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친 물결 일지 않는

잔잔한 마음이길

 

생각없이 던진 돌에

일렁여도

잘 가라앉히길

 

바라는 마음은

자신이 만들어야겠지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익명의 전화
야쿠마루 가쿠 지음, 최재호 옮김 / 북플라자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을 보면 경찰은 조직을 먼저 생각한다고 하는데 정말일까. 실제 그런 일이 일어나니 그런 소설이 나오기도 하는 거겠지. 다른 곳은 몰라도 경찰만은 깨끗하면 좋을 텐데, 경찰은 정치가가 잘못한 일을 숨겨주거나 경찰이 잘못해서 일어난 일을 숨기려 한다. 그걸 하려고 사건을 꾸며 내기도 한다. 그런 거 하고 양심에 찔리지 않을까. 그런 일이 일어난다 해도 평범한 사람은 그런 것과 상관없이 산다. 피해자가 되면 좀 다를지도 모르겠다. 피해자나 피해자 식구는 되고 싶지 않구나. 그게 자기 마음대로 되는 건 아니겠지만. 경찰조직 사람이 다 사건을 숨기고 거짓으로 꾸며내지는 않을 거다. 정의를 생각하고 피해자를 생각하는 경찰이 더 많다고 믿는다. 피해자나 피해자 식구를 생각하고 범인을 잡거나 진짜 일어난 일을 알리려는 경찰.

 

 이상하다. 법률가나 경찰은 다른 누구보다 윤리, 도덕이 높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사람이라는 것은 같은데. 그런 기대를 하면 안 될지도. 선생님이나 정치가한테도 그런 걸 바라는구나. 그런 일하는 사람은 스스로 자신이 반듯해야 한다고 여기지 않을까. 처음에는 그런 마음이어도 나이를 먹고 높은 자리에 앉으면 잘못된 일에 눈을 감기도 하던가. 경찰조직을 생각한다고 하지만 진짜 마음은 자신이 비난 받지 않으려는 거 아닐까. 한번 잘못한 일을. 처음부터 잘못을 하지 말지. 아사쿠라 장인이 그래 보였다. 뜬금없이 이런 말을. 세해 전에 형사였던 아사쿠라 신지는 폭력조직한테서 돈을 받았다는 걸로 경찰에 잡히고 아내와는 헤어지고 혼자 살았다. 그때 아사쿠라는 아무한테도 말하지 않았는데 폭력조직한테 돈을 받았다는 건 누명이었다. 혼자 아니다 해 봤자 조직에 이길 수 없고 아사쿠라가 가진 정보를 경찰에 줄 수도 없었다. 아사쿠라는 자신이 몸담았던 조직이었지만 경찰을 믿지 않게 됐다.

 

 모르는 번호에서 아사쿠라한테 전화가 오고 아사쿠라는 ‘아빠’라 하는 걸 들은 것 같았다. 아사쿠라는 세해 전에 헤어지고 한번도 연락하지 않은 아내 나오미한테 전화했다. 나오미는 딸 아즈사는 친구와 디즈니랜드에 갔다고 한다. 나오미가 아즈사 친구 엄마한테 전화해서 물어보니 아즈사는 아파서 디즈니랜드에 함께 가지 않았다고 했다. 나오미가 집에 가니 아무도 없었다. 나오미는 아사쿠라한테 연락하고 함께 아즈사를 찾아보았다. 얼마 뒤 나오미는 모르는 사람한테서 온 전화를 받는다. 그 사람은 아즈사를 유괴했다면서 돈 1억원을 준비하라고 했다(일본 소설 보면 엔으로 나올 때가 많은데 원으로 나와서 좀 이상했다). 나오미는 그 일을 아사쿠라한테도 알렸다. 나오미가 경찰에 신고하려고 하니 아사쿠라는 경찰한테 전화하지 마라 한다. 그 일 때문에 경찰이 아사쿠라가 아는 정보를 또 말하라고 할까봐서였다.

 

 몸값을 유괴범한테 주는 방법이 무척 복잡했다. 돈은 마약으로 바뀌었다. 범인은 세해전에 일어난 교통사고를 말했다. 그 일은 마약을 한 사람이 차로 교사 둘과 유치원생 다섯을 치여 죽인 사고로 보도됐다. 차를 운전하던 사람도 죽었다. 겉으로 알려진 건 그랬지만 실제는 아니었다. 아사쿠라는 세해 전에 차를 운전한 아라리 도시히코가 마약을 하지 않았다는 제보를 받고 그 사건을 혼자 알아보다가 누명을 쓰고 경찰을 그만두었다. 경찰이 무언가를 숨기려 했다. 차에 치여 죽고 다친 피해자 식구는 실제 일어난 일을 알면 좀 나을까. 마약을 한 사람이 운전한 차에 치여 죽었다고 아는 것보다는 좀 나을지도. 경찰이 잘못한 일은 숨기지 않아야 하는 거 아닌가.

 

 어떤 일을 밝히려고 범죄를 저지르는 것도 그리 좋지는 않다. 개인이 경찰 조직에 맞설 방법은 없을지도 모르겠지만. 아이가 유괴된 부모 마음도 생각해야 하는 거 아닌가. 세해 전에 정치가를 협박해 돈을 빼앗으려 한 사람도 있었다. 그것도 경찰이. 안 좋은 일이 안 좋은 일을 낳고 아무 상관없는 사람이 피해를 입기도 하는구나. 다행한 건 정의를 지키려는 사람이 있다는 거다. 그런 사람이 없다면 이 세상은 무척 어둡겠지.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나를 좋아해’

이 말을 되뇌어 보니

조금 우울했어

 

나를 좋아하는 사람은

하나도 없구나 싶어서

그것보다

싫어하지 않으면 다행이지

 

사람은 나이를 먹어도

자기 안에 어린아이가 있다지

누군가 보듬어주길 바라는 어린 마음

 

없는 사람을 바라기보다

내가 내 편이 되는 게 좋겠어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무리 생각해도

떠오르는 건 없어

억지로 쥐어짜지

 

한방울이라도

나오면 좋을 텐데

메말라 버렸나 봐

언제는 샘솟았나

 

물기 없는 마음일지라도

짤 수밖에 없어

 

 

 

희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바람돌이 2021-04-04 00:1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물기없는 마음이 짠하네요.
그래도 너무 쥐어짜지는 않기로 해요.

희선 2021-04-04 23:30   좋아요 0 | URL
물을 안 줘서 그럴까요 물기 없으면 물기가 생기기를 기다리는 게 나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기다려도 그대로면...


희선
 
ゴ-ストハント1 舊校舍怪談 (角川文庫)
小野不由美 / KADOKAWA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스트 헌트 1

오노 후유미

 

 

 

 

 

 

 학교에 이런저런 이야기가 전해오는 건 어느 나라나 그럴까. 중국은 있을 것 같고 일본도 있고 한국 또한 다르지 않다. 하지만 서양은 어떨지. 서양 동양 다르지 않을지도 모르겠다. 학교는 아이들이 많이 모인 곳이고 자유롭지 못하기도 하다. 거기에서 고등학교는 더하겠다. 내가 다닌 초등학교에 전해오는 이야기가 있었다. 옛날에 학교 사람이 용인지 뭔지와 싸우고 그걸 학교 운동장에 묻어서 학교에 행사가 있는 날에는 비가 온다는 거였다. 이건 별로 안 무서운가. 밤 12시에 동상이 움직인다는 것도 있다. 이건 어느 학교에나 있을지도 모르겠다. 내가 아는 건 이 정도뿐이다. 더 많은 이야기가 있을 텐데 그런 거 못 들었다. 난 학교 다닐 때 무서운 이야기 즐겨하지 않았다. 그런 거 즐겨한 아이도 있을지 모를 텐데, 그런 친구도 없었다. 이제와서 좀 아쉽다니.

 

 이 소설 《고스트 헌트》는 오노 후유미가 1984년에 쓰기 시작하고 1992년까지 썼나 보다. 십이국기 이야기 만큼 오래전에 쓴 이야기구나. 이 책은 모두 일곱권이다. 그래도 이건 끝냈구나. 그러고 보니 다섯권으로 나온 《시귀》도 있다. 오노 후유미 소설에는 한권으로 끝나는 것도 있고 여러 권인 것도 있다. ‘시귀’는 못 봤지만, ‘고스트 헌트’는 책으로 보게 됐구나. 일본에서 2020년 6월부터 문고로 다시 나왔다. 그 소식은 그때 바로 알지 못하고 나중에 알았다. 지난(2020) 12월에 4권이 나왔다. 앞으로 세권 남았구나. 일곱권이 다 나오면 그걸로 끝일까. 다음 이야기가 더 있으면 좋을 듯하지만 그걸로 끝나도 어쩔 수 없겠다.

 

 맨 앞에서는 학교에 전해오는 이야기 하다가 이 소설 이야기를 잠깐 했다. 첫번째 이야기가 학교와 상관있는 거여서 그랬다(앞으로 학교에서 일어나는 일 더 나오는구나). 실제 귀신이나 영감, 영능력은 있을까. 이 말을 하다니. 어쩐지 난 아주 믿지 않는 것 같구나. 귀신이 있으면 괜찮겠다고 생각하지만 그런 건 본 적이 없어서. 예전에 이상한 일이 있기는 했지만. 이 소설에서는 그런 게 있다고 여기고 이야기를 풀어간다. 판타지 호러라고 한다. 십이국기도 처음에는 그렇게 말하지 않았던가. 거기에서 좀 무시무시한 건 《마성의 아이》 정도가 아닐까 싶다. 십이국기를 다 보면 그 이야기가 다른 것과 아주 상관없지 않게 보인다. 거기에서 사람이 많이 죽어서 그래도 괜찮을까 하는 생각도 했지만. ‘고스트 헌트’를 바로 말하면 유령 퇴치다. 이건 시부야 사이킥 리서치(심령현상 조사사무소) 소장 시부야 카즈야가 한 말이다. 실제 이런 거 하는 사람 있을까. 난 소설에만 나오는 것 같기도 한데, 세상에는 이런저런 일이 있으니 아주 없다고 말하기도 어렵겠다.

 

 어느 고등학교에서 오래된 학교 건물을 부수고 거기에 새로 체육관을 지으려 했는데, 공사를 하다 사고가 나고 안 좋은 이야기가 퍼졌다. 귀신, 유령이 나온다는 이야기였다. 시부야 카즈야는 그걸 조사하러 오고 타니야마 마이는 그 학교에 다니는 학생이다. 마이는 늦은 밤에 친구와 학교에서 무서운 이야기를 하다가 시부야를 만난다. 그렇게 만나고 끝나지 않고 다음날 마이는 오래된 학교 건물을 보러 간다. 그때 사고가 나서 거기 있던 사람이 다친다. 그 사람은 시부야 조수였다. 시부야는 마이한테 조수가 다쳤으니 조수 대신 일하라고 한다. 가벼운 기계 옮기기 선반 조립하기. 심령현상 조사사무소에서는 여러 가지 기계로 그곳에 영혼이 있는지 없는지 알아봤다. 가끔 무서운 이야기 하면 오싹한 느낌이 들지 않나. 영혼이 있는 곳은 다른 곳보다 온도가 내려간다고 한다. 정말 무서운 이야기는 죽은 사람 영혼을 부를까.

 

 교장 선생님은 시부야뿐 아니라 무녀, 스님, 영매사 그리고 엑소시스트인 신부도 불렀다. 아니 그건 교장 선생님 생각이 아니고 이사장이 그래야 한다고 했나 보다. 무녀는 마츠자키 아야코 스님은 머리가 긴 파계승 타키가와 호쇼고 영매사는 이름이 꽤 알려진 하라 마사코로 텔레비전 방송에도 나오는가 보다. 신부인 존 브라운은 열아홉살로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왔다. 존은 관서 사투리를 썼는데 말을 이상하게 했다. 누군가 존한테 장난으로 일본말을 알려준 게 아닐지. 그건 그렇고 서양 사람이 관서 사투리 쓰는 걸 보면 서양 사람이 부산말 쓰는 게 떠오르기도 한다. 인물 소개도 잘하면 좋으련만. 이 정도밖에 못 쓰는구나. 시부야 사이킥 리서치 소장 시부야 카즈야, 어쩌다 시부야 조수가 된 타니야먀 마이. 조수는 린이다.

 

 마이와 같은 반인 쿠로다 나오코는 오래된 학교 건물에서 전쟁 때 죽은 영혼이나 간호사 영혼을 보고 어린이 영혼이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영매사인 하라 마사코는 오래된 학교 건물에 영혼은 없다고 한다. 시부야가 설치한 기계도 그 건물에 영혼이 있다는 건 잡지 못했다. 무녀가 갇히고 쿠로다가 무언가한테 습격받고 영매사 마사코가 다친다. 다치기는 했지만 마사코는 자신이 잘못해서 일어난 사고다 한다. 오래된 학교 건물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는 걸까. 그 안에 있으면 무섭고 뭔가 있을 것 같은 느낌이 들겠지만, 글로 봐서 아주 무섭지는 않았다. 쿠로다는 정말 영감이 있고 영혼을 본 건가 하는 게 가장 알고 싶었다. 자신은 영감이 있고 남과 다르다 말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했다. 그건 영능력자인 사람도 다르지 않았다. 자기한테는 힘이 있지만 다른 사람한테는 신비한 힘이 없다고 여기는 듯했다. 영능력자가 아닌 보통 사람도 다르지 않구나.

 

 옛날 학교 건물에서 이상한 일이 일어나고 유령이 나온다는 이야기가 퍼지기는 했지만, 그건 잘 보면 설명할 수 있는 거였다. 귀신이 건물을 부수는 걸 방해하는 게 아니었다. 그런 말 들으면 좀 아쉬울까. 뭔가 있을 것 같은 곳인데. 이야기일 뿐이다 하면. 난 잘 모르겠다. 첫번째 이야기에는 귀신(유령)이 나오지 않았다. 그래도 시부야는 한 아이를 생각하고 일을 마무리했다. 모두 힘을 합쳐 귀신을 다 없앴다고 하기로. 그것도 괜찮지 않나 싶다. 첫번째여서 조금 가볍게 부드럽게 시작한 것 같다. 유령, 나쁜 영혼은 있다고 여기고 하는 이야기니. 폴터가이스트도 나타났다. 그건 유령이 일으키기도 하고 사람이 일으키기도 한단다. 그건 초능력인가 보다. 저도 모르게 힘을 쓰는 거였다.

 

 조금 웃긴 것도 있었다. 그건 마이가 시부야 카즈야를 나르라 한 거다. 나르시시스트인 그 나르다. 시부야를 그렇게 말하는 사람이 많았는지 나르 시부야는 마이한테 그거 누구한테 들었느냐고 한다. 이번에는 시부야라 썼지만 앞으로는 나도 나르라 할까 보다. 마이는 일이 끝나고 앞으로 나르를 만나지 못하는 건가 하고 아쉬워했다. 얼마 뒤 나르가 학교로 전화한다. 나르는 마이한테 아르바이트 한 돈을 준다고 하고, 시부야 사이킥 리서치에서 아르바이트 하지 않겠느냐고 했다. 마이는 그 말을 기쁘게 받아들인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