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 갤러리은에 다녀왔다


1층은 금은회전, 2층은 작품분석전이다


국가무형유산 불화장 보유자와 이수자와 전수자들의

전남 구례 천은사 아미타후불도의 작품분석 스터디작

음악으로 치면 에뛰드(불어로 스터디, 습작이라는 뜻)같은 느낌이다


자차로 접근해야하는 도시 외곽 미술관이 상하반기 나누어 1년에 2-3번 전시를 한다면 인사같이 유동인구가 많은 핵심 미술지역은 1주일 단위로 바뀐다.같은 한국이지만 시간의 흐름이 다르다. 찾아오는 사람의 규모에 따라 공간의 밀도와 운영이 다르기 때문이다. 동시성의 비동시성. 사실상 매주 방문해야할 정도다.



언뜻 스님 뒷모습을 그린 같은 그림처럼보인다. 제목은 사리불존자, 하나는 스님이 그린 것이고 하나는 강금채 전수자의 그림이다. 스님이 그린 전자은 가사의 금박이 강조되어있고, 후광에 금박, 원의 윤곽이 더 선명하지만 옷은 더 짙은 남청색에 음영은 강조되어 있지 않고 울은 한지가 그림을 가로질러 수평으로 나있다. 尊에서 보이는 한자의 갓이나 삐침에서 조금 더 한자서예에 능숙한 부분이 보인다. 한편 전수자가 그린 후자는 옷 매무새와 주름의 음영을 강조했고 울은 한지가 가사부분에 수직으로 나있다. 이처럼 같은 그림을 표현해도 사람에 따라 다르다.





작품을 보면 진주귀걸이를 한 소녀 등의 서양화를 한국화로 표현하기도, 뒷다리 들고 일어나서 떡방아 찧는 조선 달토끼와 현대적 캐릭터도, 단청빨간색 현수교 위에 걸려있는 일월오봉도도 보인다. 현수교는 케이블로 지탱하는 서스펜션 브릿지로, 일본 한자 懸垂켄스이가 턱걸이라는 뜻에서 비롯되었다. 책가도의 원근법은 정밀한 수학적 원리에 바탕을 두지 않고 소실점이 다중으로 잡혀있는 유사 원근법인데 르네상스 기법을 직접 서양인에게 배우지 않은 상태에서 청나라 그림을 보고 건너서 접했기 때문이다. 이 책가도는 조선의 분더캄머 같은 것으로 이해되기도, 자랑삼아 전시된 수입품과 문방구 등에서 선비문화와 동시에 물질문화의 융성을 보여주기도 해서 조선후기미술을 논할 때 약방의 감초처럼 언급된다.


최근 한국화전시에서는 책가도의 원근법을 바로잡기도, 혹은 더 많은 레이어를 추가하기도, 더 좋은 재료를 써서 더 좋은 색감을 주기도 하는 등 현대한국화가들의 시도가 보인다. 아울러 360도로 회전시킨 부채도 흥미로웠다.


한국화의 기법으로 서양을 표현하는 하이브리드 시대. 옛날에는 형식과 내용이 일치했던 시대가 있었다. 과거에는 동양화는 먹과 종이로 한국적 풍경이나 추상화나 수묵화를 그렸고 서양화는 유화로 정물화를 조소는 나무, 돌, 청동등으로 입체를, 공예는 도자, 목공 등으로 장식이나 일상용품을 만들었다. 각 장르를 대변하는 학과가 매체, 기법, 내용면에서 거의 고정된 일치를 보였다


그러나 하이브리드 시대가 되면서 동양화로 서양도시풍경도, 서양화로 불교나 농촌모습도, 유화로 설화를, 분토나 조각성을 살려 마티에르감을 살리기도, 수공예대신 디지털, 가변구조물, 영상사운드같은 설치예술로 전환하기도 하면서 이런 기법은 이런 내용을 담는다, 이런 학과에선 이런 그림을 그린다는 공식이 깨졌다


형식과 의미의 일치가 깨지는 해체주의적 경향이 강화되면서 의미생산구조와 작가의 마음의 레짐도 바뀐다. 시서화 등 전통예술의 범주에 들어가지 않았던 단순한 장식품이 예술이 되어 미술관에 전시되기도 하고, 작가도 이제 한 가지 기법에 얽매이지 않고 표현하고 싶은 내용에 따라 기법을 새로 배우기도 한다. 이전에는 대학에 설치된 학과에 진학하거나 기술 보유자에게 가야만 특정 기법을 배울 수 있었다면 지금은 과거보다는 학습의 경로가 다양해졌다. 덕분에 작가들은 표현방법에 있어 가일층 자유도가 높아졌는데 자유의 댓가는 골치아픔이다. 나는 무엇을 표현해야할 것인가?


이전에는 한 가지 예술형식에 기대되는 메시지가 있었는데 이제는 예술표현이 감각의 조건과 의미의 구성을 재구성하고 조정하는데까지 나아갔다. 예술은 감각 자체를 조율하고 새로운 환경을 조성하게 되었다. 경계의 해체가 재맥락화되면서 형식에 담긴 의미를 훨씬 더 풍성하게 담아야하는 필요성이 생겼고 아티스트의 부담이 늘어난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Go Go 카카오프렌즈 36 : 포르투갈 - 세계 역사 문화 체험 학습만화 Go Go 카카오프렌즈 36
김미영 지음, 김정한 그림 / 아울북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용어 설명을 안한다. 단어의 한자나 영어의 어원이 무엇인지 설명없이 그냥 냅다 던진다

라고 했는데 그 예시를 들어보자

전시, 교과서 등 설명에서 공통으로 발견된다


5/15 한국일보 기사

냉난방공조HVAC라고 갑자기 영어와 한자를 던진다

간단하게 풀어 쓰지도 않고 어의 설명도 베풀지 않는다

물론 어려운 말은 아니다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난방 환기 공기조절의 앞글자를 따서 HVAC다

그러나 영어는 그 말을 한 번 풀로 쓴 후 약자로 쓴다

한자 공조는 공기조절의 약자이고

한중일 같은 한자를 쓰고 비슷한 발음이다

空调 콩티아오 空調 쿠-쵸-

문제는 이 공조의 동의어가 많은데 한자뜻 표기 없이 한글발음만 써놓아서

조선 이호예병형공의 공조인지 공물을 바치다인지 공물로 내는 조세인지 함께 도와주다인지 알 수없다. 냉난방을 보고 추론할 뿐이다

메뉴얼 없이 설명을 각자 도생하라고 맡겨놓고 현장에선

이것도 모르냐고 무시하고 윽박지른다



물론 기사를 읽는 성인이 경제 섹션에서 공조를 모를리 없다는 반론이 있을 수 있다

일리가 있다

우리나라사람들은 평균적으로 똑똑하고 경제섹션을 읽는 성인의 어휘량은 충분할 것이다

혹은 설명이 없어도 스스로 검색 한 번에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장에 청소년이든 성인이든 학생을 가르쳐보면

당연히 알리라고 생각하는 데 모르는 게 많다.

한 분야의 전문가는 당연히 일반인이 이정도 알리라고 생각하는데 초심자는 아무 것도 모른다

그래서 처음부터 찬찬히 알려줘야하는데 그 과정에서 답답함을 느끼기 십상이다

이것도 몰라? 

그리고 배우는 자는 주눅들기 마련

경제전문가도 과학이나 국제정세는 모를 수 있고

과학자도 음악은 모를 수 있고

음악가도 회화는 모를 수 있다


짚고 싶은 것은 용어를 간단하게라도 짚고 정의를 베풀고 넘어가는 글문화가 부족하다는 점이지

성인 개인의 지능이나 교양수준에 대한 부분은 아니다

누구라도 자기 전문 분야가 아니면 초심자다

초심자는 용어정의가 필요하다

심지어 공사판의 용어 시마이, 공구리치다, 야시바 뜯는다, 같은 말도 일본어에서 온 것인데 그런 것을 하나씩 알려주는게 아니라 경력자 선배들의 대화를 통해 정황상 이해하게 한다. 


장강명 작가가 그랬는데 사회 초년생 때 모르는게 너무 많은데 선배들이 차분하게 하나씩 알려주는게 아니라 윽박질렀다고 그런 것도 모르냐고. 앉혀놓고 하나씩 하나씩 알려주지 않았다고. 그랬으면 좋았을 것이라고.


경제섹션을 매번 전문가들, 성인들만 읽지는 않지 않을까?

이제 막 20살이 된 대학생도 읽기 시작할 것이고

평생 경제에 관심없다가 관심가지기 시작한 50대도 읽기시작할 수 있다

그런데 너무 모든 용어가 낯설고, 글줄기의 맥이 되는 용어 하나라도 정확히 설명하지 않고 넘어가면 읽는 자는 무슨 말인지 확실히 파악하지 못한 상태로 피상적인 이해에 머물 가능성이 있다. 그러한 궁금증을 해소하고자 스스로 찾아본다면 더할 나위없지만, 생각보다 그런 사람이 드물다. 


앞서 지적한 일본어와 중국어의 경우는 그 나라 국민 문제가 아니라

언어 자체가 하나의 정의를 제공하고 읽는 방법을 알려주지 않으면

아예 읽히지 않는다. 일본어에는 음독과 훈독이 다르고 성씨부터 고유명사까지 수준 높은 교양인도 헷갈리는 독음이 있어서 매번 정의를 제공하는 글문화다. 그러다보니 글에 정의로 시작하기에 내용이 기초부터 빌드업이 된다. 중국어는 말할 것도 없다. 모든 중국인이 모든 한자를 다 알고 있는 것은 아니므로. 


한편 이는 한글은 우수성 때문이다. 글자가 정말 과학적이고 우수한 나머지 대충 표기하고 던져놔도 음이 잘 읽혀서 이해했다는 인상을 준다. 하지만 지적 해상도가 매우 높지는 않은 편. 제대로 이해했는가? 그 뜻을 알고 쓰는가? 그렇지는 않은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친구가 상처 줄 때 똑똑하게 나를 지키는 법
이현아 지음, 서영 그림 / 한빛에듀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밌겠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문기사에서 베스트셀러라고 해서

검색했는데 아무리 봐도 내용을 확인할 수 없었다 (퍼온 사람은 한경이라고 했다)


분명 이번 주 일본 아마존 비지니스, 경제 카테고리 맞는데 1위에 해당하는 책이 아예 리스트에도 없을 수 있나?

계속 찾아보니 이 리스트는 킨들 전자책버전이었고

나는 상품카테고리를 하나씩 클릭해 종이책 랭킹으로 들어갔던 것


킨들버전 경영경제 베스트셀러 랭킹 : https://www.amazon.co.jp/gp/bestsellers/books/466282



종이책버전 경영경제 베스트셀러 랭킹 : https://www.amazon.co.jp/gp/bestsellers/books/4852973051?ref=snv_ranking_business


일부 겹치는 책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책도 있다. 이런 디테일에서 많은 차이가 발생한다.


1. 신문기사는 늘 팩트체크를 해야한다

2. 특히 외신은 출처를 다시 확인해야한다

3. 물론 밥벌이에 바쁜 삶에 일일이 다 확인하기엔 시간과 에너지가 들고 그래서 다들 그냥 안하고 만다



4. 아무래도 출장, 이동이 잦은 경제인은 종이책을 들고다니기 무겁고 휴대하기 불편해서 킨들버전을 선호하는 듯

5. 그런데 전자책은 끝까지 읽는 경우가 드물다. 따라서 앞에만 읽었을 가능성, 혹은 심지어 표지만 보고 구매하는 표지독서만 했을 가능성이 높다

6. 같은 경영경제 카테고리 종이책과 전자책이 다른 이유는 매체와 정보의 매칭 때문. 지도, 수험 등이 종이에 트렌드, 주장형이 킨들에 알맞다




나는 정치성향 균형, 기사내용의 스펙트럼 조절을 위해

조선, 한겨레, 한국일보만 종이로 구독하는데

하지만 출처를 알 수 없는 정보가 너무 많거나

의도적으로 지우거나, 아니면 몰라서 기재하는 경우가 너무 많다

영자신문, 일본신문, 유럽신문을 보면 특히 우리나라 신문의 문제가 보여요


그 문제가 있다고 해서 신문을 안 읽을 것은 아니고, 기자님들의 본질적 문제라고 보긴 어렵다. 

마감에 쫓기고, 지면은 한정되어 있고, 모든 언어를 다하거나 모든 출처를 다 확인할 수 없으니까


하지만 우리나라 신문의 기조에서 확실하게 보이는 것은


1) 용어 설명을 안한다. 이 단어의 한자나 영어의 어원이 무엇인지 설명없이 그냥 냅다 던진다

2) 출처 표시를 안한다. 혹은 모른다.

3) 엇비슷한 기사를 논조만 바꿔서 쓴다. 제대로 취재해서 쓴 기사는 사람들이 안 읽는다. 그래서 악순환의 반복이다. 수 년-수십년의 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