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디넷코리아]세계 최대 동영상 사이트 ‘유튜브’ 접속을 자국서 차단하는 정부들이 늘고 있다. 유튜브의 동영상 파워가 정부 지배력을 흔든다는 판단 때문이다. 

3일(현지시간) 씨넷뉴스 등 주요 외신들에 따르면 유튜브를 검열, 혹은 차단 등의 방식으로 제재하는 국가가 10여 곳에 이른다. 
 
대표적인 곳이 바로 중국. 
중국은 지난 달 23일부터 유튜브 접속이 차단 됐다고 외신들이 보도했다. 공식 발표는 없었으나 정부 차원의 조치인 것이 기정사실화된 분위기다. 최근 티베트 독립 시위자들을 폭력 진압하는 중국 공안들의 동영상이 유튜브에 떠돈 것이 결정적 원인이었다고 씨넷뉴스는 분석했다. 
 
중국 현지의 한 애널리스트는 “정부가 1989년 천안문 사태 20주년을 맞아 반체제적 성향 누리꾼들을 억누르려 한다”며 “유튜브는 ‘사회 전복 거점(?)’ 쯤으로 보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 같은 여론에 대해 중국 외무부 친 강 대변인은 “유튜브 폐쇄에 대한 내용은 알지 못한다”며 “중국 정부는 인터넷이 두렵지 않다”는 묘한 발언을 내놓았다. 
 
파키스탄 정부의 경우 대놓고 유튜브를 차단해 구설수에 올랐다. 페르베즈 무샤라프 전 파키스탄 대통령은 지난해 2월 ‘이슬람 체제 비판’ 동영상이 올랐다는 이유로 유튜브 차단을 직접 지시했다. 덕분에 파키스탄은 세계 누리꾼들로부터 거센 비난을 받았다. 

또 터키와, 태국, 방글라데시는 국가 수장을 모욕하는 동영상이 올랐다는 이유로 유튜브를 차단한 전례가 있다. 
 
인터넷 검열이 심화되고 있는 우리나라도 유튜브에게 그리 편한 곳은 아니다. 정보통신망법 개정으로 이달 1일부터 본인확인제를 준수해야 하는 사이트가 방문자 10만명 이상으로 확대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유튜브코리아는 본사와 우리나라서 본인확인제를 도입할 지 여부를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만약 개정안을 지키는 쪽으로 결정 나면 우리나라는 유튜브가 본인확인제를 도입하는 세계 최초의 국가가 된다. 
 
최근 ‘국경 없는 기자회’는 중국과 북한, 미얀마 등을 ‘인터넷의 적’으로 분류했다. 인터넷을 국가 ‘인트라넷’으로 만들어 누리꾼들을 박해한다는 이유에서다. 우리나라는 온라인 표현 자유를 위협할 수 있는 법안들이 나오고 있다며 ‘감시대상’에 올렸다 

http://www.zdnet.co.kr/ArticleView.asp?artice_id=20090403161608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늘빵 2009-04-06 09: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도 북한 열심히 따라가려고 노력하는 중... -_- 민주주의를 빙자한 독재에, 인터넷 통제에, 언론 통제, 사상 교육. 북한하고 다를 바가 없는 거 같아요. 북한만 욕하셨던 분들은 이제 우리 정부도 같이 욕해야 할 듯.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102893&CMPT_CD=P0000 

 

  

 

흠... 

 

얼마나 더 강해 질 것인가;;; 

프리더 3단 변신? -_-;;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licia 2009-04-06 00: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라주미힌님/

제발 모자이크 처리 해주세요.ㅡ_-
 




당원님들 반갑습니다.

'좌파의 역사 실험실, 라틴아메리카' 강좌를 맡은 박정훈(빠블리또)입니다.

당원님들과 함께 제가 7년간 거주했던 라틴아메리카에 대한 얘기들을 화제로  
한국의 진보 정치에 대해 얘기를 나누고 싶습니다. 

80%가 넘는 국민들의 압도적 지지를 받고 있는 브라질의 룰라 대통령은
"중요한 것은 인류의 미래"라는 최근 글에서 전 세계를 강타한 경제위기 이후의
세계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수많은 사람들에게 침투하여 자신을 절대적인 진실이라고 주장하는 
 경제적 도그마들로부터 자유로운 세상을 희망한다."  
 
이것은 비단 라틴아메리카 사람들만의 희망이 아닙니다. 한국인들도 그 수많은 경제적 도그마로부터 자유로운 세상, 정치적 도그마로부터도 자유로운 세상을 희망하고 있습니다.  

여러분들과 함께 신자유주의의 정치적, 경제적 교조는 물론이고 
좌파의 정치적, 경제적 교조도 깰 방법에 대해 토론하고 싶습니다.   

4월 21일에는 주한 베네수엘라 대사 볼프강 곤살레스 씨의 특별 강연도 있습니다.



늘 행복과 행운이 당원님들의 생활에 그림자처럼 동행하기를 바랍니다.
라틴아메리카 식으로 인사드립니다. 

¡Un abrazote fraternal y solidario! 우애와 연대의 포옹을!     

 

http://www.newjinbo.org/board/view.php?id=discussion&no=3023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50등 상품 주겠다” 변질되는 일제고사


 



 ㆍ“수행평가 반영”…학부모 시험감독 동원
ㆍ31일 1000여명 체험학습… 당국과 갈등 고조

31일 실시되는 전국 초·중학생 진단평가를 앞두고 일선 교육현장에서 성적을 올리거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각종 비교육적인 방법이 동원되고 있다. 일부 학교에서는 성적 경쟁상품권을 걸거나 일제고사 점수를 내신에 반영키로 하는 등 파행 양상을 보이고 있다.

시험 대신 체험학습을 선택하는 학생이 수백명에 이른 가운데 교육당국은 엄중 대처하겠다고 나서 일제고사를 둘러싼 갈등고조되고 있다.

29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등에 따르면 충남 ㅅ중학교는 지난 17일 ‘2009학년도 교육활동 학부모 설명회’를 열고 진단평가에서 1~50등을 한 학생에게 상품을 주겠다고 약속했다. 일부 담임교사들은 상위권 학생들에게 별도로 도서상품권 등을 주겠다고 했다.

전남 ㄱ중학교는 진단평가 결과를 수행평가에 10% 반영하겠다고 했다. ‘100점 만점은 10점, 90점대는 9점’ 등으로 수행평가에 반영하겠다는 것이다. 수행평가는 내신점수에 속하기 때문에 참고자료인 진단평가를 반영해서는 안된다.

부산의 ㅅ중학교는 매주 일제고사 대비용 쪽지시험을 본 뒤 과목당 1점이 떨어질 때마다 1대씩 체벌을 가하겠다고 했다가 학생·학부모의 반발로 시행하지는 않았다.

학부모를 감독으로 동원하는 사례도 있다. 서울 동대문구의 중학생 아들을 둔 학부모는 학교 어머니회 회장으로부터 진단평가 시험감독으로 나와달라는 연락을 받았다고 밝혔다. 서울시교육청이 진단평가 당일 각 학교에 학부모 보조감독을 배치하도록 지시했기 때문이다. 이 학부모는 “나는 감독을 거부했지만 주변 엄마들은 눈치가 보여서 가겠다고 하더라”고 말했다.

교육당국은 평가를 방해하면 엄중 대처하겠다고 경고하고 나섰지만 전교조와 일부 학부모단체는 ‘일제고사 불복종’을 선언하고 체험학습을 강행할 태세다. 이날까지 전국적으로 1000여명의 학생·학부모가 일제고사를 반대, 체험학습을 신청한 것으로 집계됐다. 평등교육학부모회에 따르면 서울지역에서 학부모 50여명을 포함, 300여명의 학생·학부모가 경기 여주와 남한강 일대 체험학습을 신청한 상태다. 사회공공성·공교육강화 전북네트워크가 섬진강에서 진행할 체험학습에는 300여명의 학생이 참여 의사를 표시했다. 강원지역도 100여명, 대구·경북에선 낙동강 체험학습에 90여명이 참여할 예정이다.

참교육학부모회 등 학부모 단체들은 30일 전국에서 1만명의 학부모 서명을 받아 ‘일제고사를 반대하며 시험 선택권은 학생·학부모에게 있다’는 학부모 선언을 할 계획이다.

교육당국은 체험학습을 떠날 경우 무단결석 처리교사 징계를 강행할 방침이다.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는 “진단평가 거부는 법과 원칙에 따라 단호히 대처하겠다”고 경고했다.

<임지선·박용근기자 vision@kyunghyang.com>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라주미힌 2009-03-30 03: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교육당국은 그냥 학생들을 학원에 넘기고 시험감독이나 해라.. 월급은 응시료에서 알아서 떼가라.. 그지같은 놈들.

마늘빵 2009-03-30 09: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발상들하고는... -_-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라주미힌 2009-03-29 03: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놈현도 잘 했던 정책이 '한 개' 정도는 있었던 거 같은데..
어째 쥐는 '한계'만 보이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