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발은 발바닥 전체가 평면에 접하는 발을 말합니다. 편평족(扁平足)이라고도 하지요. 정상인 경우 평면에 똑바로 서면 발바닥 부위에서는 발가락의 복측(腹側)과 발가락의 기부에서 바깥쪽 가장자리 및 발뒤꿈치의 전면이 평면에 접할 뿐이고, 발바닥의 내측부는 거의 타원형으로 평면에서 떨어지게 됩니다.

이 부분을 발바닥의 장심(掌心)이라고 하며, 이것은 보행의 충격을 완화시켜 뇌는 물론, 발바닥의 혈관이나 신경 등을 보호합니다. 이 발바닥 장심의 `아치구조'는 체중을 감당하는 지렛대 역할과 걷거나 뛰는데 중요한 스프링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 아치구조가 없는 평발은 오래 서 있거나 장시간 걸을 경우 피로가 쉽게 쌓여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유아는 모두 편평족으로 보이지만, 이는 지방이 많기 때문이며 대부분 성장하면서 없어집니다. 다만, 3세 이후 발 도장을 찍어 발의 중간 아치부분이 없이 발바닥 전체가 찍히면 평발로 구분합니다.

평발인 사람은 운동을 하면 피로하기 쉽고, 걸으면 아프고 위장이 나쁘고 요통, 척추 변형 등 여러 증상에 시달리게 됩니다. 특히 어린이 평발은 그 정도가 심해 발 관절 이상을 유발, 관절염으로 악화될 수 있습니다.

평발이 생기는 이유는 원인을 모르는 경우, 가족력이 있는 경우, 아킬레스건에 이상이 있는 경우, 골격에 이상이 있는 경우, 뇌성마비등 신경계에 이상이 있는 경우 등으로 분류하는 데, 이 가운데 원인을 몰라 특발성 편평족으로 불리는 경우가 90%에 달합니다.

평발에는 선천적인 것과 후천적인 것이 있는데 선천적인 평발은 극히 드물며, 후천적인 것은 그곳에 노폐물이 가득 차 마치 밀가루를 푼 것처럼 발바닥을 누르면 쭉쭉 밀립니다. 발 관리를 하면 후천적인 평발은 짧은 시간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분명한 것은 아치에 쌓인 노폐물이 전신에 순환되기 전에 침전물을 없애주지 않으면 다른 병을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이 된다는 사실입니다.

치료법으로는 발 마사지를 자주 하여 경혈을 풀어주고, 꾸준한 운동을 할 것을 권장합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반딧불,, 2004-05-07 18: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군요..
제가 평발에 가까워서 고생인데...
발마사지를 해봐야겠네요.
 


큰 과자를 사도 그 안에 과자가 조금만 들어 있어서 속상한 적이 있죠. 이렇게 과자의 포장을 빵빵하게 해 높은 것은 상술은 아니고요. 과자를 원형 그대로 보존하기 위한 것이지요.

과자포장에 보면 질소충전이라고 쓰여 있는데 결국 과자의 그 빵빵한 부분은 질소가 차지하고 있습니다. 질소는 무색ㆍ무미ㆍ무취의 기체로 액체나 고체상태에서도 무색인데, 산소와 함께 공기 중에 많은 양이 포함되어 있죠.

그런데 산소의 경우는 반응성이 매우 큰 반면 질소는 반응성이 매우 작습니다. 즉, 상온에서는 화학적으로 비활성이며, 연소반응이나 호흡과도 무관하며, 유독하지도 않습니다. 결국 이러한 성질이 과자 포장에 이용이 되는 것이죠.

질소로 충전을 해 놓으면 반응성이 큰 산소나 수분과의 접촉을 피할 수가 있으니까요. 결국 질소가스를 넣음으로써 과자한테 주는 영향은 과자를 `그대로 보존'할 수 있는 것입니다.

질소를 넣어서 빵빵하게 해놓은 포장법이 그래서 주로 이용이 되는 것이지요.

질소를 이용하는 경우를 보면...질소의 경우 수소와 반응시켜 암모니아를 만드는 암모니아합성에 가장 많이 사용되며, 암모니아로부터 질산ㆍ비료ㆍ염료 등 많은 질소화합물이 제조됩니다.

화학적으로 비활성인데 이를 이용해 산소와 습기를 제거하는 것으로도 많이 이용되어지고요. 또한 액체질소는 냉각제로 사용됩니다. 피부과에서 티눈 치료할 때 액체 질소를 사용하는 것을 본 적이 있고요. 액체 질소의 엄청나게 차가운 상태를 이용하는 것이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신비한 인체는 두개골 골절이 있어서 중요한 뇌를 보호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두개골 골절 머리뼈는 아주 단단한 구조로 되어 있어서 외부의 충격에 잘 견디게 되어 있습니다. 물론 충격이 강한 경우 위험한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사람의 뇌는 뇌척수액이란 액체 속에 떠있는 상태로 자리잡고 있는데, 머리에 충격이 가해지면 신경조직이 쉽게 찢어지고 출혈이 생길 수 있습니다. 뇌 조직이나 신경이 다치게 되면 가벼운 경우엔 두통만 생기기도 하지만, 손상이 심하면 뇌의 기능이 저하되어서 여러 가지 후유증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이 될 수 있어서 위험한 것이지, 머리를 때리는 것 때문에 뇌세포의 수가 줄어들어서 머리가 나빠지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인간은 몸 안에 약 2조개의 세포를 가지고 태어난다고 합니다. 그리고 성장하면서 그 수가 늘어 성인이 되면 약 50조 개에 이르는데, 뇌 세포의 경우 임신 7개월째에 접어들면 100억~150억개가 생기며 이것으로 분열에 의한 증가는 끝납니다. 그러다가 20세를 넘어서면 도리어 줄어들기 시작해 80세가 될 때까지 30%나 줄어들게 됩니다. 매일 10만개의 뇌세포가 죽는 셈이지요.

인간의 다른 체세포들은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죽은 세포를 대신할 재생세포가 생성되지만 뇌세포만은 태어날 때의 숫자에서 늘어나지 않고 꾸준히 줄어들기만 합니다. 그렇지만 걱정할 것은 없습니다. 사람은 일생동안 뇌세포의 극히 일부분만을 사용하고 죽기 때문이죠.

지금까지 밝혀진 바에 따르면 중요한 것은 뇌세포의 숫자가 아니라, 뇌세포들을 연결해주는 신경조직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뇌세포들이 개별의 정보들을 가지고 있지만 그것만으로는 그냥 메모리에 불과하고, 그것들을 서로 연계시켜줄 신경망이 충실하게 잘 갖춰져야 머리 속에서 생각이 빨리 정리되고 새로운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것입니다.

결국 아인슈타인이 우리보다 뇌세포가 많거나 그런 것은 아니라는 것이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루를 왜 `24'시간으로 나누었을까요?

[답변] 먼 하늘의 별을 보고 다시 그 별이 같은 위치로 오는 시간을 일년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고대인들은 1년을 측정했습니다.

시간이 중요해진 것은 물론 농경을 시작하면서 씨뿌리고 추수하는 시기를 알기 위해서입니다. 지금처럼 1년을 12달로 나누고 하루를 24시간, 1시간을 60분, 1분을 60초로 나눈 것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인들입니다. 고대인들의 역법인 태양력은 해의 운행만을 고려하므로 자연의 시간에 따라 1달의 길이를 정한다면, 1달은 해가 황도 위를 한 바퀴 도는데 걸리는 시간을 12로 나누어서 그것을 1달의 길이로 정하면 됩니다. 12로 나눈 것은 물론 달이 12번 차고 기울기 때문입니다. 또 고대인들은 하루를 밤ㆍ낮으로 나누고 각각을 다시 12시간으로 나누었습니다. 그 결과 24시간이 된 것입니다.

분과 초를 60등분한 것은 아마도 메소포타미아의 산술이 60진법과 10진법을 혼용한 것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60진법을 쓴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습니다. 아마도 여러 민족이 사용하던 도량형을 통일하면서 가장 약수가 많은 60이란 수를 사용한 것이 아닐까 추정합니다.

이것이 로마를 거쳐 전 유럽에 퍼져 태양력으로 자리잡았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재미있는 것은 동양의 태음력에도 24란 수가 나오지요. 바로 24절기입니다. 음력은 계절에 관계없는 달의 움직임을 중요시한 것이기에 따로 계절의 변화를 알기 위한 24절기가 필요한 것입니다.

그러면 양력이 더 과학적일까요? 처음에 1년을 12로 나누어 한 달을 31,30일로 번갈아 두면서 잘 지켰지만 시저와 아우구스투스가 자신의 생일이 있는 달을 길게 해버린 이후 원칙이 무너져 잘 안 맞게 되었습니다. 태양이 황도를 도는 시간은 일정한데 인위적으로 1달을 늘리고 줄이니 안 맞게 된 것입니다. 이에 비해 음력은 철저히 달이 차고 기우는 것에 따라 달을 나누니 더 과학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waho 2004-05-07 21: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군요...잘 읽고 갑니다.
 

발톱이 살 속으로 파고들어 고통스러울 때가 있다. 이런 발톱은 깎아내려 해도 딱딱해서
깍기가 힘들다. 이럴 땐 탈지면에 식초를 흠뻑 적셔서 발톱 위에 10분 정도 올려 놓으면 발
톱이 물러지면서 통증이 멎는다. 또 손톱깍기로 깎아내도 아프지 않고 잘 깍인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반딧불,, 2004-04-29 15: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흠..도움 되는 정보네요.
그런데..살속으로 파고드는 발톱은 깍지 말고 그냥 두어서
뭐냐..발가락 하고 같은 높이로 깍아주는 것이 최고라고 하네요.
다른 방법이 없다구요. 진통제 먹으면서 기르는 방법이 최고랍니다.
절대 뽑지 말구요.

뚜벅이 2004-04-29 15: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ㅋ
엽기

반딧불,, 2004-04-29 18: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무에가 엽기랍니까..
이거 의사가 한말이어요..
울아들 한참 발톱 파고들때 그리 하라고..아무리해도 안좋아진다구요..흥!!!

뚜벅이 2004-04-30 16: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기래요?
아니 그런 엽기전인 의사가 ㅋㅋ =33= =33

WHITEWOLF 2004-05-02 12: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냥 왔다가 갑니다

초보인데 많이 알려주세요


뚜벅이 2004-05-03 17: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백늑대님 반갑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