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 1
안나 가발다 지음, 허지은 옮김 / 문학세계사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인공인 샤를르는 사회적으로는  성공한 건축가이지만 개인의  삶은 위기에 봉착되어 있다. 세계곳곳을 돌아다니며 열심히 일하고 돌아오면 그에게 싸늘하게 대하는 가족이 있다. 전남편과의 사이에서 낳은 딸을 데리고 들어온 연상의 아내 로랑스는 그에게 더이상 따뜻한 위로와 위안을 주지 않는다. 출장중에 자신의 어린시절 친구의 어머니의 사망소식을 듣는 순간 힘겹게 버티면서 참고 있던 외로움이 쏟아져나와서 비틀거리게 된다. '야누쿠' 친구의 어머니는 그의 철없던 사춘기 소년 시절의 첫사랑이였다. 모든일들을 뒤로 하고 마지막으로 그녀를 보러 달려가는데 그를 기다리고 있었던 사람은 투병생활동안 야누쿠를 돌봐주었던 여장 남자 '유모'가 그에게 충격적인 이야기를 들려준다. 야누쿠의 아들인 알렉시스는 샤를르에게 둘도 없는 친구로 형제같이 지냈지만 그가 파리로 가버리고 나서 마약에 찌들어서 페인이 되어있었다. 그토록 밝고 명랑하고 음악적 재능이 풍부했던 알렉시스에게 무슨일이 일어 났던 것일까? 도대체 야누쿠 그녀는 왜 죽게 되었을까? 야누쿠를 돌봐주었던 여장남자'유모'는 쓰러지고 나서 깨어난 직후 샤를르에게

'저 살아 있는거죠?'

'네, 살아 있습니다.'

'그럼 우리 살아가는거죠.'

라는 말에 샤를르는 그의 품에 엎드린체 울음을 터트리고 만다.

그의 머리를 쓰다듬는 유모는

' 그렇군요.우리 살아가는거예요.살아 있잖아요. 이렇게 살게 되는거예요.' 

병원문을 나서면서 '유모','알렉시스' 그리고 샤를르는 곧바로 시골로 내려가버린다. 시골 농장 허름한 곳에서 살게 되면서 제인버킨처럼 영국식 악센트가 배어나는 불어를 구사하는 여인 케이트와 자주 마주치게 된다. 그녀의 집에는 아이들뿐 아니라 개, 고양이, 닭, 당나귀, 염소 등의 동물들도 가득한데 불만 섞인 표정으로 연신 침을 뱉어내는 '라마'가 그중 가장 압권이다. 혈연으로 뭉쳐지지 않았지만 서로에게 위로가 되어주는 이들은 새롭게 관계를 맺으면서 텅빈 마음 속을 드넓은 평원으로 가득 채우게 된다.

케이트 역시 자신이 낳은 아이들이 아니지만 아이들의 울타리가 되면서 차곡차곡 채워지는 감정들이 매순간 다르다며 샤를르에게

'사람 사는게 전반전-후반전 -결승전-복수전으로 흘러가거든요. 그럼 지금 우리들의 삶은 '위로' 그래요! '위로전'을 치루고 있다고 하죠. 점수에는 포함이 안되죠. 그까지 위로전 재미로 살아가는 거죠. 내기걸거나 지거나 이기는것도 없잖아요? 어때요 우리 재미로 위로전 한판 더하죠.'

케이트에게는 파리지앵들의 쌀쌀맞고 냉소적인 모습과 말투가 없다. 그녀가 말하는 '위로전'은 너와나 '우리 모두'가 함께  자연속에서 어울리며 행복속으로 직접 뛰어들어가는것이였다. 타인에게는 친철해야했지만 정작 자신에게는 친절하지 못했던 현대인들의 고독, 이기주의 그리고 외로움들이 케이트가 따라주는 와인한잔을 마시는 기분으로 작지만 소소하고 그리고 달콤한 위로를 받는 기분으로 읽는 내내 행복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雪國 (改版, 文庫)
가와바타 야스나리 / 角川書店 / 1956년 4월
평점 :
품절


가와바타 야스나리에 설국은 단순히 설경(雪景)을 그려놓은 작품이 아니다. 삶의  슬픔을 한 폭의 깨끗한 풍경화처럼 한 문장 한 문장 섬세하게 채색해 놓듯 구석구석,  많은 이야기들을 숨겨 놓았다.  살아간다는 것에 대한 쓸쓸함을, 인간의 슬픈 운명을, 애절한 사랑이야기를 작품 속에 투영시켜 놓았다.

   
  국경의 긴 터널을 빠져나오자, 눈의 고장이었다. 밤의 밑바닥이 하애졌다. 신호소에 기차가 멈춰 섰다

国境の長いトンネルを抜けると雪国であった.夜の底が白くなった. 信号所に汽車が止まった
 
   

너무나도 유명한 설국의 첫문장은 가슴 시리도록 아름답게 삶의 슬픔을 마음 한 구석으로 싸늘한 감정이 밀려들어오게 만든다. 살아가는것 그자체가 어쩌면 드라마틱하거나 특별하지 않다. 지나쳐버리기에는 가슴시린 그러나 아무렇지 않은듯 살아간다. 설국의 첫장을 펼쳐 눈을 감고 가만히 눈으로 뒤덮힌 세상을 떠올려본다. 설경의 풍경속으로 빨려들어가는 야스나리에 문장은 기나긴 겨울을 견디게 하는 화로 같다. 평생을 곁에 두고 읽고 싶은 명문장으로 가득한 한폭의 풍경화 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Freakonomics (Mass Market Paperback, International)
스티븐 더브너 외 지음 / HarperCollins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들의 논문을 대중적이고 획기적인 서술로 경제학이라는 통념을 뒤집었다며 화제를 몰고 다닌책이다.

그내용들이 조직사회에서 인센티브를 주는 제도,정보를 움직이게 하는 힘,사회적 통념이라는벽, 신기술이 가져다준 폐혜, 범죄기술의 교묘함, 잘난부모와 못난 부모가 아이들에게 미치는 영향등  미국사회,경제를 철저하게  파헤쳐서 다소 엉뚱한 결론으로 마무리 한다.

미국사정이고 어떤것들은 한국과는 관련 없어 보인다. 그러나 단순히 미국만의 문제가 아닌 사례들이 꽤 된다. 챕터 마지막 장을 장식 하는 부모와 아이 편은 흡사 우리나라도 비슷한 방향으로 흘러 가고 있다.이책에서는 백인,흑인이라는 인종적 ,태생적 측면과 미국사회도 이름을 지을때 굉장히 신경쓰고 돈을 쓴다는것, 육아전문가들의 말은 결국 자기자식은 남이 뭐라고 하더라도 자신외에는 잘모른다는것이다. 진짜로 중요한것은 좋은 부모가 되려면 '당신은 누구인가? 당신 자신일은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가? 부터 먼저 파악 하라고 한다.

기존 통념을 확 뒤집는 듯한 서술에 이건 아니잖아, 분명이들이 내린 결론은 아니야.라며 그들이 펼쳐내는 이론들이  참 우습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정확한 수치와 논리를 기준으로 과학적인 논증을 따져보면   절대 아니다라고 함부로 단정 짓기 힘들다. 그만큼 이 세상에 대해 대충알고 있었거나 아니면 몰랐다는것이다. 이책을 읽고 나서 신기 한건 일상적으로 지나치던 광고 문구,범죄사건,ㅇㅇ의 성공 스토리등등 의심하면서 그 이면을 파헤쳐보고 싶어졌다. 이책 분명 독자들도 괴짜로 만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hirley (Paperback)
Bronte, Charlotte / Penguin Classics / 200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Robert Moore는 요크셔 밀공장에 기계를 들여와서 노동자에게 지급되는 임급을 한푼이라도 더줄여 보겠다고 새로 나온 공장기계들을 이리저리 살펴보는데 정신이 없다.그러던중 그의 공장에서 일하던 노동자들이 비인간적인 대우와 임금 지불을 미뤘다며 불만이 고조 되기 시작한다. 이에 로버트는 재정적 압박에 견디다 못해 그 힘을 덜고자 돈많은 집안의 여자를 아내로 맞으려고 수소문을 하게 된다. 그래서 재정적으로 막강한  전 주지사의 아내였던 미망인 Shirley에게 구혼을 하려고 마음을 먹지만 그의 마음 한구석에는 셜리의 사촌인 캐롤라인이 자리잡고 있었다. 면서기 사무 보조원이였던 아버지가 죽고 캐롤라인은 마땅한 직업도 가지지 못한채 삼촌집에서 더부살이를 하고 있다. 그리고 셜리는 자신의 가정교사였던 로버트의 형인 루이스을 깊이 사랑하고 있지만 집안의 반대로 속앓이를 하고 있었다. 로버트는 매물로 나온 버려진 농장들을 알아보며 공장부지로 적합한지 요리조리 계산을 하며  촌구석 요크셔를 자기 손안에 넣고 싶어하는 원대한 야망을 품고 있다.

문제는 나폴레옹과 전쟁을 치룬 직후 대영제국의 재정 상태가 거덜이나서 땅의 허가를 받기가 힘들어졌다. 무엇보다도 그의 집안 배경과 계급으로 공장부지 허가는 커녕 매입할 자금조차 턱없이 부족한 상태다. 여러가지 사업문제와 공장 경영으로 동분서주 하던중 공장 노동자에게 밤늦게 기습공격을 당하고 공장기계들까지 누군가에 의해 파손된다. 로버트의 사업은 순식간에 산산조각이나서 파산하게 되고 그의 공장 직원들은 해고당해서 갈곳이 없게 되어버리자 모든 원망을 로버트에게 돌린다.책의 제목은 셜리Shirley Keeldar이지만 이책에는 로버트-캐롤라인-셜리-루이스 이 4명의 인물들의 삶을 들려준다. 19세기 산업혁명직전의 영국 농촌의 모습 사회계급과 노동계급간의 차별문제 칼뱅파와 토리파 공화당간의 대립 그리고 여성들의 사회,정치계진출등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역동적이게 꿈틀거리는 사회와 인간의 내면들을 투영시킨다. 후에 죽은 남편을 대신해서 주지사로 출마하려는 맹렬 여성인 셜리의 모습을 보면 영국 빅토리아 시대가 그다지 영광스럽고 찬란한 제국이 아니였음을 보여준다. 버려진 농가들 공장들 하루 일당으로 삶을 버티기 힘든 노동자들 거듭된 식민지 쟁탈전으로 정부의 재정이 파탄 일보 직전으로 교회에 눈치를 보며 조금이라도 더 세금을 받아내려고 안간힘을 쓴다.

요크셔 지방의 황량한 밀밭과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방앗간들 잿빛하늘위로 검은 연기를 뿜어대는 공장 굴뚝들 허름한 옷차림으로 다리를 질질 끌고 가는 노동자들의 모습과 함께 여기 주인공들 모두 다 건강상태가 좋지 못한데 셜리는 개에게 물려서 중태에 빠지고 로버트는 둔부를 얻어 맞고 캐롤라인은 잦은 기침과 발열로 몸져눕는 시간이 길어진다.. 삼촌의 결혼 압박에도 불구하고 오로지 한남자 로버트만 바라보던 캐롤라인은 로버트에게 용기를 불어넣고 다시 재기 할수 있게 심적으로 많이 도와준다. 셜리는 관료들과 정치인들을 찾아다니면서 무너져가는 요크셔 지방을 일으켜세우는데 온 열정을 다한다. 이 책에서 셜리는 유머감각이 풍부하고 지적이고,우아한 미모의 여성으로 묘사된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현실의 안정되고 부유한 삶에 안주 하지 않고 밖으로 나가서 들판 여기저기서 자라나는 허브들을 한움쿰 뽑아서 입안 가득 집어 넣고 질겅 질겅 씹으며 자신의 고향 요크셔 자연이 주는 그 위대함에 가슴 깊숙히 뭉클함을 느낀다.그녀는 스스로 주지사가 되어서 쓰러져가고 버려지는 자신의 고향 이땅을 되살리겠다고 다짐한다. 셜리는  허브 풀들을 뽑아다가 정치인들에 건네주면서

 '먹어보세요. 독한 향때문에 입안에 침까지 말라버린답니다. 약으로 먹으라고요. 그렇게 먹기도 하죠. 그런데 이 허브는 누린네가나는 고기요리에 넣으면 그 맛과향이 일품이 되죠. 어때요. 그냥 먹으려니깐 괴롭죠? 아마도 집에 돌아가실때쯤 되면 속이 쓰려지실겁니다. 이허브들 저 벌판에 널려 있어요. 버려져 있어도 반드시 필요한 것들이죠. 소작농들 노동자들 농부들 모두 이 요크셔 지방 사람들이에요. 맛이 쓰다고 뱉어버리고 내쫒을수 없죠.'

계급의 차이와 성별의 차이가 모든이들의 삶의 장애물이 될수 없듯이  이책 속의 주인공들 모두 척박한 삶의 터전에서 투지를 불태우면 한걸음씩 앞으로 나아간다. 의식주에 엄청난 변화와 혁명을 가져다 주었던 19세기 그시절을 다양한 계층의 삶들을 보여주며 결국 살아 가라고 말한다.

 

 p.s조지 엘리엇의 미들마치,다니엘 데론다랑 분위기가 비슷하다. 엘리자벳 가스켈의 '남과북'에서 처럼 산업 혁명 직전의 혼란스러운 사회상황의 묘사도 비슷하고  거센 바람이 부는 요크셔 지방의 밀밭 배경이 마치 요절한 동생이 남긴 폭풍의 언덕 바로 그 음산한 분위가  풍겼다. 남자 주인공 로버트 무어는  지적이고 패기 있는 벨기에 출신 남성으로 묘사되었는데 아마  그녀의 작품속 남성중 제일 멋지게 묘사된 남자 주인공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David Copperfield (Paperback) Vintage Classics 169
Dickens, Charles / Random House Uk Ltd / 200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i was born at blunderstone, in suffolk, or 'there by', as they say in scotland. i was a posthumous child. my father's eyes had closed upon the light of this world six month, when mine opened on it. there is something strange to me, even now, in the reflection that he never saw me; and something stranger yet in the shadowy remembrance that i have of my first childish associations with his white grave-stone in the churchyard.....

데이비드 코퍼필드는 자신이 태어나기 전에 아버지를 잃고 너무나도 아름다웠던 그의 어머니는 데이비드가 생후 6개월이 지나자마자 재혼을 한다. 그의 계부인 Murdstone은 어린 데이비드에게 참 친절하고 다정 다감하게 대해서 자신에게 쉽게 다가오게 만든다. 그러다가 어느 순간 폭군으로 확 돌변해서 어린 데이비드의 심장을 여러차례 뒤흔든다. 그의 유년시절은 폭군같은 계부 밑에서 공포에 떠는 나날로 얼룩지고 엄격한 규율로 무장한 기숙사 학교로 강제로 입학하게 된다. 숨막히는 그곳에서 1년 남짓 보내던 중 갑자스러운 어머니의 사망 통보를 듣고 집으로 달려간다. 계부는 더이상 학교를 보낼줄 돈이 없다며 10살짜리 데이비드를 런던으로 끌고 가서 자신이 운영하는 와인공장에서 돈을 벌어오라고 다그친다. 데이비드는 그공장에서 온갖 허드렛 일로 제대로 먹지도 잠을 잘 공간 조차 없는 생활을 하게 된다. 그는 공장 바닥에 누워서 이세상에 자신 혼자 버렸졌다는 서러움에 눈물을 지으며앞으로 어떻게 살아야할지 곰곰히 생각을 한다. 그는 대고모가 도버에 살고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그녀를 찾으러 도버로 떠난다. 그의 앞에는 고난,위험,배신,굶주림그리고 끝도 없이 이어지는 길 그길위에서 폭풍우를 맞으며 한남자로써 진정한 성인으로 성장하게 된다. 탄생과 함께 시작된 그의 고통과 외로움은 마주치고 부딪치는 여러 사람들을 통해서 세상을 헤쳐나가고 사랑을 하면서 무엇보다도 자기자신이 가지고 있는 참된 본성을  잃지 않는다. 살아가는건 지독한 열병에 걸려서 고통받고 신음하고언제,어떻게, 무엇때문에 걸리고 낮게 되는지 아무도 모른다며 모든이들의 인생들은 가까이서보면 그다지 대단하지도 추하지도 않은 그저 그렇게 비슷하게 살아가는것이라고 말하는 데이비드 코퍼필드 그는 이세상에서 기적 같은 일은 한 인간이 세상 태어나는 순간이라는 걸 사랑하는 여인을 통해서 깨닫게 된다. 한사람의 인생을 단한줄로 요약 할수도 없고  하찮다고도 찬란하다고도 단정 지을수도 없다. 데이비드 코퍼필드의 인생 항로를 따라가다 보면 웃음 짓게되고 분노하면서 그가 부딪치고 저지르는 인생의 실수와 헛점 그리고 행복들이 매순간 기적의 산물이라는걸 알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