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을 넘으면 또 산이다."
친정 엄마 얘기가 귓가에 맴돈다. 솔직히 수긍할 수 없었던 이야기였다. 힘들게 산을 탔는데 또 넘어야 할 산이 내 앞에 나온다면, 게다가 그게 삶의 은유라면 생각만 해도 지친다. 그런데 정말이지 요즘은 엄마의 얘기가 당신 개인의 삶만이 아니라 모두의 보편적 삶에 대한 이야기라는 생각이 든다. 높이와 굴곡은 저마다 또 시간마다 다르지만 결국 숙제는 어렵고 어떻게든 마쳐서 제출해야 한다. 누구도 예외가 될 수 없다. 이 세상에 태어난 한. 아무리 열과 성을 다 해도 결국 일의 완성에는 어떤 불가항력이 작용한다는 생각도 든다. 인간의 자유의지에 대한 이야기와는 사뭇 다른 운명론적 체념이 나날이 한뼘씩은 늘어간다.
운명을 안다는 건 '필연지리'를 파악함과 동시에 내가 개입할 수 있는 '당연지리'의 현장을 확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주명리학으로 그 사람의 생애 전체를 한치의 오차없이 읽어낼 수는 없다. 그렇다고 사주명리학이 점이나 미신, 헛소리로 폄하될 것도 아니다. 음과 양의 기본 개념에서 출발한 간지의 순환을 가지고 그 사람의 인생살이를 풀이하는 일은 내 삶의 현장에서 벌어지는 일들의 리듬에 내 시선과 자세를 맞추는 일이다. 일확천금이나 운수대통의 지점을 적시하는 일이 아니라 지금 지나가는 일들이 결국 지나갈 것이며 그 지나간 자리에 앎이 남을 것이라는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일이다.
고미숙의 <나의 운명사용설명서>가 사주명리학을 비교적 쉽게 설명한 입문서라고 하는데 정작 학문적 접근은 쉽지 않았다. 만세력을 보고 나의 출생연월일시를 넣어봤지만 대충이라도 읽어낼 수 없었다. 사주에 불이 많구나, 이 정도. 사주명리학 그 자체보다는 삶의 본질적 흐름과 외부에서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 받아들였던 자본주의적 가치와 이분법적 잣대를 분리하여 나의 운명 그 자체를, '나'라는 인간 그 자체를 어떻게 포용하고 바라볼 것인가에 대한 진지한 성찰을 가능케 하는 철학적 인문학적 시선이 와닿았다.
특히 무기징역을 받고 추운 독방에 내몰린 신영복 선생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일 햇빛을 기다리고 싶어 안 죽었어요."라고 이야기한 대목의 인용은 뭉클했다. 단지 두 시간, 그것도 고작해야 무릎크기의 햇빛을 기다리며 그래도 태어나 행복하다,고 생각했던 사람의 이야기는 어떤 외부적 사건, 상황 속에서도 인간이 자신에게 주어진 삶을 포기하지 않고 최선으로 가져갈 수 있는지에 대한 방증이다. 마음 속에 바로 파고드는 이야기.
나의 운명과 내가 사랑하는 가족, 친구 들의 삶을 읽어내려는 시도는 혹은 해석하거나 인과 관계로 정렬해 보려는 오만은 버려야겠다. 내가 이 땅에 어떻게 왔는지 알 수 없는데 내가 또 언제, 어떤 식으로 갈지 짐작할 수 없는 것 또한 받아들여야 견딜 수 있다. 견디고 버티면 어떻게든 시간이 가겠지.
"엄마, 조보다 더 큰 수는 뭐야?"
요새 꼬맹이의 최대 관심사는 무지 무지 큰 수다. 아마 나도 고맘때쯤 아빠한테 비슷한 질문을 했고 아버지의 대답은
"무량대수니라."해서 "에잇, 거짓말"이라며 받아들이지 않았던 기억이 난다. 그런데 실제로 찾아보니 무려 "무량대수"가 있었다. 제대로 앉아 찾아보니 이 큰 수의 용어가 보통 복잡하고 어려운 게 아니다. 칼 세이건의 마지막 책은 이러한 이야기로 출발한다. 정말 큰 수. 무지 무지 무지 큰 수. 칼 세이건이 사람들에게 "billions and billions"로 불렸던 건 아무래도 그가 우주의 역사와 그 언어로 충분히 묘사하기 힘든 광대함을 표현하기 위해 언뜻 스치며 이야기한 단위가 부풀려진 것이었다. 흥미롭게도 그는 그의 생전 마지막 이야기를 이 큰 숫자들로 시작한다. 아이한테 큰 수를 설명하기에는 10의 지수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는 것도 보너스로 알게 되었다. 숫자에도 과학에도 직관적인 이해력이 떨어지는 나로서는 칼 세이건의 이야기의 태반이 어렵게 느껴지지만 그가 이야기하는 우주의 역사와 광대함을 듣는 것만으로 나날의 범속한 일들, 치사함들을 누그러뜨릴 수 있을 것 같아 위안이 된다. 더 고차원적이고 거시적인 지대로 발을 딛는 것만으로 조금은 덜 작아진다. 착시일지라도.
사주팔자도 우주의 비의도 구체적인 일상의 지엽적 문제들의 답을 주지는 않지만 그래도 여기 이 자리에 발을 딛고 제대로 서 있을 수 있도록 설명하기 힘든 든든한 응원군이 되어 준다. 그래서 읽는 일은 지금 여기에서도 앞으로도 계속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