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서일기
알베르토 망구엘 지음, 강수정 옮김 / 생각의나무 / 2006년 3월
평점 :
품절
고입 연합고사가 끝난 후의 시원하고 안온한 기분 속에서 배를 깔고 엎드려 밤 아홉 시경 이광수의 <단종애사>를 읽기 시작했다. 그 날 밤을 잊지 못한다. 생에 있어 절대로 잊을 수 없는 날들이 있다. 바로 그런 날이었다. 타임머신을 타고 장소이동을 했다. 수양대군이 조카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기 위해 거사를 꾸미고, 또 거기에 반해 정통왕권을 보위하겠다고 일을 도모했던 사육신과의 한판대결이 벌어지는 장면, 사육신이 그 끔찍한 고문을 받으면서도 끝까지 선왕에 대한 의리와 약속을 지키고 타협과 굴복 대신 장렬하게 죽어가는 장면들에서 나는 그 자리에 서성이고 있었다. 보이고 들리고 느껴졌다. 그 피비린내 나는 고문의 현장에서 눈을 질끔 감아 버리고 서로 시조를 주고 받으며 형장으로 끌려가는 장면에서는 수많은 구경꾼들 틈에 끼여 눈물을 훔쳤다. 새벽 네 시경 마침내 단종의 죽음이 임박하자 나는 광분한 독자가 되어 있었다. 책 속을 뚫고 들어가듯이 노려보며 몸을 부들부들 떨었던 그녀는 마침내 단종이 죽은 시체로 떠오르자 눈물범벅으로 그대로 쓰러져 잠들고 말았다.
나는 사춘기 후반 이후로 아무것도 배운 게 없다는 생각이 든다. 그 전에 터득한 것들은 여전히 유효한데, 나머지는 사소하거나, 없어도 그만이거나, 기껏해야 주석 정도에 불과한 것 같다.
-p.74
어느 날 갑자기 나는 삼십 대 중반으로 걸어들어 와 있었다. 이따금 나는 그 열여섯 살 겨울밤을 서성거린다. 돌아갈 때마다 그곳은 조금씩 퇴색되어 있다. 그 감동을, 그 순정한 몰입을 가두어 놓고 싶지만 그것은 세월의 무게에 자꾸만 가라앉는다. 젊음을, 미성숙을, 어린 시절을 만져보고자 하는 마음은 항상 그렇게 기약없는 배회 같이 되어 버린다. 지금 다시 친일 행적의 미묘한 지점에서 엇갈리는 평가의 가운데에 있는 그가 하필 유교적 이념과 명분에 목숨을 버린 이들을 추켜 세우는 그 역사 소설을 읽는다 해도 그때의 그 감동과 그 몰입은 요원할 것이다. 독서일기는 그래서 내 자서전이 될 수도 있다. 그때 읽은 책들을 지금 다시 읽고 느끼는 감상은 확연히 달라 있을 수밖에 없다. 활자들은 그대로인데 나의 복기는 시간의 더께에 눌린다. 고정불변의 사물에 시간과 더불어 변하는 인간의 감정의 덮개를 씌우는 행위는 독서가 유일할 것이다.
눈이 멀어버린 보르헤스에게 책을 읽어 주었던 망구엘은 그저 책 읽어주는 남자가 아니었다. 저명한 작가이자 비평가였다는 작가 소개란은 차라리 사족 같다. 이 책을 집어들면 그가 쉰세 번째 생일을 맞아 좋아했던 책들을 한 달에 한 권씩 읽으며 끼적인 글들은 한 편 한 편이 그의 소개 같다. 감탄 또 감탄이다. 소개된 책들 중 단 한 권도 제대로 읽지 못한 내가 감탄하고 눈을 반짝이며 그의 얘기를 따라갔으니 이 책들을 읽었다면 눈부신 조응의 순간을 경험할 것 같다. 사실 몰라도 괜찮다. 책을 소개하며 그는 자신의 삶의 얘기, 철학, 미국의 이라크 침공에 대한 신랄한 비판 같은 시사적 이야기들로 스스로를 펼쳐 보여준다.
그는 작가이지만 이 책에서 철저히 독자로서 자리한다. 또한 독자들의 권리와 권한에 대해 사려깊은 존중을 보여준다. 사실 작가가 서평을 쓴다는 것은 평범한 독자들과 더 멀어지기 위한 한 방편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쪼개고 분석하고 덧붙인다. 우리는 모르는 수많은 관점과 인용이 난무한다. 그리고 우리는 결심하게 된다. 나는 안되겠다, 이 책은. 하지만 그가 소개하는 그 생소한 책들은 그 어떤 책일지라도 한 번 읽어보고 싶다는 호기심을 비켜가지 못하게 된다. 더없이 고리타분할 것 같은 괴테에 대한 이런 상찬. 죽은 괴테가 활짝 미소지을 일이다.
이 노인네에 대한 나의 애정은 힘과 섬세함의 이런 불안정한 결합에서 나오는 것 같다. 단정하고 적절한 조개껍질 같은 그의 문장이 그 속에 감추고 있는 어둠으로 나를 눈물짓게 할 때가 있다.
-p.145
항상 이성적이고 논리 정연한 생각이 방 안 가득한 양파 튀김 냄새처럼 스며들어 있다. 등장인물의 단순하기 그지없는 동작도 어느것 하나 놓치지 않는 이 작은 신의 눈에 포착되면 뭔가 생각할 거리가 생긴다.
-p.148
이 작은 신, 이성적이고 논리 정연한 생각을 양파 튀김 냄새처럼 방 안 가득 흩뜨려 놓는 노인네! 괴테가 이런 식으로 소개된 적이 단 한 번이라도 있었던가? 아마 괴테 책이 당시 광고를 탔다면 이 멘트가 화제가 되었을 듯싶다.
이 책이 단순히 지리멸렬한 서평으로 전락하지 않은 데에는 작가 자신의 사회적 불의에 대한 예리한 감수성이 한 몫 한다. 이런 책에서 이런 구절들을 발견한다면, 우리는 놀랄 수밖에 없다.
오래된 이치들은 여전히 유효하다. 폭력은 폭력을 낳는다는 것, 모든 권력은 악용된다는 것. 광신은 어떤 것이든 이성의 적이라는 것. 선동은 불의에 맞서는 힘을 규합할 목적이라도 여전히 선동이라는 것. 전쟁은 신이 더 막강한 군대의 편이라고 믿는 승자의 눈에만 영광으로 비친다는 것.
-p.88
찬물세수가 필요할 때가 있다. 병든 닭처럼 졸며 관성에 젖어 삶을 소진하고 있을 때 우리는 벌떡 일어나 찬물세수를 해야 한다. 그런 책이다. 읽지 않은 책들에 대한 얘기로 정신이 번쩍 뜨이기는 또 처음이다. 이 찰나에 깃든 생에 절절하게 매달려서 활자를 하나 하나 흔들어 깨운다. 이 또한 지나갈 것이다. 나는 늙어 있을 것이다. 머리가 하얗게 센 노파가 되어 또 지금 이 순간을 연상시키는 책의 한 구절에 호들갑을 떨게 될지 모른다. 그런 풍경을 그려 볼 수 있게 하는 책이다. 망구엘...고마워요.
책들은 흩어질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한 부분을 이루었던 것, 아무리 작고 하찮더라도 한 부분을 차지했던 것은 별들 아래 제자리를 지키며 영원히 머물 것이다.
그리고 돌을 쪼아내는 석공의 시각처럼, 우리의 부재로 전체는 한결 더 아름다워질 것이다.
p.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