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바람

gleaned while riding on the internet

 

 

물고기가 미모에 놀라 헤엄치는 걸 잊고 가라앉았다는 ‘서시’, 기러기가 나는 것을 잊고 땅으로 떨어지게 만든 ‘왕소군’, 달이 부끄러워 구름 뒤로 숨었다는 ‘초선’, 그리고 꽃이 부끄러워 잎을 말아올렸다는 '양귀비' 등 중국 4대 미인들의 미모에 얽힌 유명한 이야기들이 많이 있다.

 
 
◆ 1) 춘추전국시대의 서시 (西施)

 

침어(浸魚) -서시(西施) "물고기가 헤엄치는 것을 잊어먹다 "
서시는 춘추말기의 월나라의 여인이다. 어느 날 그녀는 강변에 있었는데 맑고 투명한 강물이 그녀의 아름다운 모습을 비추었다. 수중의 물고기가 수영하는 것을 잊고 천천히 강바닥으로 가라앉았다. 그래서 서시는 침어(浸魚)라는 칭호를 얻게 되었다. 서시는 오(吳)나라 부차(夫差)에게 패한 월왕 구천(勾踐)의 충신 범려(範려)가 보복을 위해 그녀에게 예능을 가르쳐서 호색가인 오왕 부차(夫差)에게 바쳤다. 부차는 서시의 미모에 사로잡혀 정치를 돌보지 않게 되어 마침내 월나라에 패망하였다. 이 시대를 배경으로 한 四字成語로는 와신상담(臥薪嘗膽), 토사구팽(兎死狗烹), 오월동주(吳越同舟) 등이 있다.

 
 
◆ 2) 한나라의 왕소군 (王昭君)

 

낙안(落雁) -왕소군(王昭君) "기러기가 날개 움직이는 것을 잃고 땅으로 떨어지다 "
한(漢)나라 왕소군은 재주와 용모를 갖춘 미인이다. 한나라 원제는 북쪽의 흉노과 화친을 위해 왕소군을 선발하여 선우와 결혼을 하게 하였다. 집을 떠나가는 도중 그녀는 멀리서 날아가고 있는 기러기를 보고 고향생각이나 금(琴)을 연주하자 한 무리의 기러기가 그 소리를 듣고 날개 움직이는 것을 잊고 땅으로 떨어져 내렸다. 이에 왕소군은 낙안(落雁)이라는 칭호를 얻었다.

 
 
◆ 3) 삼국시대의 초선(貂蟬)

 

폐월(閉月) -초선(貂蟬) "달이 부끄러워 얼굴을 가리다 "
초선은 삼국지의 초기에 나오는 인물로 한나라 대신 왕윤(王允) 의 양녀인데, 용모가 명월 같았을 뿐 아니라 노래와 춤에 능했다. 어느 날 저녁에 화원에서 달을 보고 있을 때에 구름 한 조각이 달을 가리웠다. 왕윤이 말하기를 : "달도 내 딸에게는 비할 수가 없구나. 달이 부끄러워 구름 뒤로 숨었다." 고 하였다. 이 때 부터 초선은 폐월(閉月) 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초선은 왕윤의 뜻을 따라 간신 동탁과 여포를 이간질 시키며 동탁을 죽게 만든 후 의로운 목숨을 거둔다.

 
 
 
◆ 4) 당나라의 양귀비(楊貴妃)

 

수화(羞花) -양귀비(楊貴妃) "꽃이 부끄러워 잎을 말아올림"
당대(唐代)의 미녀 양옥환(楊玉環)은 당명황(唐明皇)에게 간택되어져 입궁한 후로 하루 종일 우울했다. 어느 날 그녀가 화원에 가서 꽃을 감상하며 우울함을 달래는데 무의식중에 함수화(含羞花)를 건드렸다. 함수화는 바로 잎을 말아 올렸다. 당명황이 그녀의 ' 꽃을 부끄럽게 하는 아름다움' 에 찬탄하고는 그녀를 '절대가인(絶對佳人)'이라고 칭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icaru 2005-03-07 17: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올...이 페이퍼 추천하구 퍼감니~ ~
근데...제 눈엔 네 여인 얼굴이 다 비슷해 보이니...우짜요..

stella.K 2005-03-07 18: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하. 그러게요. 그림이 거기서 거긴지, 미인이 거기서 거긴지 알 수가 있남유?^^
 

복받는 삶을 만드는 50가지 방법  |
 
The Lady's Good Fortune / Fritz Wagner
 

 

 

복받는 삶을 만드는 50가지 방법 









복은 달라고 기도한다고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순간 순간을 어떻게 연출하느냐에 따라 생겨난다.
누구에게나 하루는 24시간 1440초다.
주어진 시간을 보석처럼 빛나게 만드느냐
잡석처럼 무가치하게 버리느냐는
스스로 결정하는 것이다
. 운명의 주체가 자기 자신이기 때문이다.
한번 뿐인 삶을 복받는 삶을 만드는 비결 50가지.
 





. 01,웃음으로 시작하고 웃음으로 마감하라. .
여기가 천국이다..
 




02. 기쁨으로 수용하라. .
.기뻐하면 기뻐할 일만 생겨난다.



 


03,힘든 것에는 뜻이 있다.
감사함으로 수용하라.


 


04, 믿음의 열도를 10배로 늘여라.
100배의 수확이 보장된다.




05,모두를 위하는 사람이 되라.
그것이 나를 위하는 지름길이다.



 

06. 진리가 아니면 따르지 말라.
길 한번 잘못들면 평생 후회한다.




07. 인연을 소중히 하라.
인연중에 소중하지 않은 인연은 없다.

 


08. 인생 드라마는 스스로 연출한다.
명연기를 보여주라.




 

09. 건강해야 건강한 운을 만든다.
과욕을 버려라.





10. 잠에서 깨어나라.
그래야 지혜의 눈을 크게 뜰 수있다.




11.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
하늘이 좋아하는 자가 되라.



 
12. 지혜로운 사람이 되라.
어리석은 사람은 길을 두고 모로간다.


 


13. 자신의 무한 능력을 발견하라.
복된 나날이 펼쳐진다.

 


14. 머리를 써라.
머리는 하늘이 나에게 준 보물창고다.

 


15. 실패를 뒤집어보라.
그 속에 성공이 들어있다.

 



16. 아낌없이  베풀어라.
샘물은 퍼낼 수록 맑은 물이 솟아난다.



17. 자신의 눈을 믿지 말라.
남의 눈으로 자신을 바라보라.



 
18. 최대의 기쁨으로 하루를 맞이하라.
살아있는 날은 경축일이다.
 
 


19. 먼저 부모를 공경하라. 자손대대로 번영한다.

 


20. 눈앞의 문제에 집착하지 말라.
문제 뒤에 해답을 찾아내라.

 


21. 나날이 향상하라.
향상하지 않으면 퇴보한다.


 


22. 남의 말을 좋게하라.
없던 복도 굴러온다.

 


23. 음식만 골라 먹지 말라.
말도 골라서 하라.

 

24. 복을 많이 지어라.
내가 지은 것만이 내 것이 된다.




25. 복을 달라고 안달하지말라.
복을 담을 그릇을 먼저 만들어라.

 


26. 가슴펴고 당당하게 살아가라.
병든 닭처럼 비실대지 말라.



 27. 오늘은 나의 시간,
내일은 신의 시간. 나의 시간을 창조하라.

 


28. 어떤 일에도 불평하지 말라.
불평은 불운을 끌고 다닌다. 

 


29. 항상 감사하라.
감사할 때 천사의 손길이 나에게 다가온다.

 


30. 남이 만나고 싶어하는 사람이 되라.
외면하는 사람은 되지말라.

 


31. 좋은 취미를 만들어라.
좋은 취미로 풍요로운 삶이 만들어진다.

 


32. 불행중 다행은 있어도 다행중 불행은 없다.
안심하고 살아가라.

 


33. 쓰러짐을 부끄러워말라.
일어서지 않음을 부끄러워 하라.

 


34. 신념에 불타는 친구를 사귀어라.
좋은 친구는 우량주식이다.

 


35. 부정적인 친구는 만나지 말라.
그는 친구가 아니라 원수다. 


 


36. 아는 길도 물어가라.
내가 안다고 아는 것이 아니다.




37. 안풀리는 것은 일단 멈춤신호다.
멈춘다음 원인을 찾아내라. 

 


38. 남의 잘못은 한눈을 감아라.
잘함을 볼때는 두눈을 크게 떠라.

 


39. 세상 만사 우연은 없다.
인연을 소중히 하라.

 


40. 진심으로 봉사하라.
10배 100배의 축복이 펼쳐진다.




41. 투덜대지 말라.
그러다간 평생 덜덜대며 살게된다.

 


42. 상상력을 키워라.
상상은 현실을 만드는 청사진이다.

 


43. 우물안 개구리가 되지 말라.
기회는 하늘의 별만큼 많다.

 


44. 끊임없이 기도하라.
기도는 영혼의 호흡이다.

 


45. 자신을 칭찬하라.
자신은 사랑받기 위해 태어난 사람이다.

 


46. 자신을 해방시켜라.
자신은 노예가 아니라 주인이다.




47. 가정은 행복을 만드는 성전이다.
성전을 빛나게 하라.

 


48. 문제가 생긴 다음 기도하지 말라.
평상시부터 거래를 터라.

 


49. 활기찬 노래를 불러라.
활기찬 노래는 성공행진곡이다.

 


50. 어깨동무하며 어린시절로 돌아가라.
희망이 함께 자란다. 
 
출처:오갑복의 알라스카 사랑
 

댓글(6)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세실 2005-03-01 23: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추천하고 퍼갑니다~

비연 2005-03-01 23: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 글 감사함다~^^ 퍼갈께요~~

울보 2005-03-02 00: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좋은 글 일고 가져갑니다...그리고 한번 더 눌러야지요..

stella.K 2005-03-02 10: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하하! 이렇게 좋아하실 줄이야! 고맙습니다. 님들!^^

水巖 2005-03-02 13: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참 좋은 말씀입니다. 당연히 추천하고 가져가야죠.

stella.K 2005-03-02 14: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 수암님.^^
 

미루는 습관고치기 |  
미루는 습관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는 책략
(주로 미루고 싶은 유혹을 받는 순간에 시도해 볼 수 있는 것들)

1. 행동적인 책략
1) 한번에 많이 하려는 욕심을 버리고 "10분 제한 책략"을 사용하라.
한자리에서 끝마치겠다는 결심은 질리게 만들고 미루게 하는 원인이 된다.
일단 10분동안만 한다는 시간 제한을 해놓고 그 시간 동안은 열심히 하라.
그다음 계속할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라.이 방법은 시작하는 것이 힘든 사람에게
매우 도움이 된다.

2) 완벽한 환경에 대한 환상을 버려라
완벽한 준비, 충분한 시간, 깔끔한 주변을 기다리다 보면 에너지가 소진되어
지쳐버리거나 해야 할 다른 일이 생기거나 충분한 시간이 남아있지 않는다.
미진한 점이 있는 상태일지라도 해야할 시간이 되면 일단 시작부터 하라.

 
3) 할 기분이 아닌 상태일지라도 시작하라.
Sigmund Freud는 "영감이 나에게 오지 않을떄 내가 그것을 만나러 반을 간다
(When inspiration does not come to me, I go halfway to meet it)"고 하였다
하고 싶을 때까지 기다린다면 그 시간은 영원히 오지 않을 수도 있다.
기분이 과제를 해주지는 않는다. 에너지 수준이 가장 높은 시간을 정하여
날마다 할 수 있도록 습관화하라.

 
4) 가장 주용하면서도 쉬운 것 부터 하라.
남는 것으로 인한 걱정이 점점 줄어들 것이며 남는 것의 갯수가 신속하게 줄어들 것이다.
 
 
 
2.인지적인 책략
 
1) 할 일을 미루고 있는 전형적인 상황에서 자신의 내면에 집중해보라.
할 일을 미루고 있는 상황(TV시청, 친구와 담소, 낙서, 공상.....)에서 그 순간 자신의 내면을 탐색해보자. 정말 해야 할 것으로 행동이 옮겨지지 않는다면 즉각 그 상황을 뿌리치지 못하는 이유를 명료하게 언어화 해보라. 그리고 비합리적인 사고는 합리적인 사고로 바꾸어라. 아래의 몇가지 예를 참고하라.
비합리적인 사고 합리적인 사고

나는 지금 할 기분이 아니야.
내일 하지뭐.
기분이 나의 과제를 하는 것이 아니야.
행동이 하는 거지. 내일이라고 할 기분
이 되라는 보장은 없어. 할 기분이 날
때까지 기다리다간 결코 완성할 수 없어

나는 원래 게을러.
게으르다고 꼬리표를 부치는 것은 나를
가라앉게 만들 뿐이야. 과제와 나는 별개
의 문제야 시작하는 길만이 끝마칠 수 있지.

나는 완벽하게 해야되.

할 수 있을 만큼만 하면 돼. 일단 시작하
고 차츰 보완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야.

시작하면 끝장을 봐야돼.
이걸 다 언제하지?

일단 시작부터 하는 것이 중요해. 조금씩
하는 것이 계속 기다리는 것보다 빨리 끝
낼 수 있는 길이야. 우선 10분 동안 만이라
도 집중해서 해봐야지.

이과제에서 실패하는 것은
내가 무능력한 사람 무가치한
사람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거야.
과제의 수행이 곧 나의 가치가 되는 것은
아니야. 능력있는 사람도 실패는 종종하지

2) 자신이 미루지 않는 사람이라 생각하라.
내가 미루는 사람이 아니라면 지금 이후의 시간에 어떻게 행동하고 있을지 상상해보라. 마음속에 선명한 그림을 그리고 곧바로 그대로 행동해보라. 그리고 평가해 보라, 잘했는가? 기분은 어떤가?


3) 과제를 마친상황을 그려보라
미루고 있는 과제가 중요하고 의미있는 것임을 상기하며 그것을 이루었을때를 상상하고 그 때의 만족감을 느껴보라. 그리고 기억하라, 이 성취감은 노력하는 자만이 누릴 수 있다는 것을!


4) 즐겁지 않은 과제가 시간이 지난다고 해서 더 쉬워지고나 즐거운 과제로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아라.

즐겁지 않은 일은 미루면 점점 더 즐겁지 않은 것이 된다. 하지는 않고 걱정만 할 수록 점점 더 하기 싫은 과제로 변한다.


5) 미루고 있는 자신을 비난하지 말고 용서하며 지금 이 순간 선택할 기회를 주라
비난받는 나는 과제를 시작할 의욕을 상실한다. 사람은 누구나 미루는 습관을 어느 정도는 가지고 있다. 중요한 것은 지금이라도 시작할 수 있는가이다. 지금 이 순간 스스로에게 질문해 보라. " 이 과제는 내가 해야할 필요가 있는 중요한 것인가? 그렇다면 나는 지금 이 과제를 시작하기를 선택하겠는가, 아니면 미루기를 선택하겠는가?"


6)과제는 결코 완벽할 수도, 완벽해야 할 필요도 없다는 것을 깨달아라.
완벽하지 않더라도 시도를 하는 것이 전혀 안하는 것보다 낫다. 우선 시작하고 보완하는 거이 일을 쉽게 만든다.


7) 긍정적으로 생각하라.
과제가 그렇게 끔찍한 것만은 아님을 스스로 설득하라. 긍정적인 자기-대화(Self-talk)가 도움이 된다. 한번에 할 수 있을 만큼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계획에 따라 하는 과제라면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 그리고 일찍 시작할수록 일찍 마칠 수 있다.
출처:오갑복의 알라스카 사랑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tella.K 2005-03-01 22: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날 두고 하는 말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글.정덕희 명지대 사회교육원 교수   
 
 내가 직접 만난 사람이 500만 명. 전국 읍 단위로 다섯 바퀴를 돌았다.
읍·시마다 다른 색깔의 문화, 풍경, 사람들….
이제 바다가 되고 싶다. 백두대간 옹달샘으로 시작된 물이 계곡을 따라 개천, 강 그리고 바다에 모이듯…. 깨끗한 물, 더러운 물, 오염된 물을 모두 받아들이는 그 넓은 바다. 노자가 말했던가, 바다가 그 많은 물을 받아들임은 개천보다 강보다 낮기 때문이라고. 다 잘난 세상. 내가 상대를 평가하듯 타인의 평가 속에 나 또한 살아가야 하는 것.
사람과 사람의 가교는 언어다. 인간은 언어의 동물. 말에도 기술은 있다. 많은 사람을 통해 얻어낸 화술, 그 몇 가지를 알아본다.
 
 
“누구나 각자의 잣대로 각자의 삶을 살다가는 것.
인간은 자신을 인정해주는 사람에게 호감을 갖고 충성한다. 흑백논리에 강한 우리에게 익숙하지 못한 것이 있다면 바로 ‘Yes+But’ 화술이다.
“아~예, 그렇군요.”
“맞습니다. 맞고요.”
“네~ 네~”
고개까지 끄덕이며 긍정 자세를 보일 때 상대 또한 열린 마음이 되는 것. 그리고 나서 당신의 의견을 말해야 한다.
“그런데요. 제 생각은….”
‘Yes+But’화술, 즉 긍정적 화술은 기본이 된다.
 
 
수직사회는 갔다. 현대는 수평사회다. 결론형의 언어보다 선택형의 언어를 구사하는 게 좋다.
“하지마 씨, 서류 좀 갖고 와봐.”라고 하면, 하지마 씨 열 받아 더 안하는 거다.
“하지마 씨, 서류 다 됐으면 볼 수 없을까?”그러면 하지마 씨 기분 좋아 다른 일 하다말고 달려온다. 인간은 스스로 하는 것을 좋아한다.
 
 
 
칭찬으로 크는 게 인간이다. ‘잘한다~ 잘한다~’하면 진짜 잘한다. ‘못한다~ 못한다~’하면 진짜 못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사람마다 그릇이 있다. 큰 그릇인 사람이 볼 때, 작은 그릇의 사람은 성에 안찬다.
그러나 작은 그릇의 사람은 그것이 최대다. 그릇이 작은 것은 탓해 봤자 본인만 열 받는 거다.
특히 상사의 눈에 부하 직원이 성에 찰리가 없다. 그릇이 커 높은 자리에 있다 생각하면 작은 그릇도 보담게 된다.
장점을 볼 수 있는 눈.
그리고 인간을 사랑하는 마음.
그래서 칭찬하는 입.
그 입을 통해 상대에게 전달되는 말.
 
 
 
말의 악세사리라고나 할까?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죄송합니다.”
“미안합니다.“
“Excuse me.”, “Thank you.” 어쩌다 가 본 미국. 미국에서는 위와 같은 말들은 그냥 일상화된 용어다. 옷깃만 스쳐도 양보하고 감사하는 이 단어 속에 미국은 움직이는 게 아닐까?
“죄송합니다.”
“감사합니다.”
때에 맞게 많이 할수록 자신의 가치가 올라감을 알아야겠다.
 
 
 
못생긴 사람은 봐줘도, 웃길 줄 모르는 사람은 못 봐준다는 게 현대인이다.
유머도 기술이다. 딱딱한 현대사회에 유머는 산소다. 재미있게 말하는 것. 그리고 그럴 때 웃어줄 수 있는 여유. 웃음을 유발하는 사람 곁에는 항상 사람이 많다. 사람이 잘나 출세하는 게 아니라 사람들이 밀어주고 끌어줘야 크는 것이다.
사람은
사람속에
사람들과
말을 주고 받으며
말말말 속에서 살아가는 것.
“말이 곧 사회성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