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적 제약사 화이자의 고혈압 치료제 '노바스크'(5mg)는 지난해 한국에서 99
6억원(건강보험 청구액 기준)의 매출을 올렸다.노바스크의 국내 보험약가(건강
보험공단에서 제약사에 주는 가격)는 1정당 524원.반면 한국보다 1인당 국민총
소득이 2.8배 높은 스위스에서는 482원에 불과하다.한국의 고혈압 환자와 건강
보험 가입자들이 져야 할 부담이 스위스보다 그만큼 크다는 얘기다.

이처럼 국내에서 팔리는 다국적 제약사들의 의약품 상당수가 우리나라보다 소득
수준이 높은 선진국에 비해 비싼 가격에 팔리는 것으로 밝혀졌다.국회 보건복
지위원회 장복심 의원(대통합민주신당)은 지난해 국내 매출 상위 30개 의약품의
보험약가를 선진 7개국과 비교 분석한 결과 보험 약가가 이들 국가보다 높게
책정된 의약품이 13개 품목에 달했다고 17일 말했다.

화이자의 고지혈증 치료제 '리피토'(10mg)는 한국에서 보험약가가 1241원이지만
△일본 1172원 △프랑스 940원 △영국 1210원 등으로 한국보다 싼 가격에 팔리
고 있다.이들 세 나라는 한국보다 1인당 국민총소득이 두 배가량 높다.

다국적제약사 사노피아벤티스의 직장암 치료제 '엘록사틴'(50mg)의 경우 한국은
42만8725원으로 △영국 31만152원 △이탈리아 37만639원 △독일 42만5339원 등
과 비교해 최대 38%나 비쌌다.장 의원은 "정부가 약가 관리를 제대로 못해 일부
다국적제약사들이 한국 시장에서 폭리를 취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시민단체는 비싼 보험약가를 깎아달라며 정부에 민원을 제
기하기도 한다.시민단체 건강세상네트워크는 폐암치료제 '이레사'를 파는 다국
적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를 상대로 보건복지부에 '신약으로서의 혁신성이 부족
해 약값을 내려야 한다'고 청구,인하 결정을 얻어냈다.아스트라제네카는 이에
불복해 행정소송을 냈으나 법원은 시민단체편을 들어주고 다국적제약사의 '폭리
관행'에 제동을 걸었다.

보험약가 관리를 책임지는 복지부는 별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복지부 관계자
는 "지금까지 신약에 대한 보험약가는 선진 7개국의 평균 가격을 참조해서 결정
해 왔다"며 "한국의 보험약가가 일부 국가보다 높은 경우는 있지만 선진 7개국
의 평균 가격보다는 낮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정부의 이 같은 변명은 설득력이 약하다는 의견이 많다.건강세상네트워
크 관계자는 "정부가 소득이 훨씬 높은 선진 7개국의 평균 가격을 기준으로 보
험약가를 주는 것 자체가 잘못됐다"며 "한국은 보험약가를 워낙 높게 책정하기
로 유명해 다국적제약사들은 신약이 나오면 한국에 우선 출시하고 이를 기준으
로 다른 나라에서 약가를 협상할 정도"라고 지적했다.

이처럼 비싼 약가는 결국 소비자 부담을 가중시킬 뿐 아니라 건강보험 재정을
악화시키는 주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김동윤 기자 oasis93@hankyung.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07-10-11 20: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으하하하!

마늘빵 2007-10-11 20: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대박이군요! 고구마 먹다 떨어뜨렸어요. ㅋㅋㅋ

웽스북스 2007-10-11 21: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프흐흐흐흐흐 너무 웃겨요~ ^^

푸른신기루 2007-10-12 00: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최고, 진짜..ㅋㅋ
아시아나 항공 어쩔거야.. 푸흐흐 @~@

바람돌이 2007-10-12 01: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푸하하하~~~ 아시아나 항공 대박!!!
소의 심란한 마음을 앞으로는 잘 헤아리겠습니다. ㅎㅎ

조선인 2007-10-12 08: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햇님이 좋아요. ㅋㄷㅋㄷ
 

요즘 남학생들을 뛰어넘는 여학생들이 속속 등장해 파워걸이라는 용어까지 등장할 정도지만 20여년 전만 해도 장래희망을 물으면 주저없이 현모양처(賢母良妻)를 꼽는 소녀들이 적지 않았다. 현모양처의 이데올로기는 과연 어디서 비롯된 것일까.

대부분은 현모양처 개념을 삼종지도·칠거지악 등 남녀차별을 전제로 한 유교 이데올로기의 산물로 생각한다. 그러나 와카쿠와 미도리 일본 치바대 명예교수(72)에 따르면 현모양처 사상은 근대 국민국가의 산물이다. 19세기 자본주의가 발달하면서 근대가족이 형성되고 공사(公私) 영역이 분리되면서 형성된 근대사상인 현모양처 사상은 20세기 초 일본의 군국주의 바람을 타고 이전까지 근대 국민국가가 형성되지 않은 동아시아 각국에도 유포됐다. 2001년 발표돼 최근 건국대 대학원 일본문화·언어학과 학생들이 공동번역한 와카쿠와 교수의 ‘황후의 초상’(소명출판)은 특히 일본이 근대 국민국가로 재탄생하는 과정에서 여성을 국민으로 재편하기 위해 ‘현모양처’라는 이상형을 제시하고 이를 유포하는 데 황후의 이미지를 적극 이용했다는 흥미로운 주장을 담고 있다. 도상해석학, 젠더연구의 시각에서 미술사를 분석해온 저자는 특히 일본 근대사에서 메이지 천황(재위 1867~1912)의 부인 쇼켄(昭憲) 황태후의 초상사진이 어떻게 일본 여성의 성역할을 고정화하는 데 기능했는지를 살핀다.


저자는 근대국가의 특징 중 하나로 남녀의 성역할 차별이 제도화된 것을 꼽는다. 이전까지 역사에서 비켜나 있던 여성들은 근대국가가 탄생하면서 국민을 생산하는 주체로서 인식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 방향은 지독히도 남녀차별적이었다. 국가는 다음 세대의 국민을 생산하는 여성을 가정이라는 테두리에 가두기 위해, 아내와 어머니라는 역할을 부여했고 국민생활의 기반을 짊어지게 했다.

와카쿠와 교수는 현모양처라는 개념이 바로 일본이 근대국가로 거듭나면서 여성을 국민의 성원으로 껴안는 과정에서 탄생했다고 주장한다. 책에 따르면 메이지 시기, 여성에 대한 보이지 않는 국가의 국민화 작업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이뤄졌다. 그 중 황후의 초상사진은 국민으로서 여성의 성역할을 고정시키는 데 한 몫을 담당했다. 어진영(御眞影)으로 불리는 황후의 초상사진은 메이지 유신 중기 이후 그 양상이 달라지기 시작한다. 메이지 초반이던 1873년 촬영한 사진에 천황은 군복차림을 하고 있지만 황후는 전통의상을 입고 있었다. 그러나 1889년 촬영된 어진영에서 황후는 구미 근대국가의 여왕 혹은 왕후의 복장을 재현하고 있다.

의상을 정치 및 외교적 차원의 문제로 파악한 이토 히로부미는 1887년 황후의 의복을 포함한 궁중의상 개혁을 주도했다. 그는 여성을 국민화하지 않으면 근대국가를 이룰 수 없다고 생각했다. 나란히 양장을 입은 천황과 황후의 사진 및 다색목판화인 니시키에는 남녀평등의 환상을 국민에게 심어줬다. 양장은 바로 남녀평등을 시각화하는 매체였던 셈이다.

양장을 입은 황후의 초상은 궁중행사를 홍보하기 위해 제작된 니시키에를 통해 대량으로 국민에게 유포됐다. 특히 저자는 양장차림의 황후가 여성교육, 간호, 섬유산업, 복지사업 등의 지도자 역할을 수행하는 장면은 조용히 가정 내에 머물러 있던 여성을 국가의 사업에 동원하기 위한 고도의 전략이었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한편 메이지 중기 이후 개혁파에 반발하던 일본의 수구파 역시 황후를 순종과 정숙의 미덕을 제시하는 도구로 이용했다. 1887년의 제복개혁 이후에도 황후는 일본 고대의 전통을 유지하기 위한 행사나 직무를 담당할 때는 전통의상을 입었다.

저자는 황후의 이중복장을 근대화와 민족주의의 혼용으로 읽어낸다. 즉 쇼켄 황태후는 국모로서 여성의 국민화를 위해 남녀평등의 환상을 양장으로 드러내 보이는 동시에 서구에 대해서는 일본이 서구화되었다는 일본의 선진성을 과시했다. 또한 전통과 민족성을 강조하는 행사에서는 전통의상을 입어 부덕(婦德)을 표상하고 여자로서의 순종과 정숙의 미덕을 국민에게 제시했던 것이다.

황후의 초상에 배어 있는 일본 근대의 이중적인 태도를 지적한 책은 20여년 전 발표됐던 타키 코지의 ‘천황의 초상’(소명출판)과 비견된다. 최근 출간된 이 책 역시 예술사와 기호학을 바탕으로 천황의 초상사진 속에 내재해 있는 권력과 예술의 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얀마서 숨진 日기자 총격 영상 공개돼
입력: 2007년 09월 28일 16:56:42
 
미얀마에서 취재 중이던 일본인 기자 나가이 겐지(50·長井健司)씨가 시위대 진압부대가 쏜 총탄에 맞아 쓰러지는 모습이 담긴 영상이 공개됐다. 애초 시위 군중 속에 섞여 있다가 총에 맞았다는 보도와는 달리 진압부대가 고의적으로 언론인을 겨냥해 총격을 가한 것으로 밝혀져 파장이 일고 있다.


후지TV의 FNN뉴스는 28일 “진압군이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나가이기자를 겨냥, 총을 쐈다”며 나가이 기자가 쓰러지는 순간을 포착한 영상을 보도했다. 영상은 숨지기 전 나가이기자의 취재 모습과 함께 사건 당일 시위대를 쫓던 진압군경의 총구가 나가이 기자를 향하고 그가 곧바로 도로에 쓰러지는 모습을 담고 있다. 나가이기자는 쓰러진 뒤에도 카메라를 움켜쥔 채 도움을 호소하는 듯 손을 흔들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27일 오후(한국시간) 이번 사건을 목격한 한 미얀마인은 나가이기자의 카메라는 치안부대 정면을 향했으며 이를 본 한 군인이 발포했고 다른 외국인 기자도 부상했다고 증언했다. 미얀마 국영TV는 이날 나가이기자를 포함 9명이 사망, 11명이 부상했다고 보도했다.

영상 전문 통신사인 APF뉴스에 소속된 프리 저널리스트 나가이씨는 분쟁지역 전문 기자로, 미얀마 군경이 쏜 총탄에 쓰러진 뒤 죽는 마지막 순간까지도 자신의 카메라를 놓지 않았다고 마이니치신문은 전했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709281656421&code=970207




나가이 기자는 태국 방콕에서 별도의 취재를 하던 중 미얀마에서 시위가 있다는 소식을 듣고 취재를 자원해 현지에 입국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의 미얀마 취재는 이번이 처음이었다. APF뉴스측은 나가이 기자가 평소에 “아무도 가지 않는 곳에 누군가가 가지 않으면 안된다”고 입버릇 처럼 말해왔다고 전했다.

〈고영득 경향닷컴기자〉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07-09-28 17: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런 사람이 진짜 기자죠..
 

‘SBS 스페셜’ 30일 ‘살아있는 전설 여인국-자바’ 방송

'알파걸'이 부상하고 사회 각 분야로 여성들의 진출이 활발해지면서 여성의 파워가 새삼 주목받고 있는 요즘이다. 자연스럽게 전통적인 가부장적 사회가 붕괴되면서 새롭게 모계 중심의 가정문화가 부활하고 있다.

SBS TV 'SBS 스페셜'은 모계사회의 전통과 독특한 혼인 풍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중국의 신비한 소수민족 자바를 조명하는 '살아 있는 전설-여인국 자바'를 30일 오후 11시5분 방송한다.

최근까지 외부와 통하는 길이 없어 그들 고유의 전통과 풍습을 지켜올 수 있었던 자바는 1천500년 전 역사에서 홀연히 사라졌던 전설의 여인국인 동여국(東女國)의 후예로 밝혀지며 더욱 관심을 끌고 있다. 1950년까지 여자 추장의 지배를 받았던 이곳은 1973년까지 외부로 도로가 나 있지 않았다.

프로그램은 "자바의 모계사회는 '인류 사회 진화과정을 보여주는 살아 있는 화석'이라 불린다. 여인을 중심으로 가족을 이루며, 남자는 여인의 사랑을 얻기 위해 목숨을 걸어야 한다"고 전한다.

제작진은 "중국 쓰촨(四川)성 청두(成都)에서 해발 4천m 이상의 고개를 몇 개나 넘어 차로 꼬박 사흘을 달린 끝에 가파른 협곡에 자리한 자바 사람들을 만날 수 있었다"면서 "중국 땅에 있지만 중국인도 아니고 티베트인도 아닌 자바인들은 그들만의 언어를 쓰고 있었으며 4중 통역을 거쳐야 간신히 대화를 나눌 수 있었다"고 밝혔다.

자바인들은 요새처럼 우뚝 솟은 4~5층 규모의 특이한 돌집 '디아오러우'를 짓고 살고 있고, 독특한 제조법으로 20년 이상 삭힌, 썩은 냄새가 나는 돼지고기 '워꿔'를 즐겨먹는다.
이곳에서 자식들은 평생 어머니 품을 떠나지 않고 함께 살며 남자도 여자도 결혼하지 않는다. 대신 일정한 나이가 되면 짝을 찾아 주혼(走婚)을 한다. 주혼은 낮에는 각자 모계 가정에서 따로 살고 밤에만 함께 지내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목숨을 건 구애의식 '파방쯔'를 해야 한다.

파방쯔는 남자가 사랑하는 여인이 살고 있는 집의 거친 담벼락을 10m 이상 맨손으로 기어오르는 것으로 어떤 사람은 올라가다가 떨어져 다치기도 하고 심지어 죽는 경우도 발생한다. 하지만 이처럼 목숨을 걸고 사랑을 쟁취해도 자바의 연인은 부부처럼 함께 살지 않으며 어느 한쪽의 마음이 떠나버리는 즉시 주혼 관계도 끝나버린다.

주혼으로 태어난 아이들은 전적으로 어머니가 맡아 키우며 아버지의 빈자리는 함께 사는 외삼촌이 채워준다. 결혼이 아닌 연인 관계이므로 남녀 모두 일생동안 여러 명과 주혼 관계를 맺을 수 있다.

자바를 처음 발견하고 이들의 삶을 연구 중인 중국의 오지탐험가는 "이곳을 발견한 후 가장 놀라웠던 것은 신세대적 사고방식이었다. 사랑을 합리적인 시선으로 바라보는 자바 사람들을 보면서 나는 이곳에서 과거가 아닌 미래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제작진은 "진실하고 순수한 사랑을 토대로 가족을 이루며 살아가는 자바 사람들을 통해 흔들리는 결혼, 가족 해체의 위기를 겪고 있는 우리에게 질문을 던져보고자 한다"고 말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