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칠 것 같다. 이해하기 힘들 정도로 장르소설이 폭주하고 있다. 지난 달에만 사들인 책이 몇 권인데(상당히 절제하여) 하루가 멀다 하고 등 떠밀 듯 책들을 뿜어내고 있는데다 예정된 책들은 그보다 훨씬 많다. 내가 아는 것만 그렇다는 것이니 준비를 도대체 얼마나 하고 있다는 말일까?
한 번쯤 몰아닥칠 장르문학 붐은 예상한 바였지만 이런 식의 폭주는 오히려 걱정스럽다. <다 빈치 코드>를 기점으로 장르소설에 관심을 갖는 독자와 출판사들이 눈에 띄게 늘어난 것은 반가운 일이지만 마냥 행복한 비명을 질러도 되는 걸까? 매체들이 장르문학을 정당한 눈으로 올바르게 평가할 준비가 덜 되었다는 점, 그리고 짧은 기간에 온갖 장르문학이 쏟아져 나와 서로가 서로의 가치를 깎아내리고 있다는 점을 나는 걱정한다.
르 귄의 헤인 시리즈, 히가시노 게이고의 <게임의 이름은 유괴>, <나는 전설이다>, <망량의 상자>, 덱스터의 모스 경감 시리즈, 딜비쉬 연대기, 콘웰의 스카페타 시리즈, <800만 가지 죽는 방법>, <붉은 인형의 집>, 챈들러 선집, 스티븐 킹 전집, 아야츠토 유키토의 관 시리즈, <비잔티움의 첩자>..... 이외에도 장르 독자라면 한 번은 읽어보고 싶은 수많은 타이틀들이 있다.
또 나올 책들은 어떤가.
러브 크래트프 선집, 미야베 미유키의 <모방범>과 <이유>, 어스시의 마법사 4권, 하인라인의 <달은 무자비한 밤의 여왕>, <안드로이드는 전기양의 꿈을 꾸는가>(<블레이드 러너>), 닐 게이먼의 American Gods(제목을 뭘로 할는지..), 키리노 나츠오의 책들, 히가시노 게이고의 <변신>외 몇 권, 제브리 디버의 몇 타이틀, 팔코 시리즈, 클라크의 <라마와의 랑데뷰>......

요즘 뒤를 돌아보니, 요 몇 달 새 읽은 것의 팔 할이 장르다. 연재하는 원고들 때문이기도 하거니와, 다른 책들은 이사니 뭐니 시간에 쫓기어 읽지 못한 탓이겠지만 출간 속도에 떠밀려 내 읽기는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있다. 언제부터 내가 장르소설을 이렇게 탐닉했을까? 사실 난 '마니아'로 불릴 정도의 장르소설 독자라고 생각해본 적은 없(었)다. 굳이 말하자면 "재밌는 건 뭐든 읽는다!"는 전방위 무대뽀 독자였을 뿐. 내가 다른 마니아들처럼 원서를 뒤적이는 것도 아니요(물론, 십몇 년 전에는 찔끔찔끔 사기도 했지만), 오히려 신화책들을 더 탐닉하는 편에 속했는데 말이지. 그때는 별로 나오는 책이 없었고, 나오는 책은 어지간한 건 전부 읽는다...주의였.....호...혹시...이게 마니아? OTL
아무튼, 최악으로 돈이 궁한 요즘 이렇게 밀어닥치는 책들은 조금(실은 많이) 원망스럽기도 하단 말이지. 위에서 말한 걱정들도 있고. 이러다가 또 갑자기 쑥 사그라들어 존재도 없이 사라지는 건 아닌지, 하는. 소문으로만 듣던 책들이 실제로 눈앞에 *두둥* 나타나니까(그것도 무더기로) 실감이 잘 안 난다. 우웅... 책값 줄이기로 했는뎅. 쟤네들이 나를 발바닥부터 갉아먹는구나. 에라, 그래, 나올 테면 나와라. 무슨 방법을 써서라도 읽어 주마! -虎-
출처 : www.readordie.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