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 개의 공감 - 김형경 심리 치유 에세이
김형경 지음 / 한겨레출판 / 2006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사실 큰 기대 없었다. 

워낙 코드가 맞는 동생이 추천해 준 책이라, 구입하긴 했지만, 

글쎄다..비전문가가 또 심리학에 대해 어줍잖게 아는 척 하고, 유려한 말솜씨로  

독자들을 끌었겠구나,하는 자만심에 그득찬 철저한 오해 속에 첫장을 펼치자.. 

그대로 쭈욱 빨려들어갔다.. 

 

이 책은 넘 넘 좋은 책이다... 

소설가가 심리학에 대하여 얘기한다고 해서 전문성이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랬기에 심리학에 대해 일반 사람들도 공감하고 철저히 발을 담글 수 있게 

해주는 것 같다. 

 

결국 모든 문제는 유아기의 엄마와의 애착 관계에서 출발한다는 어떤 

공통의 화두가 있다. 유아기에 해결하지 못한 문제는 성인이 된 후 갈등상황에서 

또 다시 재현될 수밖에 없다는 얘기..그렇기에 또 유아적으로 대응할 수 밖에 없는 

한계에 부딪힌다는... 

특히 시기라는 감정(내가 요새 천착)이 가장 원시적이고 근원적인 감정이라는 데에 

놀랐다. 심리학적으로 참으로 궁금했던 감정이었는데  

무언가 답답했던 뇌관이 확 뚫리는 기분이었다. 

챕터마다 그 주제와 관련된 명구가 참 인상적이고 소중했다. 이 작가는 정말 독서량이 

어마어마한 것 같다... 

각자의 상황( 이 상황은 설정이겠지만)마다 작가가 상담을 해주는 형태인데, 

참 신기한 것이 나와 동떨어진 상황이라 생각하고 관심을 덜 기울이다 보면 작가의 카운셀러 

속에 무의식의 내가 발견되어 줄을 긋게 된다는 것이다. 구체적인 상황은 달라도,  

무언가 공통의 결핍을 가진다는 것이 참 재미있고 덜 외롭게 만드는 마력이 있는 듯... 

착하라고 인내하라고 무조건 긍정적이라고 강요하지 않는 카운셀링이 넘 신선하고 좋다.. 

군데군데 어린 시절의 힘들었던 나를 발견하는 힘든 여행이기도 하지만, 그래도 이 책을 

읽다 보면 나를 더 잘 알게 되고 생을 더 사랑하게 된다...한 번 더 읽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괜찮다, 다 괜찮다 - 공지영이 당신에게 보내는 위로와 응원
공지영.지승호 지음 / 알마 / 200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근간 공지영 작가가 연이어 계속 베스트셀러 책을 내는 것에 그녀의 팬이지만 약간의 거부감을 느끼기 시작한 것이 사실이었다. 우리 사회는 '베스트셀러'에 대한 막연한 어떤 솜사탕 같은 허무함의 베일을 덧쒸운 것이 사실이므로... (이 점에 대해서도 이 책 안에 작가의 생각이 나온다^^)

 너무 상업적으로 가는 것이 아닌가 하는 다분히 주관적인 느낌과, 인터뷰 형식이라는 데에서 솔직히 깊이가 없거나 지난한 녹취록 형식이 아닐까 하는 우려까지 섞인 상태에서, 그러나, 그럼에도 그녀의 책은 읽어야 한다는, 모순의 강박에서 이 책은 내 손에 들어오게 되었다.

 일단 분량이 만만치 않음에도 상당히 가독력이 있다.

 무엇보다 외로움을 느낄 때, 인터뷰어 지승호와 공지영과 함께 외롭지 않을 수 있었고, (정말이다, 마치 두 사람이 함께 내 옆에서 인터뷰를 진행하는 듯한 느낌, 아니 더 나아가 마치 내 감정까지 다독여 주는 듯한 느낌), 무언가 알 수 없었던 작품 행간의 공백을 충실히 그녀가 설명해 주고 채워 주는 충만한 느낌..

 또한 무엇보다 굴곡 있는 삶(작가는 이런 표현에 또 정색을 하겠지만^^)을 통과해 온, 인생 선배로서 인생을 조망하고 대하는 기본적인 태도에 대한 조언 등이 인터뷰라는 형식의 무게에 추를 하나 더 올려 주는 충만한 느낌을 가지게 한다.

 미모라는 것, 문장이 현란하지 않다는 것(바꿔 잘 읽힌다는 얘기), 베스트셀러의 혜택을 누린다는 점, 그리고 세 아이를 가진 돌싱이라는 점, 비평가들, 그리고 보수적인 언론에서 자주 공격했던 이런 요소요소들에 대하여 작가가 입장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우리는 언론이 만들어낸, 혹은 어떤 체화된 선입견이 만들어낸 허상에 항변하는 조금은 귀여운 그녀의 모습도 목격할 수 있다.

 일단 그녀가 낸 작품들로 테마를 구성하여 이야기를 풀어나간 점이 흥미롭고, 언어로 풀어낼 수 있는 최대한의 솔직한 자신의 모습을 독자들 앞에서 무장해제하여 보여준 공작가의 용기, 또한 그러한 그녀의 고백을 과장없이 잘 풀어낸 인터뷰어 지승호의 비범한 진행실력 등이 어우러져 정말 괜찮은 작품이 하나 탄생한 것 같다.

 공지영 작가의 책을 접해보지 않은 독자들은 차라리 이 책부터 읽어 거꾸로 그녀에에 접근해 가는 것도 괜찮을 것 같고, 공지영 작가의 책을 읽은 독자들이라면, 이 책으로 그녀의 작품을 관통하는 어떤 체계를 설립할 수 있을 것 같기도 하다. 아니, 이런 모든 것을 차치하고, 삶에 지친 사람들이 정말 아무 부담없이 한 인생을 살아낸(아직도 진행중이기는 하나) 이의 자기 고백을 통하여 다시 내일을 시작할 수 있는 용기를 얻을 수도 있는 정말 괜찮은 길동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즐거운 나의 집
공지영 지음 / 푸른숲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공지영이란 작가는 사실 '수도원 기행'이라는 책을 보고 좋아하게 되었다. 오히려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보다 더 많은 감동과 작가에 대한 친밀감을 느끼게 된 책이다. 그 책을 통해 공지영이라는 작가가 보이는 것과는 다른 많은 삶의 질곡을 겪고 아픔을 간직한 사람이라는 느낌을 받았던 기억이 난다.

작가의 사생활에 대해 호기심어린 시선들이 많은 것을 알고 ,처음에는 자전적 얘기라는 점에서 더 흥미를 느낀 것도 사실이다. 당연히 소설이라는 허구의 형식을 빌었으므로 소설을 액면 그대로 작가의 자전적 얘기로  받아들이는 것은 무리이겠지만, 군데 군데 마치 작가 자신의 얘기를 들려주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그래서 독자가 자꾸 사견을 가지게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평범하게 받아들여지지 않을 성이 다른 세아이를 양육하며 큰딸 위녕의 목소리를빌어 고백하는 '엄마가 된다는 것', 그리고 '엄마로 성숙한다는 것'과 '한 여자로 살아간다는 것'의 세 변곡점에서의 에피소드와 어우러진 철학들은, 그냥 술술 읽히는 흥미의주의 소설이 아닌, 고뇌의 흔적이 엿보이는 나름대로의 삶의 제언서와도 비슷한 느낌을 주는 것 같다.

그래서 이 소설은 아껴 읽었고, 또 그럼에도 책장은 기다려주지 않고 잘 넘어가는 장점이 많은 작품이다. 아마도 나는 이 작가를 좋아하게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신의 주말은 몇 개입니까
에쿠니 가오리 지음, 김난주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04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에쿠니에 대한 편식은

그녀의 사생활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고...

 

그녀도 결혼해서 가정을 이루었을까 하는...

그녀의 소설에는 결혼해서 가정을 이루어 무난하게 삶을 누려가는 여인들의 모습은 찾기

힘들기에...

 

그러나 그녀도 결혼해서 반 전업주부의 생활을 하고 있었고,

거기에서 오는 권태, 남편에 대한 작은 실망감의 편린들 등

정말 지극히 평범한 여인네의 생활을 보여주고 있다.

 

사실 약 10여년 전의 이야기인지라

지금도 그녀의 이러한 생활들이 유지되고 있는지

알 수는 없지만

그녀의 영롱한 문체와 담백한 서술들은

역설적으로 그녀의 지극한 평범함 속에서 찾아지는 것 같은 반가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홀리 가든
에쿠니 가오리 지음, 김난주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에쿠니 가오리는 '냉정과 열정사이'이후 무조건적으로 선호하는 작가가 되어 버렸다.

묘한 마력이 있는 작가

책을 읽는 내내 아득한 향기가 주위를 감도는 느낌...

'홀리 가든'도 티테이블 위에 놓아 두고 야금 야금 읽는 그 자체가 나의 일상을 리프레쉬하는

동력...

 

가오리의 문학성을 논하기 이전에 감성적으로 독자를 흡입하는 그녀만의 저력만으로도 충분히

훌륭한 작가라는 생각이 든다.

지나치게 자주 등장하는 불륜이 습관처럼 미화되는 것은 지양해야 겠지만

그저 허구의 미학으로서만 담담하게 받아들인다면,

담백하게 남녀간의 사랑을 그려내는 그녀만의 독특한 묘사력과 문체의 매력은

마치 마법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