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두 번째 이름은 연아입니다 - 가난하거나, 아프거나, 술 취했거나, 미치지 않으면 나를 만날 수 없다
신아현 지음 / 데이원 / 2024년 8월
평점 :
처음에 이 책을 읽을 생각이 별로 없었다. 관심 밖 분야고 언제나 그렇듯 세상은 넓고 읽을 책은 많은데 굳이 이 책까지...? 그런데 가만 생각해 보니 내가 우리 사회에 대해 알면 얼마나 알까 싶은 생각이 든 것이다. 내가 안고,이고 있는 세상이 전부인 것 같지만 실상 내가 아는 세상은 손바닥 하나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이 책을 읽지 않는다고 해서 세상 살아가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겠지만 내가 살고 있는 세상에 대해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다면 가급적 읽어 보라고 권하고 싶다.
우선 저자의 이력이 특이하다. 저자는 원래 대학에서 화학을 전공했다고 한다. 그런데 막상 학교를 다니고 보니 화학이 자신의 적성과 맞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휴학을 했고 넘쳐나는 시간 뭘 하며 지내야 하나 하던 차에 우연히 어느 복지센터에서 자원봉사자를 모집한다는 광고를 보고 무턱대고 지원을 했다고 한다. 그 일은 취약계층의 아이들을 돌보는 일. 결국 그것이 계기가 되어 나중에 사회복지학을 공부해 사회 복지사가 되고, 훗날 사회복지 공무원까지 하게 되면서 지금에 이르기까지 자신의 일과 삶에 대한 이야기를 고스란히 담았다.
책을 읽게 되면 몇 가지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우선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 공무원이 다르다는 것이다. 물론 그게 놀라울 정도는 아니지만 나는 지금까지 이게 따로 존재할 거라곤 상상도 못했다. 하지만 둘 다는 그야말로 3D 업종 중 하나다. 가끔은 이해가 안 될 때가 있다. 아무리 이기주의니 개인주의니 해도 어떤 사람은 기꺼이 이타적인 일에 자신을 희생하거니 그것을 업으로 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이다. 이를테면 소방사나 경찰, 산악 구조대같이 자신의 목숨을 담보로 일하는 사람들. 좀 더 편하고 안전한 직업을 구할 수도 있을 텐데 왜 그것을 마다하고 기꺼이 그런 일을 택하는지 알 수가 없다. 사회복지 공무원도 그렇다. 물론 위에서 말한 직업보다는 안전할지 모르지만 이름 없고 빛도 없이 국민의 욕받이를 자처한다.
그렇지 않아도 책에서 저자는 김구도 호가 있고, 안창호와 김홍도도 호가 있는데 자신도 호가 있단다. '연아'란다. 딱 들으면 피겨스케이팅 김연아 선수가 생각이 나지만 사실은 그렇게 고상한 건 아니다. 연아는 '년아'의 다른 발음일 뿐이다. 이 책을 읽기 전 제목에서 살짝 그런 의심은 해 봤는데 막상 예상을 적중하고 보니 김연아 선수가 알면 울고 가겠다 싶다.
정말로 놀라운 건, (물론 모든 사람들이 다 그렇지는 않겠지만) 사람들이 참 무례하다는 거다. 그리고 그 무례함은 가난하다고 해서 예외가 아니고 어찌 보면 악마적이란 느낌도 든다. 가난이 무슨 벼슬이 아닐 텐데 왜 나라 일을 하는 사람에게 이토록 무례한지 알 수가 없다. 어떤 사람은 스토커처럼 집요하게 괴롭히고, 어떤 사람은 문신한 몸을 일부러 드러내고 소동을 피우기도 하며, 어떤 사람은 너무 진상이어서 안 마주치려고 동료 직원과 휴대폰 문자 교신을 하며 피해 다니기도 한다. 그러다 보면 정말 내가 이러려고 공무원이 된 걸까 자괴감이 들기도 하겠다 싶다. 솔직히 내가 내 공부 해서 시험 보고 공무원 됐는데 거기에 보태준 것도 없으면서 너는 나랏밥 먹지 않냐며 지원금 좀 더 도(줘) 하는데 기가 차다.
어쨌든 그렇게 별짓을 다해 돈을 챙긴다고 치자. 과연 그 사람이 자기를 구제하는데 그 돈을 쓸까? 짐작하겠지만 그렇지 않다. 술 먹고 도박하는데 아낌없이 투자한다. 그러다 돈 떨어지면 또 무례하게 협박하고. 과연 그런 사람을 도와준다는 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싶다. 읽는 나도 화가 나고 내가 낸 피 같은 세금 그런 사람 쓰라고 내는 거 아니라고 말해주고 싶다. 읽다 보면 그들에게 뭔가의 열패감 내지는 알 수 없는 분노가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이건 여담이지만, 정부가 마음에 안 들면 이렇게 나라 일을 하는 공무원들에게 더 화를 내는 것 같다. 정부에 직접 할 수 없으니 그런 식으로 애매한 사람들에게 화풀이를 하는 것 아닌가 싶은 것이다. 아무튼 거의 매일 이런 일을 당한다면 나라면 뒷목 잡고 쓰러져도 여러 번 쓰러졌을 것 같다.
하지만 읽다 보면 사람에 대한 예의 보다 먼저 요구되는 건 사람에 대한 이해는 아닐까 싶기도 하다. 또한 그들이 그렇게 할 수 있는 것도 나라가 있기 때문은 아닐까 싶기도 하고. 물론 그들을 옹호할 생각은 없지만 나라가 국민을 포기하면 안 되는 거 아닌가. 옛말에 가난은 나라도 구제하지 못한다는 말이 있는데 지금은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 최소한 굶어죽는 사람은 없지 않은가. 어쩌면 그들이 그러는 건 정말 가난해서 그럴까 싶기도 하다. 어찌어찌하다 불행한 삶을 살고 나락으로 떨어져 어떻게 해야 나를 구할 수 있는 건지 알지 못해서 그런 방법으로 표출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싶은 것이다.
어쨌든 밥을 먹는 건 중요한 일이다. 그들의 허기를 채워줘야 그다음도 기대해 볼 수가 있다. 저자의 주된 업무는 차상위계층의 사람들에게 예산을 분배하고 집행하는 일이다. 그 일이 가난한 이들의 욕받이가 되는 일임을 저자는 알았을까? 알았다면 결코 못했을 것이다. 도대체 인간이 하는 일중 그 끝을 알고 하는 일이 얼마나 있겠는가. 역설적이게도 모르니까 갈 수 있는 게 인생이고 직업인 것 같다. 어떤 역술인이 저자에게 그랬다지. 재물, 관운, 남편, 자식 다 X라고. X라니 받아들이는 입장에선 다 없다는 말로 들릴 수도 있겠다. 그런데 그런 게 아니라 그런 것에 다 관심이 없고, 혼자 살아도 10인분의 밥을 해 놓고 지나가는 사람들을 불러 모아 먹이는 것을 더 좋아하는 사주란다. 좀 희한한 사주다. 어쨌든 그런 사주라면 무료 급식소를 차릴 팔자인 것 같은데 지금 저자가 하는 일도 어찌 보면 얼추 맞는다 싶다.
그렇지 않아도 요즘 공무원이 옛날 같지 않게 비인기 직종이 되어가고 있다고 한다. 어려운 시험 통과하고 막상 공무원이 되어 보니 일은 일대로 많고 사람들에게 욕은 욕대로 먹고, 나도 알고 보면 어느 집 귀한 자식인데 이런 대접받아 가면서 일할 필요가 있나 싶어 떠난단다. 맞다. 세상에 어떤 직업도 자신보다 중하지 않다. 세상에 어떤 직업이 나를 귀하게 여겨주지 않는다면 그만둬야 한다. 하지만 그러기 전에 자신이 그 직업을 쉽게 본 것은 아닌지 다시 한번 생각해 봐야 하지 않을까. 어떤 직업이든 자신이 그 직업을 중하게 여기면 그 일이 나를 가치있게 만든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그 일 역시 그를 가치 없게 만들 것이다.
우리나라도 1인 가구가 부쩍 많이 들었다. 그에 따라 고독사의 비율도 점점 늘어나는 추세다. 아무도 돌보지 않는 죽음.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또한 은둔형 외톨이도 늘어나고 있다. 그런 사람들을 양지로 나오도록 하는 게 저자가 하는 일이기도 하다. 앞으로 이런 일을 하는 사람들이 점점 더 필요한 세상이 올 것이다. 아무리 1인 가구가 늘어나고 은둔형 외톨이가 많아진다고 해도 사람은 절대로 혼자 살 수 없다. 언젠간 이런 일을 하는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않으면 안 될 때가 올지 모른다. 아니할 말로 내가 죽었을 때 나의 죽음을 처리해 줄 사람이 이들 일 수도 있다. 그런 걸 생각하면 함부로 대해서는 안 된다.
읽다 보면 같이 분노하기 보다 저자는 정말 자신의 직업을 좋아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런 사람은 절대로 쉽게 직업을 바꾸지 않는다. 어떤 사람은 꼭 돈 많이 버는 직업에 목숨을 걸기도 하는데 세상엔 이런 사람만 있는 것이 아니라는 걸 알아줬으며 좋겠다. 모르긴 해도 저자는 지금의 일을 정말 좋아하는 것 같다. 그런데 그런 저자에게 이름을 불러주지 못할망정 연(년)아라니.
저자가 글을 정말 잘 쓴다. 그렇지 않아도 직장 선배가 글을 써 보라고 해서 쓰는 거란다. 웬만치 쓰는 걸 가지고 그렇게 권했겠나 싶다. 읽기를 잘했다 싶다. 저자가 힘들 것을 생각하면 나도 그만두라고 말하고 싶었다. 앞서도 썼지만 아무리 훌륭한 직업이라도 자신보다 귀하지 않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 더 수고해 달라고 부탁하고 싶다. 아, 그리고 생각난 김에 연에 대한 괜찮은 한자가 뭐가 있을까를 찾아봤다. 대충 잇닿을 聯, 연결할 連, 사모할 戀, 인연 緣 등이 나온다. 이왕 연 자 들어가는 호라면 권할만하지 않을까. 부디 저자가 행복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