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쓰오 바쇼는 평생을 길위에서 보내다 객사했다. 무사의 길을 포기했고 그가 길에서 지은 수많은 하이쿠들과 산문들은 절창이 되어 남았다. 17세기의 시인은 수세기가 지나 자신의 시가 때로 잔인한 폭력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전락할 줄 예감하지 못했다. 일본의 정신은 바쇼의 언어로 응축되었고 일본은 천황이라는 가공할 만한 위력을 가진 접합체를 중심으로 세계를 정복할 날을 꿈꾸었다. 그 부속품에는 타민족들이 있었고 그 수단은 검이었다.
이차대전 당시 1943년 초 점차 패색이 짙어가던 일본이 타이-미얀마 간 대규모 철로를 건설하려 수십만의 연합군 포로를 동원했던 일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 그 캠프에는 심지어 호주인, 대만인, 타이인, 자바인이 있었다. 그들의 이름 대신 일본은 그들이 죽어가며 만들어낸 증기기관차를 야스쿠니 신사에 봉안하여 자신들의 사악한 행동을 면죄받고 일본의 정신을 밀봉하려 했다. 이야기는 이 이야기 속에서 익명으로 잊혀간 총 이십오만 명의 이름을 떠올리는 것이다.
"왜 태초에는 항상 빛이 있는 걸까?"로 시작하는 도리고 에번스의 회고는 기억의 시원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선형적이지 않다. 그는 때로 고모 에이미와 불륜의 사랑에 빠진 청년이었다 시암의 정글속 지옥 같은 포로수용소의 대령을 오가는 일흔일곱 살의 전쟁 영웅이다. 도저히 납득할 수도 받아들일 수도 없는 적국 일본의 무모한 일본의 철로를 건설하는 명령에 호주의 포로는 자신이 이끄는 죽어가는 부하들 중 가장 죽음에 덜 근접한 이들을 선별해 내어 그 진창에 집어넣는 일에 협조해야 했다.
언제나 그들을 위한 일. 그는 그들을 사랑하게 되었으므로. 그리고 매일 그는 자신의 사랑이 실패하고 있음을 깨닫는다. 날이 갈수록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죽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폭력의 세계. 인간에 대한 존중도 존엄도 애저녁에 포기한 곳. 몸을 제대로 가릴 옷도 먹을 것도, 썩어가는 피부를 치료할 약조차 없고 제시간에 나타나지 않았다는 이유로 수백 명 앞에서 짓이겨지는 진창에서 그들은 서로 짐승처럼 사랑했다. 미워하고 투닥거리던 동료에게 자신의 형편없는 배급음식을 나누어 주고 똥통에 빠진 죽은 시체를 들어올려 장사지냈다. 아무리 그들이 짓밟으려 해도 전멸시킬 수 없는 '그것'에 대한 이야기가 눈물겹다. 작가 리처드 플래너건은 그것을 정확히 알고 있었다. 그의 아버지가 실제 그 현장의 증인이었기 때문이다.
이 폭력의 역사의 현장에서 광기의 신들이 날뛰는 정글에서 길어올리는 참혹한 실상과 '나'가 아닌 '우리'에 기대어 마침내 생존의 출구를 찾아내는 이야기는 참으로 경이롭다. 그의 시선은 피해자에게만 닿아있지 않고 반성없이 그 그 가해자의 패턴 속에서 자신의 역할을 비판없이 오히려 미화하며 수행하는 일본군 가해자들의 시점에도 연결되어 있다. 또한 그들이 전후에 일상의 삶에 어떻게 편입되는지, 제대로 된 악행의 청산없이 스스로를 어떻게 포장하고 정당화하는지에 대한 과정에 대한 탐사도 이어진다.
조선인 부사관 최상민에 대한 이야기. 식민지국의 백성으로 가해자의 꼭두각시에 동원되는 그의 비극에 대한 설명은 먹먹하다. 도저히 이해할 수 없음에도 원하지 않음에도 그는 오스트레일리안 포로를 잔인하게 때려야 했다. 정작 1급 전범들은 용서받았음에도 시스템의 가장 밑바닥에 있었던 조선인 최상민은 영문도 모른 채 처형당해야 했다. 이 모순과 이 억울한 방랑의 이야기에 호주인 작가가 부여한 서사는 놀라울 정도의 이해와 공감이 있다. "어머니가 담근 매콤한 김치"에 대한 그리움을 이야기하는 대목. 어떻게 이러한 감성, 이러한 그리움을 알아냈을까. 아마도 그의 아버지의 기억에서 길어올리지 않았을까 싶다. 많은 한국인들이 자의에 상관없이 식민지 백성이라는 이유로 일본의 가해자적 입장에 폭력의 수단으로 동원되었다는 비극적 역사에 대한 복원이 정작 우리의 손이 아닌 머나먼 나라의 작가에 의해 이루어졌다니 아이러니하다.
마지막 페이지가 없었다. 그의 인생이라는 책이 그대로 끊어져버렸다. 그의 발아래에는 진흙이, 머리 위에는 더러운 하늘이 있을 뿐이었다. 앞으로 그는 평화도 희망도 누리지 못할 것이다. 도리고 에번스는 사랑 이야가 영원히, 영원히
계속되리라는 것을 깨달았다. 그것은 끝이 없는 세계였다.
그는 지옥 속에 살게 될 것이다. 사랑 또한 지옥이므로.
사랑이라는 '지옥'에 대한 절창. 그 기적에 대한 믿음이 삶을 지탱하는 연가. 인생이라는 시. 이 모든 것이 한곳에 어우러진 아름다운 비극의 이야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