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탄 지하철 안 붐비는 사람들을 등지고 펼쳐든 한겨레21에서 무척 흥미로운 기사를 발견했다.
표제는 악마라는 '종족'은 태어나는가
기사 링크는 http://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26380.html
희대의 연쇄살인범 테드 번디를 다루면서 도리스 레싱의 <다섯째 아이>가 언급되어 있었다.
전직 경찰이었던 앤 룰이라는 여성이 봉사활동 단체에서 테드 번디라는 젊은 심리학도를 만나게 된다.
그녀는 당시 암으로 시한부선고를 받은 남편과의 이혼을 고민하고 있었고
결단을 내리도록 친근하게 조언해 준 그와 친구가 된다.
그런데 이 당시부터 번디는 젊은 여성을 살해하기 시작한다. 첫사랑의 실패 이후 시작된 이 연쇄살인은
결국 번디의 사형으로 막을 내리지만 경찰도 대체 그가 몇 명의 여성을 살해했는지 정확하게 밝혀 내지 못하고
30명 정도로 추산하고 있다고 하니 그 극악무도함에 몸서리가 처진다.
평범한 우리와는 다른 종족. 언제든 우리의 평화를 깨고 우리의 당연한 가치들을 파괴할 그들에 대한 두려움과
거부가 적나라하게 해부된 작품. 노벨상 수삭작가 도리스 레싱의 <다섯째 아이>는 그렇게 왔다.
200페이지도 안되는 이 얇은 소설은 행복한 가정을 꿈꾸는 두 남녀가 빅토리아풍 대저책에 건설한 그들만의 대가족이 어떻게 그들의 꿈을 기만할 수 있는지 낱낱이 지적해 준다.
다복한 가정의 틀처럼 그들이 계획한 다산은 폭력적이고 일상에 적응이 불가능한 다섯째 아니 벤이 태어남으로써 결렬된다. 다섯째 아이는 잉태부터가 불길했고 물고기의 유영처럼 아름답고 간지러운 그 태동이 끔찍하게 여겨져 신경안정제를 먹어야 할 만큼 유별났다. 그리고 태어난지 얼마 안되 집단보호시설에 보내졌다 껍질뿐인 모성애에 이끌려 집으로 돌아온다.
각종 사고에 상상으로 연루되는 그 아이를 지켜보는 엄마 해리엇 뿐만 아니라 여타 다른 가족 구성원들은 어쩌면 그 외계의 아이보다 더 타락해 있다. 저마다 나름대로의 자기 구역 안에 그 애가 목을 디밀까 전전 긍긍하며 위장된 무심함 밑에 도피한다.
변경의 시선을 가진 작가로 알려져 있는 도리스 레싱은 이 부적합한 가족 구성원인 다섯째 아이보다는 그 나머지 가족들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싶어한다. 집단적 위악, 때로는 위선에서 고립되는 나머지 한 명에 대한 비참함에 대한 절제된 연민이 돋보인다. 그녀는 사람들이 그의 본질을 보는 일을 거부하고 있다고 성토한다. 그녀는 인간 본성에 대한 신뢰를 가장 기만적인 이데올로기라고 한다. 성선론을 믿고 싶어하는 나에게는 조금 불편한 대목이다.
가족주의의 허구를 적나라하게 해부한 작품은 우리나라에도 있다. 박완서는 구순하게 인간 간의 정서를 풀어나가는 작가로 알려져 있지만 그녀만큼 인간 본성에 대한 그 교묘한 위선과 위장술, 자기 합리화의 부패를 여실하게 드러낸 작가도 많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녀의 소설 속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인물들은 대체로 굉장히 리얼하게 사악하고 위선적이다. 너무나 사실적이라 절망스럽다.
가족이 가족을 버리고 그것을 합리화해나가는 그 여정이 이 작품의 줄거리다. 결말에서 인간에 대한 신뢰의 가능성을 열어놓고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인간 본성에 대한 비관적인 시선은 거두지 않고 있다. 도리스 레싱과 닮은 부분이다. 박완서가 그 위선과 위악에서 소외된 이를 가족과 여성주의 안에서 가두는 한계를 보였다면, 도리스 레싱은 사회의 전체적 틀에서 고립된 이탈자에 주목했다는 점에서 일보 전진했다. 하지만 도리스 레싱이 지나치게 건조하고 생략된 터치로 독자를 좀 망연하게 한다면, 박완서는 그 세심하고 성찰어린 필력으로 독자들이 철저하게 추체험을 하게 한다는 데에 또 우위에 있다.
가족의 틀 안에서마저 소외되는 이가 있다. 상징적 장치라 해도 결국 집단적 사고의 구획 밖으로 내처지는 이탈자는 항상 있기 마련이다. 물론, 도덕의 절대적 가치의 잣대를 들이댈 때 분명 용서받지 못할 사악한 자는 있다. 그러나 그런 자의 탈선에도 분명 매듭은 있기 마련이라고 믿고 싶다. 우리는 어쩌면 영원히 그들의 본질을 보기를 거부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나의 안온한 일상에 파문을 던질 지도 모를 그 불가항력이 두려워서. 연쇄 살인범 번디도 사형집행 전날 엄마와의 통화에서 이렇게 말하며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내 안에는 엄마가 기억하는 나도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