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The Reluctant Fundamentalist (Paperback, Reprint, Media Tie In) - Movie Tie-in
Mohsin Hamid / Houghton Mifflin Harcourt / 2013년 3월
평점 :
절판
Mohsin Hamid 파키스탄 태생으로 The Reluctant Fundamentalist(주저하는 근본주의)라는 소설로 2007년에 맨부커상을 수상했다.
이소설은 미국 9.11테러 당시 금융업에 종사하는 파키스탄계 미국인이 미국 여성과 사랑에 빠지는 단순한 이야기로 시작된다. 단조로운 공간, 많은 이들이 한번쯤은 들렸을법한 공간에서 차분하게 읍조리는 독백이 마치 한순간에 무너진 고층빌딩 잔해 속에 덩그러니 버려진 이방인의 슬픔 음성으로 가득채워져있다.
누군가의 범죄 행위로 인해 한순간에 자신도 그들과 다를바없는 무슬림으로 취급 받으며 어제는 활짝 웃어보였던 이들이 오늘은 싸늘하게 등을 돌리는 냉소가 짙게 깔려 있다.
출간 당시 영미 언론계에서는 21세기에 카뮈가 살아 있었다면 이런 작품을 썼을것이라며 극찬했었다.
작가Mohsin Hamid는 이슬람 근본주의자가 이교도인을 사랑하게 된다면 어떤 사랑을 하게 될까?라는 궁금증으로 쓰기 시작했다고 한다.
과연 사랑 앞에서는 9.11테러의 트라우마가 사라지게 될까?
파키스탄에서 대학 교수의 아들로 태어난 Mohsin Hamid는 이미 세살때 3개국어를 구사할정도로 영특한 아이로 아버지의 부임지였던 캘리포니아로 이주했을 당시 친구들에게 '우르두어를 구사하는 근본주의자'라고 말할만큼 자신이 태어난곳, 신앙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히 컸다.
능숙하게 구사했던 우르두어보다 영어로 말하고 글을쓰는 날들이 더 많아지자 엄마는 우르두어를 쓰지 않으면 가문에서 추방시켜버리겠다고 으름장을 놓을정도 였다.
결국 가족들은 자식들이 더이상 완전한 미국인으로 성장 하지 못하게 하려고 6년만에 고향 파키스탄으로 돌아가고 Mohsin Hamid는 우르두어로 의사소통이 힘든 자신을 발견하고 충격과 정체성 혼란에 시달리게 된다.
주변의 친구들, 친지들, 가족들은 너는 이곳에서 태어났어. 우르두어로 표현 못한다고 해도 너는 우리 아들이야 라고 말해줘도 Mohsin Hamid는 영어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때 비로소 우리가 아닌'나' 내자신이 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결국 처절하게 처음부터 모국어를 다시 배우고 부모앞에서 완벽한 아들, 굳은 신앙을 입증시킨후 18세때 미국으로 돌아가서 프린스턴 대학에 입학한다.
이곳 에서 토니 모리슨,조이스 캐롤오츠의 창작 수업을 들으며 글쓰는 재미에 푹 빠져버리고 졸업후 잠시 고향 파키스탄으로 돌아가 금융일을 하다가 다시 미국 하버드 로스쿨에 입학한다.
졸업후 맥켄지에서 기업 경영 컨설턴트로 일하면서 밤마다 꾸준히 습작을 하고 2000년에 첫번째 작품을 출간해서 미국뿐만아니라 파키스탄에서 날개돋힌듯이 팔리고 고향에서는 드라마, 연극으로 만들어질정도로 인기를 끈다.
회사를 그만두고 전업작가로 돌아선후 두번째 작품 The Reluctant Fundamentalist가 대성공을 거두고 아내와 아이들을 데리고 다시 고향 파키스탄으로 돌아간다.
아내는 아이들의 미래를 걱정하며 파키스탄보다 미국이 안전할것 같다고 불안해 할때면 그는 미국에 있으면 이곳만큼 불안한곳이 없고 런던에 있으면 이곳 마저 위태로울수 없을정도로 이세상에 절대적으로 안전한곳은 없다고 설득한다.
하지만 올해 2월경에 안과의사였던 엄마와 누나가 누군가에 의해 살해 당하고 12살짜리 조카는 머리에 총상을 입는 사건이 발생 Mohsin Hamid는 큰충격과 슬픔에 휩싸이면서도 증오할만큼 용서할자신이 없다고 고백한다.
가족을 잃은 슬픔을 전부 떨쳐버리지 못했지만 더이상 어떤 곳으로든 도망치지 않기로 결심하고 근본주의자들 세속주의자들, 급진 이슬람주의 자들도 자신들이 뿌리내리고 살고 있는 세상 까지 무차별로 파괴시키지 않을것임을 믿기로 한다.
파키스탄, 인도를 돌아다니며 사인회를 열면 오지 사는 젊은이들이 한푼씩 모아서 작가의 사인을 받기 위해 몰려드는데 '우리 또래들은 drugs ,sex scenes이 언제 나오냐며 잔뜩 고대하며 책장을 넘겨요. 하지만 모호하게 묘사하거나 불분명한 단어로 은근슬쩍 비켜가는 문장을 발견하면 어째서 제목이' 주저하는 근본주의자'라는지 알겠더군요. 다음번 작품에는 제대로 구체적으로 묘사해주세요. 당신 팬들을 좀 기쁘게 해달라고요.' 라는 팬러터를 무진장 많이 받는다고 한다.
요즘 인도에서 발생하는 여성을 상대로 자행되는성폭력, 폭행,살인, 자살등의 사건을 볼때면 마음이 몹시 아프다. 도대체 종교가 신앙이 무엇이길래...
무고한 이들의 생명과 인권이 마구 짖밟혀야 하는가....
누가 이곳을 secular democracy 라고 부르짖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