태어난 후 한 번도 오줌을 가리지 못한 경우로 병원을 찾는 대부분의 어린이가 여기에 해당된다. 2차성은 최소 6개월 이상 소변을 가리다가 다시 야뇨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1차성은 방광의 용적이 적거나 소변의 조절기능이 늦게 형성되는 아이들로 가족력이 있다. 그러나 2차성은 잦은 병치레나 심리적인 스트레스 이후에 일시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원인만 해소되면 대부분 쉽게 치료된다.

한방에서는 야뇨의 원인을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한다. 첫째는 선천적으로 허약하게 태어나 신장.방광이 허하면서 차가운 경우를 말한다. 둘째는 편식이나 감기, 잦은 병치레 등으로 기혈이 부족한 경우를 들 수 있다. 셋째는 스트레스나 긴장 등이 원인인 심리적인 야뇨증이다.

따라서 치료도 원인에 따라 달라진다. 방광이 허랭(虛冷)한 경우엔 숙지황.산수유.육계 등으로 방광의 기운을 돋우며 따뜻하게 덥혀줘야 한다.

또 기혈이 부족할 때는 황기.인삼.백작약.당귀 등으로 기혈을 보하고, 아이가 심한 스트레스를 받을 때는 산조인.용안육.연자육 등의 약물로 심리적 안정을 도모해야 한다.

보조요법도 도움이 된다. 예컨대 아이에게 배뇨일기를 쓰게 해보자. 오줌을 싼 날은 우는 모습의 스티커를, 싸지 않은 날은 웃는 그림의 스티커를 붙이는 식으로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다. 팬티나 매트에 야뇨 경보기를 부착해 각성하게 하는 방법도 있다. 아이는 주기적으로 오줌을 누기 때문에 경보기를 통해 소변을 보는 시간을 머릿속에 각인시키는 것이다.

또 선천적으로 방광용적이 작은 아이에겐 소변을 참는 방광훈련도 필요하다. 특히 자기 전에 음료나 수분이 많은 과일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음이 먼저 잠들어야 육체도 잠든다 *

1.근육을 느슨하게 해준다.잠을 잘땐, 똑바로 눕는 것보다 오른쪽으로 모로 눕되 두다리를 굽혀근육을 느슨하게 해주는 것이 좋다. 이 자세로 자게 되면 취침 중에도 소화가 잘 되고, 심장의 압박을 주지 않아 혈액순환이 잘 된다

2.잠자기 전에 절대로 화내지 말라수면상태가 되는 과정은 체온과 혈압이 조금씩 떨어지는 과정이라고 볼 수가 있다. 하지만 화를 내거나 근심을 하게되면 체온도 올라가고, 혈압도 높아진다. 결국 화는 잠을 못들게하는 적이다

3.잠자리에 누워 근심하지 말라근심을 하게되면 정신이 더욱 깨어나 잠들기 어렵다. 또한 동양의학에서는 근심이 쌓여 '화병'이 된다고 한다

4.잠자리에서 말하는 것을 피하라잠자리에 누워 책을 읽거나 tv를 본다거나 말하는 등, 다른 일을 하게 되면 '잠자리=수면'의 등식이 깨진다. 잠자리에 누웠을 때는 잠을 자는 것이라는 규칙을 몸 안에 알려주어야 한다.

5.잠자기 전에는 음식을 먹지 말라음식을 먹으면 위는 소화활동을 시작하고 장으로 옮겨 흡수한다. 때문에 잠 자기전 음식을 먹으면 위를 움직이는 자율신경계는 쉬지 않고 움직이게 된다. 한마디로 피곤을 풀지 못하는 것이다.

6.머리는 항상 시원하게 하라머리는 陽의 기운이 모여 있는 곳이므로 시원하게 해주어야 좋다. 머리를 시원하게 해주면 정신이 맑아지고 두통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7.입을 벌리고 자지 말아야 한다자는 동안에는 침의 분비가 적어진다. 이때 입을 벌리고 자게 되면 입 안이 마르고, 심장부근에 수분이 부족하게 된다. 입을 벌리고 자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코에 문제가 있다.

8.얼굴을 덮지 말아야 한다잠잘 때 이불을 머리끝까지 덮게 되면 산소가 부족해져 여러 문제를 야기한다.

9.이불은 꼭 덮어야 한다.잠자리에서는 자신의 체온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람의 체온은 수면 상태에 빠지면 떨어지므로 체온 보호를 위해 이불은 꼭 덮는다 *베개의 높이는 6~9cm가 바람직하다. 이불의 무게는4~5kg이 적당하나, 부드럽고 보온성이 좋은 2~2.5kg정도의 이불이면 더욱 좋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밀키웨이 2004-06-07 00: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거 하나도 안지키는데도 불구하고 머리만 대면 잠이 오는 사람은 뭘까요...ㅠㅠ
 

고추ㆍ양파 매운맛의 비밀

약육강식이 지배하는 동물의 세계에서 스컹크의 방귀나 복어의 알은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지켜주는 훌륭한 방패 역할을 한다. 그렇다면 식물에도 동물과 유사한 자기보호 반응이 있을까. 우리 주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마늘, 양파, 고추의 경우를 한 번 살펴보자.이들 채소의 공통점 중 하나는 모두 `매운맛` 을 지녔다는 점이다. 마늘이나 양파는 있는 그대로 가만히 두면 절대 독한 냄새를 풍기지 않지만 껍질을 벗기거나 칼로 자르면 곧바로 눈물을 흘리게 만든다. 이는 양파나 마늘세포 속의 알린이란 물질이 알리나아제라는 효소의 도움을 받아 알리신으로 바뀌면서 매운 맛이 뿜어져 나오기 때문인데 이것이 바로 마늘, 양파, 파, 부추, 달래 등의 향인 셈이다. 이처럼 마늘이나 양파의 매운맛은 사람이나 다른 세균 바이러스로부터 자신을 지켜주는 방패가 된다.

고추의 경우는 좀 독특하다. 고추 매운맛의 정체는 캡사이신이라는 화학물질 때문인데 이 물질은 적으로부터 고추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지만 때로는 고추씨를 각지로 널리 퍼뜨리는 계기를 만들기도 한다.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은 캡사이신을 좋아하지 않는데 이 물질이 뉴런을 자극해 고통을 느끼기 때문. 하지만 조류는 세포표면에 화학물질과 꼭 맞는 수용체가 부족해 포유동물보다 캡사이신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다. 만약 캡사이신이 수용체와 결합하면 세포의 이온채널이 열려 이온들이 안으로 들어오게 되고 신경의 전기적 충격이 촉발돼 뇌는 이를 고통으로 인식하게 된다.

고추씨의 확산과 관련해 연구자들이 미국 애리조나 남부의 칠레고추밭을 비디오테이프로 녹화한 결과, 개똥지빠귀와 같은 새들만 칠레고추를 먹고 쥐들은 주변에 있는 맵지 않은 빨간색 열매만 먹는다는 사실을 관찰했다. 실험실에서도 쥐들은 맵지 않은 고추는 먹었지만 칠레고추에는 코를 대지 않았다. 그런데 맵지 않은 고추를 먹은 쥐의 배설물에서 나온 씨는 발아가 되지 않았지만 같은 것을 먹은 조류의 배설물에서 나온 씨는 손으로 씨를 뿌린 것과 다름없이 싹이 났다. 매운 고추를 먹은 후 배설한 씨도 발아율이 60%에 달했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연구자들은 고추가 자신에게 위협이 되는 동물은 내쫓고 자신의 자손을 퍼뜨리는 데 도움이 되는 동물은 유인하도록 화학물질을 선택적으로 생산한다는 증거라고 주장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왜 대장균은 먹으면 안되고 유산균은 먹어도 되나요?

A: 사람의 장은 최소 100종류의 세균 100조 마리가 서식하는 세균의 천국입니다. 일반적으로 세균하면 무조건 나쁜 것으로 생각하지만, 장 속의 세균은 소화를 돕고 장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좋은 세균이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그 중에는 웰치균과 같이 사람에게 유해한 균들도 살고 있습니다. 장의 세균 밸런스가 깨져 나쁜 균이 좋은 균보다 우세해지면 각종 장 질환에 시달리게 됩니다. 이런 장의 건강을 지키는 첨병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유산균입니다.

유산균은 당류를 영양원으로 하여 에너지를 생성하고 최종 생산물로 유산을 만들어 내는 미생물의 총칭입니다. 유산균이 장 건강에 좋은 이유는 유산균이 생성하는 유산이 웰치균 같이 유해한 균들이 살지 못하도록 산성 환경을 만들기 때문입니다.

장 속에서 유산균의 활동이 왕성해 유산이 많이 생성되면 장내 환경이 산성화되고 그 결과 사람에게 유해한 균들의 활동은 억제되는 것입니다. 대장균은 사람 및 동물의 장 속, 특히 대장에 많이 존재하는 세균의 하나입니다.

대장균은 장 속에서는 병원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이 보통이지만, 장 이외의 부위에 들어가면 방광염ㆍ신우염ㆍ복막염ㆍ패혈증 등을 일으킵니다. 또한 장내에서도 어떤 종류의 대장균은 주로 젖먹이, 때로는 성인에게까지도 전염성 설사를 일으키는 일이 있으므로 특히 병원성 대장균이라고 합니다. 대장균은 둥근 막대기 모양으로 운동성이 있습니다

대장균은 인간 및 동물에서 배출된 분뇨 등에 의해 발생되고, 환경ㆍ보건 측면에서의 의미는 병원성균의 지표로서 이용되고 있습니다. 즉, 물에서 대장균이 검출되었다는 의미는 사람이나 가축의 분뇨에 의해 오염되었다는 뜻이며, 따라서 병원성균이 존재할 수도 있다는 뜻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