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영 헤어져 버려 도무지 볼 길 없는 사람들이 나의 꿈에서는 항상 말이 없다.
꿈에서도 나는 그립고 사무친다. 했어야 하는 말들은 꿈에서도 누락되어 있고 당신들은 생전의 가장
처연하고 아픈 모습을 재연한다.
그 날 꿈은 또 그랬다. 나의 할머니는 여전히 슬펐고 초라했고 너무 많이 늙어 있었고 아팠다.
나는 가슴을 쥐어뜯으며 또 일어났다.
내가 했어야 하는 말은 단 하나다. 사랑해요, 고마워요, 미안해요.
나의 네 사람은 다 그 말들을 듣지 못했다. 하지 못한 말들은 영영 마침표를 찍지 못하고
내 마음의 가장 여린 속살 부근에 옹크려서 속살댄다.
내가 죽을 때까지 그 회한들은 함께 할 것이다.
아이에게 그림책을 읽어 주다 우연히 그 그림책의 제사를 읽다 눈물을 떨구고 말았다.
이제는 올리비아를 못 볼 나의 그리운 아버지께
작가 이언포크너의 딸을 모델로 한 자신의 그림책 주인공인 '올리비아'를 더 이상 보지 못할 나의 그리운 아버지께, 라는 말은 내가 당신을 보지 못하는 그리움과 아쉬움보다 이제는 더이상 사랑했던 것들을 보지 못할 떠나는 이들의 그 마음을 챙기는 시선이라 생각되어 더 찡했다. 남겨지는 자들의 슬픔이 떠나는 이의 아픔과 슬픔을 압도하는 것이라고 누가 단정지을 수 있을까. 다만 남겨진 우리들의 그리움과 슬픔과 아쉬움, 사랑으로 그 상처를 메워주기를 허망하게나 바라본다. 영혼이라는 것이 제발 있었으면 좋겠다. 그건 나의 삶을 유의미하게 만들기 위한 변명거리이기도 하다.
추운 날씨, 슬픈 소식들, 이사 문제 등으로 심란한 터에 우연히 어떤 분의 강력 추천 글을 보고 <세설>을 읽게 되었다. H님 서재에서 이 출판사의 실한 편집에 대한 얘기를 귀동냥하기는 했지만 받아보고는 그 촘촘한 자간과 개미허리만도 못한 여백에 압도당했다.


처음에는 정말 눈이 피로하겠다,고 생각했는데 실로 꿰매는 사철 방식으로 책 배도 안 갈라지고 워낙 재미있어서 더 촘촘해도 좋았겠다,라고 생각하게 됐다. 1930년대 간사이 지방의 몰락한 귀족 가문의 네 자매들의 결혼생활, 중매 얘기들이 어찌나 사실감 있고 생생하게 잘 그려져 있는지 정말 오랜만에 넘어가는 책장이 아깝다,는 아쉬운 느낌을 가지게 됐다. 작가인 다니자키 준이치로가 죽는 바람에 <설국>의 가와바타 야스나리에게 노벨 문학상이 돌아갔다,는 얘기를 구태여 동원 안해도 이 책은 충분이 정말 충분히 각종 사념들을 몰아내고 이야기의 즐거움에 몸을 맡길 수 있게 해주는 미덕으로 가치를 증명한다. 기가 막히게 재미있다.
다만. 당시 일본이 우리나라를 강점했던 시기라는 깨달음이 갑자기 끼어들기 시작하면 그녀들의 호화롭고 다이나믹한 삶과 정치 사회적 현안들에 대한 시선들이 불편해지기 시작한다. 그건 의식적이기도 하고 무의식적이기도 한 또 의도되기도 의도되지 않기도 한 반응이다. 이런 일본에 대한 양가감정은 한류문화에 관대하고 관광객들에게 지극하게 친절한 그들의 태도와 결코 과거의 잘못을 시원하게 시인하고 실리적인 배상 문제까지 나아가지는 못하는 그들의 이중적인 모습과도 닿아 있을 것이다.
자신의 아내를 친구에게 양도한다는 공개 의사 표시를 해서 당시에도 화제를 불러일으키고 에로티시즘적인 작품도 많이 썼던 작가가 전혀 에로틱하지 않고 여성적이고 아기자기한 풍속 묘사와 재미가 그득한 이런 책들 썼다는 것도 같은 맥락 같기도 하고.
항상 회한이 들 현재의 실수 주위를 맴도는 나의 삶도 그렇고. 이중적이고 모순적인 것이 결국 생인 것인지 잘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