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 많은 지름의 손길을 헤쳐나가고자 하면서도 알라딘에서 허우적거리고 있으나,
필요의 기준이 나름 까다로운 본인이 제일 싫어하는 것 중의 하나가 있다.
공포와 불안으로 안정과 평화를 얻으시는 분들이 있으니..

바로 보험과 보험 설계사... 

불안한 사회니까,
부적처럼 매달 꽂아넣는 돈으로 마음의 안정이라도 얻는 게 그닥 나쁜건 아니지만, 
'보험 갈아타기'를 종용하여 해지시키고, 교묘한 약관으로 물먹이는 걸 몇번 당해보니
죄다 사기꾼으로 보인다.
무당과 보험... 뭐가 달라...
망치를 들고 있으면 못대가리만 보인다나...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보니 희한한 보험료가 보이드라.

'상해보험' ...  저건 뭐지.. 중국약보다 못한 보험이 꼬박꼬박 나가고 있네.. 11개월째.

엄마한테 전화를 건다.
나: 이거 엄마가 가입한거지요?
엄마 : 아니다. 나는 모른다.
나 : 맞는거 같은데요.
엄마 : 기억이 나질 않는다. 매달 나가고는 있더라. 네가 한거 아니냐?
나 : 조사하면 다 나옵니다.
엄마 : 바쁘다 끊는다.
뚜뚜뚜뚜...  >  > 

>나 : 엄마가 맞잖아요.
엄마 : 알아보겠다.
뚜뚜뚜뚜뚜... 

냄새가 난다...................... 심증과 물증을 확실히 남기시는 엄마답다. >  > 

>보험사 홈페이지 가서 가입!까지 하고, 설계자한테 전화한다.

나: xxx 씨 맞으시죠?
보사: 네... 누구세요.
나 : 피보험자 라주미힌이라고 합니다.
보사: 네?  나주민 이시라구요?
나 :  라주미힌입니다.
보사 : (타타탁 탁탁 키보드 치는 소리)  xx동 주소에 사시는 분이네요.
나 : 제가 동의하지 않는 보험에 가입된 걸 확인하고 전화드렸습니다. 계약 무효시켜주세요.
보사 : 아.. 이거 어머님이 가입하셨어요. 그리고 제가 이관 받은거라 이전 내용은 잘 알지 못하고 있습니다. 여기 온지 5년 밖에 안되서...
나 :  작년 2월부터 납입되고 있던데요?
보사: 아.. 상해보험 말씀이세요? 예전에 전화통화도 하셨고...
나 : 처음 통화하는데요. 계약 무효시켜주세요. 본의 동의 없이 하셨으니까...
보사 : 네.. 어머니랑 통화해보겠습니다.   >  > 

>다시 엄마한테 전화해서 진행상황 보고한다.

나 : 이래이래 저래저래 쑝쑝 풍풍 쏼라쏼라... 
피보험자 동의 없는 계약은 보험사에서 보험료 지급의 의무가 없으니 우리가 손해입니다..
설계사한테 전화오면 무효해달라고 하세요.
엄마 : 알았다.
나 : 엄마가 계약한거 맞지요? 흐흐흐
엄마 : 잊어버렸나봐...   >  > 

>흘....  내 종신보험의 수급자는 어머니이시다... ㄷㄷㄷ  얼마 되지는 않지만.. 흐흐
맨날 안좋은 소리로 인간의 불안을 자극하는거까지 봐주겠는데...
어찌 저리도 믿을 수가 없는지. 아으 싫다.
김언수의 설계자들이 생각나네 -_-;;;  내가 모르는게 왜케 많은지.
>  > 


댓글(5) 먼댓글(1)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역시 무당과 보험은 이성의 힘으로 -_-;;
    from 7:30 2011-02-23 21:18 
    살찌기와 살 깍아내기, 돈 빌려주기와 빌려 준 돈 받아내기, 대통령 뽑기와 대통령 끌어내리기, 본인도 모르게 보험 가입을 해놓고, 계약 무효는 그에 비하면 피똥 쌀 각오를 함에 있어서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것은 실제 생활에서도 일어나고 있는 것 같다. 시간도 많겠다. 본때를 보여줘야겠다는 생각으로 여기저기 알아보니, 보험회사와 영업을 맡고 있는 설계사와 계약자 간의 프로세스에 허점이 많다. 정보가 균등하게 흐르고 있지 않다는 점, 그 상황에서 법은 모호한
 
 
머큐리 2011-01-19 23: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에고 예전에 들었던 보험까지 몽땅 해약하는 바람에 전 후덜덜거리고 있답니다...^^;

라주미힌 2011-01-20 09:50   좋아요 0 | URL
흘... 자금압박이 있으시나봐요.. ;;; 저도 요즘 거지처럼 살아야 할거 같은데...

귀를기울이면 2011-01-20 09: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평소에 비슷한 생각을 해본적이 있어서 읽어보게됐습니다. 딱맞는 제목이라는 생각입니다. 불안조장용 대본을 읽는 상담원들이야 아무 생각이 없는지 모르겠지만 보험사의 의도는 노골적으로 보이니까요. 좀 더 나가면 보이스피싱이나 다름없을거란 생각도 들구요. 서울의 수두룩한 고층 빌딩들이 금융회사 건물임을 생각하면 더더욱 얼굴을 돌리게 됩니다.

라주미힌 2011-01-20 09:51   좋아요 0 | URL
사실 저런거에 별로 관심없었는데 이제부터 보험 상식 좀 쌓으려고요;;;

saint236 2011-01-20 12: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불안증폭사회라는 책을 보면서 같은 생각을 했죠. 저도 불안하니 보험은 들었는데 그 보험이 또 다른 불안을 불러오는 건 아닐까 생각합니다. 불안 때문에 소비하고 있는 제 현실이 서글퍼집니다.
 

고객님께 발급된 적립금 내역을 알려 드립니다.


적립금 종류 : 이벤트발급 적립금
발급사유 : <제6회 우수 리뷰 대회> 발급




적립금 정보

수취인 이름 라....
적립금 액수 500원
적립금 번호 761063102
유효기간 2011-07-18 오후 11:59:00

 

참여한 적 없시유... -_-;;; 

500원은 좀 그렇당.. 흐흐... 1000단위로 끊어달라~ 흐흐흐흐..  

(배부른 소리인가...흐흐) 

 


댓글(8)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노아 2011-01-18 17: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참가상이 500원이에요. 모르는 사이 해당 도서 리뷰를 썼나봐요.ㅎㅎ
저는 방금 9500원 들어왔어요. 만원도 아니고 이게 대체 뭘까 궁금해 하는 중이에요.^^

라주미힌 2011-01-18 18:03   좋아요 0 | URL
아~! 참가상~!...
제가 볼땐 마노아님꺼 뗴준거 같은데요 -_;;; 흐흐흐흐

마노아 2011-01-18 18:05   좋아요 0 | URL
합해서 만원...ㅋㅋㅋ

다락방 2011-01-18 18:23   좋아요 0 | URL
앗 저는 왜 십원도 안들어왔죠? 두권 참여했는데 ㅠㅠ

무해한모리군 2011-01-18 18:40   좋아요 0 | URL
뭔진 모르지만 저도 안들어왔어요!

마노아 2011-01-18 19:04   좋아요 0 | URL
제가 참여한 리뷰가 19권이었나봐요. 그래서 9500원. 20편 썼는데 하나를 포토리뷰로 잘못 올렸더니 500원 감점..ㅎㅎㅎ

순오기 2011-01-18 19: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는 마지막날 8편 참여해서 4,000원 들어왔어요.
우수작은 하나 건졌고~ ㅋㅋ

머큐리 2011-01-19 23: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머 이거라도...감축드리옵니다..들어온게 없던데...부럽사옵니다..ㅋㅋ
 

 

   

형식을 보자면, 실험적 영화의 창의성이 돋보이고, 
영화적 실험은 보는 내내 관 속으로 끌어당길만큼 강력했다.
가상의 상황과 공간, 그 안에서 빗대어지는 현실적 질문과 모순은
절묘하고도 날카롭다.

그냥 일하러 왔을 뿐이라고 말하는 주인공은 아무 연관도 없어보이는 관계망 속에서
살아가는 듯 말한다. 하지만 누군가의 타겟이 되기도 하고, 해고 되기도 한다.
이름을 갖고 있지만, 제대로 불리워지지도 기억되지도 않는다.
시스템적으로 이뤄지지만, 절명의 위기는 개인의 것처럼 치부되어진다.

돌리고 돌리고 돌리고...
돌아버릴 것만 같은 곳, 살아서 무덤에 있는 것인지, 무덤에서 살아가는 것인지...
세상의 일들이 영화처럼 펼쳐진다.
폐쇄공포증을 불러올 만한 미장센은 바로 현실만큼 현실적인 것은 없었던 셈이다.

결말은 어찌나 얼음물 같던지... 정말 냉수를 급하게 마신것 마냥 콱 막힌다.
마음에 드는 결말이다.

점수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소, 돼지한테 구제역이 얼마나 치명적인지는 모르겠으나, 인간이 가장 치명적이라는 것은 수치상으로 따져도 분명한 듯 하다. ‘역병’보다 ‘매장’으로 수명이 다할 확률이 훨씬 크니까.
질병의 씨를 말리려는 건지 가축의 씨를 말리려는 건지 경제적 효용을 따지고 든 수단, 그것의 효용성이 의심스럽다. ‘확산 방지’는 충분히 확산된 후에 저절로 방지될 공산이 커 보일 정도다.
정육점에 걸린 고기와 구덩이에서 바둥거리는 생명체를 보는 시각이 같을 순 없다만, 내가 느끼는 잔인함은 ‘분류’에 따른 ‘예외없음’이다. 마치 인종에 따라 예외 없이 ‘살처분’ 되었던 인류의 역사를 보면 우제류와 인류의 운명은 크게 다를 것 없어 보인다. 누가 더 빨리 사라질 것인가는 누가 먼저 발병 하는냐에 달린 문제로 귀결된다.



명확하게 분류될수록 더 위험한 사회가 되고 있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든다. 발가락이 두 개인 인간이 존재한다면 더욱 세밀한 분류가 생길 것이다. 아마도 그것은 우리를 ‘구제역’으로부터 보호하고 그들의 확산을 방지할 정당방위로 불릴 수도 있다. 분류를 양산해 내는 곳과 학살의 주체는 같다.
이 사회의 분류법이 어디로부터 흘러나오는 가를 살피면 매장이 누구의 운명인가를 알 수도 있다.
소, 돼지의 몰살에 과연 질병의 주체는 누구이고, 그것으로 고통받는 것은 누구인지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고양이 대학살을 보듯 현상은 망탈리테를 품고 있다. FTA 음모론이 괜히 나왔겠는가. 파묻히는 것이 짐승 뿐이겠는가. 질병을 고사시키기 위해 돼지를 매장시키는 방식은 농가를 고사시키기 위해 농민의 생계를 끊어가는 방식을 연상케 한다.



욕망은 보이지 않기에 음흉하고 위협적이다. 타자의 시선은 침해의 시작이기에. ‘미지의 것은 모두가 적’이라던 피카소가 예술 속에서 가면을 찾으려 했다. 우리는 회화적으로 ‘살’풍경을 바라 보고 있다. 모나리자가 사라진 것을 보기 위해 줄을 선 관객처럼….
‘소, 돼지보다 못한 새끼들은 걸릴 지도’ 모르기 때문이거나, 예술적 감수성이 없어 발가락을 숨기는 기만을 보일 수 없었던 소, 돼지의 불행이거나…

방식은 철학을 보여주고, 그것의 정체를 드러내게 한다. 정치판이 개판인 것은 그렇고 그렇기 때문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이몬 브랜드 감독의 2006년도 작품이다...

예측 가능한 시나리오와 반전때문에 자신의 '능력'을 자화자찬 할 수 있게끔한다.
스릴도 없고, 밋밋한 갈등구조, 그런저런 배우들의 연기로 딱 그정도의 영화가 된 듯...
비추....

 

점수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