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올리브 키터리지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 지음, 권상미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5월
평점 :
고등학교 때 안 풀리는 수학문제의 해답지를 보고 싶은 욕구를 억누르며 스무 살에 뜰 무지개를 생각했다. 스무 살에는 도저히 서른 이후의 나를 상상할 수 없었다. 서른까지 삶의 의미를 찾지 못하면 죽어 버릴 거라던 친구와의 우정은 일 년을 넘지 못했다. 그 아이의 얘기를 들으며 지금 찾을 수 없는 그런 것들이 그 때까지 해답을 품고 있을 리가 없다고 조용히 뇌까렸다.
서른 하고도 몇 년이 흐르고 이제는 내가 마흔도, 쉰도 심지어 여든도 될 수 있음을 수긍한다. 때로는 저만치 뛰어가버린 내가 지금의 나를 물끄러미 관찰하고 있기도 하다. 무지개를 타고 싶다고 얘기하며 미미인형을 안고 잠든 아이는 과거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미래이고 나중에는 한없이 그리워할 되돌릴 수 없는 과거의 잠재태다. 이제 숨쉬고 바라보고 느끼고 때로 분노하는 순간들이 눈물겹게 소중하다,는 것을 조금씩 알아가는 중이다.
커피 머그잔을 텅 내려놓는 저 아가씨는 언젠가는 자기 팔에도 검버섯이 피고, 혈압약 때문에 오줌이 자주 마려워져 커피도 조절해서 마시게 되리란 걸, 인생에 갑자기 속도가 붙고 그러다 보면 인생이 어느덧 훌쩍 지나가버려 정말로 숨이 가빠진다는 걸 알지 못한다고.
-p.225~226
<중략> 불현듯 아이스크림 가게의 어린 소녀들이 부럽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 선디를 건네는 여종업원의 지루한 눈빛 뒤에 엄청난 열망과, 엄청난 욕망과, 엄청난 낙심이 어렴풋이 보였다. 그런 혼란이, 그리고 (그들을 더욱 지치게 만드는) 분노가 그들 앞에 놓여 있었다. 오, 그들은 무엇이든 끝나기도 전에 책망하고, 책망하고, 또 책망하곤 또다시 지쳐버릴 것이다.
-p.250
뉴잉글랜드 지역의 작은 해안마을 크로스비를 배경으로 중학교에서 수학을 삼십이 년 가르친, 결코 사과하는 법이 없는, 또 아무도 감히 눈물 흘릴 거라고 상상할 수 없는 올리브 키터리지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지역주민들의 삶을 열세 편의 짤막한 연작 형식의 이야기들로 그려내고 있다. 올리브의 남편으로 약사인 헨리 키터리지의 햇살 이른 아침 안온한 그만의 공간인 약국으로의 출근 장면의 아름다운 묘사로 시작되는 이야기는 사춘기 외아들 크리스토퍼가 족부전문 의사가 되어 결혼과 이혼, 재혼하는 과정, 헨리의 뇌졸중 투병, 올리브의 황혼의 사랑으로까지 전개된다. 각각 독립된 이야기처럼 펼쳐지는 단편들은 지역 주민들의 삶과 애환을 그들의 시점과 각각 올리브의 시점에서 다양하게 변주하며 긴밀한 연결고리를 갖는다. 인간의 삶을 단편적이고 일방적으로 다루기 쉬운 소설적 허구의 맹점을 입체적이고 종적 횡적으로 섬세하게 터치하게 되는 구성적 장점은 작가의 예리한 시선이 하찮고 반복되는 일상들을 각개격파하는 필력과 조우하여 놀랍도록 아름답고 감동적인 이야기를 낳는다. 누구나 경험하는, 하지만 의식의 표면에 언어로 조립하여 감히 떠올릴 수 없는 것들을 마주칠 때는 정말이지 이 작가가 신기가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묘한 의구심까지 생긴다.
그리 오래되지 않은 몇 해 전, 충치를 때우면서 치과 의사가 부드러운 손가락으로 턱을 살며시 돌리는데, 외로움이 너무 깊어서인지 그것이 마치 죽도록 깊은 친절인 것처럼 느껴져 올리브는 샘솟는 눈물을 숨죽이며 삼킨 적이 있었다.
-p.403
올리브 키터리지가 매력적인 것은 그녀가 사랑을 느끼게 되는 남자 앞에서 자신의 커다란 등이 보일 것을 걱정해 자신이 마치 고래 같다고 느끼거나, 되바라진 며느리가 얄미워 그녀의 속옷과 신발을 몰래 훔쳐내어 던킨도너츠의 화장실 쓰레기통에 던져버리고, 사과하는 법이 없다고 퉁박을 주는 헨리 앞에서 " 이렇게 지랄맞은 마누라라서 진짜 미안해!"라고 외쳤기 때문만은 아니다.
그 구린 인간(부시를 연상시킴)을 뽑았다,고 분노하며 "이젠 끝이야"라고 외쳐댔던 남자에게 '언젠가'는 다른 모든 심장처럼 멎을 심장을, 그 '언젠가'를 지워버리고 다시 느끼고 사랑을 갈구하는 이른넷 할머니의 모습, 지쳤지만 여전히 파도를 느끼는 그녀의 모습은 나이들어가고 열정과 생의 의지, 활력을 조금씩 반납하며 존재를 갉아먹어가는 그 허망함에 대한 삶, 생의 작은 승리를 보여주는 것만 같아 눈물난다.
나는 이제 여든의 나를 생각한다. 삶의 모든 희로애락을 초월한 척하며 느긋이 젊은 사람들에게 조언이랍시고 잔소리와 우는 손리를 던져 대고 "요즘 젊은 것들이란!"를 외쳐대며 은근히 그들의 젊음과 남은 시간들을 시샘하며 "나를 봐달라."고 애걸하는 대신
조금은 주책맞아도 들이닥치는 파도를 반갑게 조금 머뭇거리는 척하며 맞아줄 테다.
사람들은 노년의 시기는 고요와 평온의 시기라고 자주 말한다. 나는 이런 태도가 오해를 부른다는 것을 알았다.<중략> 흥분을 하면 더 크게 흥분하고, 근심이 있으면 더 깊이 근심하게 된다. 상처는 더 아픈 것 같고, 고통은 더 강렬하며, 눈물은 더 쉽게 흐르고, 즐거움은 더욱더 절정에 이른다. -칼 로저스 <사람-중심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