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크 - 성과 과학의 의미심장한 짝짓기
메리 로취 지음, 권 루시안 옮김 / 파라북스 / 2008년 7월
평점 :
품절


온 몸으로 글쓰는 매리로취. 혈류의 양이 증가하는구먼. 그녀의 호기심은 노벨상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老)맨스가 노망이라 불리우면 매우 억울하겠다.
사랑이 어찌 한 때의 전유물이 될 수 있을까.
육신은 늙어도 낡지 않은 것이 있음을, 그 어느 한 부분도 잃지 않았음을,
강풀의 만화는 매우 '노골적'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 본적 없음;;)
그것을 영화화 했다니, 잘해야 본전일 거라 생각하고 봤다.

본전은 챙긴 것 같다.
원작을 보지 않았지만, 인간 감성의 급소를 제대로 건들고 있으니 말이다.
원작에 충실한건지 아닌지 모르겠지만, 감독의 재능(?) 때문인지 어떤지 모르겠지만,
확실한 건 노(老)배우들의 연기에 자신의 삶이 녹아 든 것 처럼 울림이 있었다.
어찌나 강풀 만화 캐릭터 다운 모습인지. 주름살조차 생생했다.
연기에 그치지 않았을거라는 느낌이 든다.

한 인간이 다른 한 인간에게 다가섬과 물러섬, 긴 세월의 단막과 단막 사이의 휴식에서나 느낄 수 있는 한 때의 추억과 미련, 아쉬움과 미안함, 격렬함과 설레임 등의 온갖 장르의 감정의 리듬을 타게 되는 것은 큰 즐거움이다.

인간에 대한 애정어린 시선으로 관찰할 때 보이는 강풀의 강점, 섬세함이 아닐런지.
무엇이 우릴 행복하게 하고, 아름답게 만드는지 명확하게 알고 있다는 건 대단한 능력이다.

"늙어 죽었다고 호사"라 수근대는 사람들에게 노인은 벼락같은 호령을 내린다.
인간 소외는 바로 디테일하지 못한 눈에 있다는것을 강풀이 대신 말하는 것 같다.

이 영화의 어디에도 큰 것은 보이지 않는다.
작고 작은 일상의 틈 속에서 영원의 교감이 흐른다.
누구나 한번쯤은 꿈꾸던, 느껴봤던 그것들.

때는 늦으리...
늦기 전에 다시 한번 그대를 보길...
좀 더 가까이서...  

원로배우들만이 보여줄 수 있는 연기를 보고 싶다면 이런 영화만한 게 없을 것 같다.

ps. 요즘 개봉된 영화들 중에서 상영관이 적은 것은
좋은 영화일 가능성이 높다라는 근거자료가 되는 것 같다 -_-;
좋은 건지 나쁜 건지.. 하여간 고르기는 쉬워졌다.

 

점수 : ★★★★


댓글(9)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라로 2011-02-13 02: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영화 대전에서는 상영 안 한다는 슬픈 사실,,ㅠㅠ
하지만 님의 리뷰는 그럴 수록 더 보고싶게 만/드/시/는/군/요.ㅠㅠ

순오기 2011-02-13 15: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영화 다음주말에 인천가면 친정엄마랑 같이 보려고 해요.
울엄니는 영화관에 한번도 안 가봤다는 게 생각났어요.
부모님 돌아가시기 전에 해야 할 일이라는 걸 깨달았어요.

L.SHIN 2011-02-13 16: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이거, 저도 어제 우연히 포스터를 스치듯 보았는데.관심이 갔었죠.
저 역시 나이에 상관없이 누군가를 사랑한다는 것은 참 아름답다라고 생각합니다.^^

라주미힌 2011-02-13 19: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꼭 보세용.. ㅎ

하늘바람 2011-02-14 11: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눈물날 것같은데요

라주미힌 2011-02-14 12:27   좋아요 0 | URL
그런면이 있어요 ㅎㅎ

푸른신기루 2011-02-14 17: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이거 만화도 정말 좋은데..
만화가 너무 좋아서 영화를 볼까말까 고민 중이에요^^;;
저는 밤새 보다가 울었고, 엄마도 울었고,
남동생과 여동생은.. 음.. 찡했다고 했어요(냉정한 것들-_-+)
만화는 DAUM에서 보실 수 있어요^-^

2011-02-16 21:2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1-02-19 12: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김진숙씨가 한 달 넘게 크레인 위에서 농성 중인 것을 며칠 전에 알게 되었다.
당신을 지지하는 사람이지만, 이런 식의 투쟁은 이제 좀 그만들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가장 먼저 들었다.
세상이 바쁘게 돌아가니, 나도 어떻게 살고 있는지 잘 모르겠고, 누가 뭘 하고 있는지도 잘 모르겠다.
그래서 관심을 끄는게 우선이고, 알리는 게 목적인거 같은데... 그래 각성.
그것이 목적이어여서는 안된다고 본다.
마치 자기 자신과의 싸움처럼 보여져서는 안된다고 본다.  

가장 진보적이었던 사람들이 대단히 보수적으로 투쟁하는 것을 보면 안타깝다.
사람들은 추위를 알지만, 김진숙을 모른다.   
김진숙을 알아도 세상에 뜻을 드러내고 변화를 만들어 가는 방식이 늘 극한 고통, 목숨을 걸고서야 가능한 것이라면, 많은 사람은 '그들'의 투쟁으로 만들 것이다.
아니면 옆에서 응원만 하던가... 

경험이 지배하는 세상이 되어 간다는 느낌이다.
하지만, 그것을 미디어가 담당하면서 우리는 경험으로부터 멀어지고 있다.
김진숙의 '경험'은 김진숙 만의 것으로 끝날 공산이 크다.  
열사는 신화가 되어도 사람은 일단 살고 봐야 한다.
몸 상하면 보고 싶은 세상이 와도 보지 못한다.
그런 세상을 만들고 싶어도 못 만든다.  

극복해야 할 것들은 산적해 있거늘... 함께 할 수 없는 방법만 눈에 띄는지 모르겠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1-02-10 10:2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1-02-10 12:41   URL
비밀 댓글입니다.

글샘 2011-02-10 22: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늘도 그 크레인 아래를 자동차로 씽~ 달려갔는데, 오늘은 비까지 내려서요... ㅠㅜ
구태의연한 방식인 것 같기도 한데, 솔직히 너무 무모한 싸움이 아닌가...
물론 한진중공업은 그 크레인에 대한 무서운 추억을 안고 불안해할 수도 있지만 말이죠...
한국은 정말 짧은 기간에 너무도 많은 세대의 경험을 초스피드로 거치고 있는 중인 것 같습니다.

라주미힌 2011-02-11 09:44   좋아요 0 | URL
봄이 얼렁 와야 할텐데요...
 

 

  


히틀러에게 레니 리펜슈탈이 있었다면, 미국 민중에게는 마이클 무어가 있는 듯 하다.
영상의 선동성은 보험상담을 받을 때와는 다른 몰입을 불러일으킨다.
우리 삶에 대한 변화와 안정에 대한 두려움과 희망을 말하는 방식이 이전의 그의 영화들처럼
비장하면서도 다채롭다.
강준만식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한땀한땀 편집한 '마이클의 사상'은 최선의 다큐멘터리가 되었다.
정치성의 영상화는 그가 가장 잘하는 방식이며 그가 세상과 소통하는 방법이다.
그가 본 세상의 풍경이 어찌나 살갑던지. '리틀 어메리카'에 살고 있는 우리의 모습들이 절로
투영된다.

고통은 누군가에게로 쏠리고, 물질은 다른 누군가에게로 몰리는 뭔가 잘못 돌아가고 있는 이곳 저곳을
서브프라임을 계기로 짚어낸 암적 존재들에 대한 예리한 매스질이 신명난 일은 아니다.
파워게임이 되버렸다. 누가 권력을 쥐어야 하는가.

"전 이런 나라에서 살기를 거부합니다.
떠나지도 않을 것입니다."

중간 중간에 나오는 퍼포먼스와 그의 결의가 구제역 퍼지듯이 퍼지면 달라질까나..


- 영화의 마지막을 상큼발랄한 인터내셔널 재즈버전으로 장식하는 센스도 인상적이다.
- 프랭클린 루즈벨트의 담화와 노동자 보호를 위해 주방위군을 투입한 장면은 완전 신기하다. 
용역깡패와 함께 회사로 쳐들어가거나 농민들 몰아내려고 군대 투입한 나라 시민이 보기에는 -_-;;;

"이것은 계급투쟁이다. 내 계급이 이기고 있지만, 그래선 안 된다." -워런 버펫,  

러브스토리...
미안하단 말을 하지 않는 것이 자본과 사랑의 공통점인가..
자본에 대한 퇴폐적 사랑 이야기인가...

하여간 그것에서 깨어났을 때 고통스러운 건 매한가지인거 같다.
어쩌겠어 받아들여야지.

 

점수 : ★★★★★


Tony Babino - L'Internationale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머큐리 2011-02-07 16: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니... 이 영화가 개봉되었다는 말입니까????

라주미힌 2011-02-07 16:35   좋아요 0 | URL
다운 받아봤는데.. dvd로 나왔네요.. ㅎ
안보셨으면 보세용.. 잼나요~! ㅋ

라로 2011-02-08 00: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라주미힌님 다운 받은 리스트가 갑자기 보고 싶어졌다는,,^^;;

라주미힌 2011-02-08 10:26   좋아요 0 | URL
ㅎㅎ. 잡히는대로 보는 거라서;; ㅠㅠ;;

머큐리 2011-02-08 11: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케 공유하는 방법이 없으려나요..ㅎㅎ

라로 2011-02-08 14:44   좋아요 0 | URL
어케 공유하는 방법이 없으려나요..ㅎㅎ2

라주미힌 2011-02-08 20:17   좋아요 0 | URL
헉.. 용량이 커서;; ㅎ... 알라딘에서 dvd로 파네용;;

무해한모리군 2011-02-10 12:15   좋아요 0 | URL
머큐리님은 오셔서 가져가세요 ㅎㅎㅎ
 

 

 에... 뭔가 기대(?)를 불러일으키는 포스터였는데.... 

대단히 실망스러웠다.. 쨰째한 배드신조차 없다니;;;; 

최강희가 출연하길레 "달콤 살벌한 연인" 같은 재미를 발견 할 것만도 같았는데.. 

최강희 캐릭터는 살아있긴 하지만, 영화 전반적으로 좀 진부하다...  

결말은 저런 결말만 아니면 될텐데 하는 그런 류.....  

제목과 내용의 상관관계는 아직도 이해를 못하고 있음.

 

점수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