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메시지 > Ma and God (엄마와 하느님) - Shel Silverstein

    Ma and God

God gave us fingers---Ma says, "Use your fork."
God gave us voices---Ma says, "Don't scream."
Ma says eat broccoli, cereal and carrots.
But God gave us tasteys for maple ice cream. 

God gave us fingers---Ma says, "Use your hanky."
God gave us puddles---Ma says, "Don't splash."
Ma says, "Be quiet, your father is sleeping."
But God gave us garbage can covers to crash. 

God gave us fingers---Ma says, "Put your gloves on."
God gave us raindrops---Ma says, "Don't get wet."
Ma says be careful, and don't get too near to
Those strange lovely dogs that God gave us to pet. 

God gave us fingers---Ma says, "Go wash 'em."
But God gave us coal bins and nice dirty bodies.
And I ain't too smart, but there's one thing for certain---
Either Ma's wrong or else God is.
 

하느님이 손가락을 주셨는데 엄만 "포크를 써라" 하셔요
하느님이 목소리를 주셨는데 엄만
"소리 지르지 마라" 하시고요
엄만 브로콜리 먹어라
, 시리얼 먹어라, 당근 먹어라 하시지만
하느님은 우리에게 매플 아이스크림을 좋아할 입맛을 주셨잖아요

하느님이 손가락을 주셨는데 엄만 "손수건을 써라" 하셔요
하느님이 물웅덩이를 주셨는데 엄만
"물장 튀기지 마라" 하시고요
엄만
"조용히 해. 아빠 주무신다" 하시지만
하느님은 찌그러뜨리며 놀라고 우리에게 쓰레기통 뚜껑을 주셨잖아요
 

하느님이 손가락을 주셨는데 엄만 "장갑을 껴라." 하셔요
하느님이 빗방울을 주셨는데 엄만
"비 맞으면 안 된다." 하시고요
엄만 조심해라
, 모르는 개한테는 너무 가까이 가지 마라 하시지만
하느님은 우리에게 귀여워하라고 사랑스런 개들을 주셨잖아요
 

하느님이 손가락을 주셨는데 엄만 "가서 씻어라." 하셔요
하지만 하느님은 석탄통과 지저분하고 멋진 몸뚱이를 주셨쟎아요
전 똑똑한 편은 아니지만 한 가지는 분명해요
엄마가 틀렸던가 하느님이 틀렸던가 둘 중 하나예요

 

* stella09님의 서재에서 부분을 읽고 마음에 들어서 전체글을 찾아보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장영희 서강대 교수·영문학

 

▲ 셸실버스틴(1930~1999)
우리에게는 ‘아낌없이 주는 나무 (The Giving Tree)’로 잘 알려진 작가가 쓴 동시입니다. 천진한 어린아이의 시점으로 어른들의 세계를 꼬집고 있습니다.

자연스러운 것을 포기하고 무조건 효율적인 것만을 따지는 어른들, 자유로운 창의력을 짓누르고 정형만을 고집하는 세상을 비판하고 있습니다. 무엇이든 빠르고 크고 편리한 것만 좇는 이 세상에서 우리는 정말 신이 내려 주신 자연과 인간의 모습에서 자꾸 멀어져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Ma and God

Shel Silverstein

God gave us fingers―Ma says, “Use your fork.”

God gave us puddles―Ma says, “Don’t splash.”

God gave us raindrops―Ma says, “Don’t get wet.”

And I ain’t too smart, but there’s one thing for certain―

Either Ma’s wrong or else God is.(부분)  

엄마와 하느님

셸 실버스틴

하느님이 손가락을 주셨는데 엄만 “포크를 사용해라” 해요

하느님이 물웅덩이를 주셨는데 엄만 “물장구 튀기지 마라” 하고요

하느님이 빗방울을 주셨는데 엄만 “비 맞으면 안 된다.” 해요

난 별로 똑똑하지 못하지만 한 가지는 분명해요

엄마가 틀리든 하느님이 틀리든 둘 중 하나예요(부분)


댓글(9)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메시지 2004-08-19 23: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징한 울림이 있네요. 전체를 다 봤으면하는 욕심이 생깁니다. 아무래도 검색사이트에서 찾아봐야겠습니다.

stella.K 2004-08-20 00: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요. 좀 아쉬워요. 혹시 찾으시면 올려주세요.^^

하얀마녀 2004-08-20 00: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아이들은 저렇게 생각할 수도 있겠군요. 하지만 제가 보기엔 둘 다 맞다고 봅니다.

바람구두 2004-08-20 11: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하.... 감동!!! 추천하고 갑니다.

stella.K 2004-08-20 11: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 바람구두님!^^

책읽는나무 2004-08-20 12: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참....
생각하는것은 쉽지만 실천하기는 어렵다는~~

진정 아이의 눈높이에서 바라보며 실천하는 좋은부모가 되긴 힘든것 같아요!!
아마도 나도 포크 사용해라~~ 물장구 튀기지 마라~~ 등등 따라다니며 잔소리하고 화를 내고 있는 사람중의 한사람이지요!!...ㅡ.ㅡ;;

가슴에 와 닿은 시군요!!....^^

stella.K 2004-08-20 12: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 나무님은 더 하시죠? 전 저 시가 마냥 귀엽게만 들리는데 말이죠. 처녀와 아줌마의 차이가 이런 거겠죠.^^

릴케 현상 2004-08-20 15: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추천

stella.K 2004-08-20 21: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명한 산책님, 처음 뵙겠습니다. 추천 감사합니다.^^
 

호주머니엔 자잘한 일상이 한 무더기

자술쇠 없는 열쇠와 10원짜리 동전 몇 개,

그리고 출발시간이 지난 승차권

떠나는 사람보다 배웅 나온 사람이 더 많은 플랫폼. 그 보다 많은 비둘기.

달로 가는 기차를 타려고 했다. 객차마다 안개꽃이 가득 실린 기차, 손을 흔들면서 안녕, 안녕, 비둘기가 날고, 안녕, 안녕, 키스를 날리며, 안녕, 멜로 영화풍으로 다시 안녕, 달로 가는 기차를 타려고 했다. 고요의 바다, 침묵의 바다에 가 오랫동안 보지 못한 일출을 보려고 했다, 서울역 시계탑에서부터 비둘기가 쫓아 오고, 안녕, 침묵과 고요사이에 누워 자장가를 부르면 동시에 떠오르는 두 개의 태양, 안녕, 안녕 밀려오는 침묵과 밀려가는 고요 사이 두고 온 것들에 대한 그리움이 서서히 가라앉을 때까지 은하의 마지막 별을 향해 출발하는 기차에 손 흔들며 안녕, 품에 가득 안개꽃을 안고 달로 가는 기차를 타려고 했다, 달을 경우해 우주 끝까지 가는 기차를 타려고 했다.

다른쪽 호주머니엔 쓰레기가 한 무더기,

수명이 다한 건전지와 잉크 마른 볼펜 한 자루,

껌종이엔 누구의 무엇인지 알 수 없는 숫자들,

떠나는 아무나 배웅하고 돌아오는 길,

                                                                          -윤지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장영희 서강대교수·영문학

 

▲ 윌리엄 블레이크 (1757~1827)
‘의상조사(義湘祖師) 법성게(法性偈)’에도 이와 비슷한 말이 나옵니다. ‘일미진중함십방(一微塵中含十方) 일념즉시무량겁(一念卽時無量劫)’. 한 티끌 가운데 온 우주를 머금었고, 찰나의 한 생각이 끝도 없는 영겁이어라….

눈에 보이는 것이 다가 아닙니다. 티끌이 단지 티끌이 아니고 한 송이 보잘것없는 들꽃이 단지 들꽃이 아닙니다. 우주의 모든 개체들 속에는 완벽한 삼라만상의 조화가 숨어 있습니다. 인간도 무한한 능력과 조화를 갖춘 ‘소우주’입니다. 블레이크도, 의상스님도 말합니다. ‘나 하나쯤이야’가 아니라 ‘나 하나만이라도’ 티끌 한 개, 풀꽃 한 송이, 도롱뇽 한 마리를 소중하게 생각하는 그 마음이 중요하다고….

Auguries of Innocence

(William Blake)

To see a World in a grain of sand,

And a Heaven in a wild flower,

Hold Infinity in the palm of your hand,

And Eternity in an hour (부분)

순수를 꿈꾸며

(윌리엄 블레이크)

한 알의 모래 속에서 세계를 보고,

한 송이 들꽃 속에서 천국을 본다.

손바닥 안에 무한을 거머쥐고

순간 속에서 영원을 붙잡는다 (부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장영희 서강대교수·영문학

 

▲ 로버트 블라이 (1926-)
에릭 프롬은 <사랑의 기술>이라는 책에서 “미성숙한 사랑은 ‘당신이 필요해서 당신을 사랑합니다’라고 말하고, 성숙한 사랑은 ‘당신을 사랑해서 당신이 필요합니다’라고 말한다”고 했습니다.

사랑의 기본 원칙은 내 삶 속에서 상대방의 존재 가치를 인정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사랑을 하면 세상의 중심이 내 안에서 바깥으로 이동하여 마음이 한없이 커지고 순해집니다. 열매가 주렁주렁 열린 아름드리 나무뿐만 아니라 길 옆에 숨어 있는 작은 풀 한 포기도, 하늘을 찌를 듯 높고 멋있는 빌딩뿐만 아니라 초라한 헛간도, 휘황찬란하게 밝은 네온싸인뿐만 아니라 희미한 가로등도, 사람들이 왁자지껄한 큰 길뿐만 아니라 아무도 가지 않는 외로운 길도, 이 세상에서 버림받은 것들, 하잘 것 없는 것들까지 모두 애틋하고 소중하게 생각됩니다.

사랑함으로 그 사람이 꼭 필요해서 ‘나와 당신’이 아니라 ‘나의 당신’이라고 부르게 되는 것, 그게 사랑입니다.

Love Poem

Robert Bly (1926~ )

When we are in love, we love the grass,

And the barns, and the lightpoles,

And the small main streets abandoned all night.

사랑에 관한 시

로버트 블라이 (1926~ )

사랑을 하게 되면 우리는 풀을 사랑하게 된다

그리고 헛간도, 가로등도

그리고 밤새 인적 끊긴 작은 중앙로들도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잉크냄새 2004-08-10 12: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가 일어난다죠.
에리히 프롬의 <사랑의 기술> 한번 읽어봐야겠네요.

stella.K 2004-08-10 12: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꿈 보다 해몽이 좋다고, 전 장영희 교수의 글이 더 와 닿더라구요.^^

Hanna 2004-08-10 14: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언제쯤 그런 사랑, 해 볼 수 있을까요? ^^

stella.K 2004-08-10 14: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금요.^^ 썰렁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