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라임오렌지나무
J.M. 바스콘셀로스 원작, 이희재 만화 / 양철북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커피 한 잔 천천히 마시면서, 읽을 생각으로 집어 들었다가 두통 선물을 받았다. [나의 라임 오렌지 나무]의 "제제"에게서. 혼자 있었기에 망정이지, 눈물과 콧물 협주, 두통까지 얻었다. 제제야, 나의 2020년 매끈했던 두통일지에 한줄 기록을 남기게 하는구나! 너를 절대로 공공 장소에서 만서서는 안 되겠다. 적어도 나는....






9살? 11살? 초등학교 때 읽어서 그랬을까? 나는  [나의 라임 오렌지 나무]를,  '책 덮을 때, 기분이 아주 안 좋았던" 책으로 기억한다. 내용을 이해도 못하면서, 나름 이 책에서 하이라이트 문장을 뽑아서 짝사랑 앓던 시절 무던히 자주 써먹었다. "사랑하기를 그만두면 그 사람은 죽은 거와 다름 없다."뭐 이런.... (원문을 찾아보니, You kill in the heart. You quit liking somebody and one day he dies.)

정작 나는 줄거리는 홀랑 잊고 있었던 것이다. 2020년 12월 3일 제제를 다시 만나며 확인했다. 




작가 바스콘셀로스Jose Mauro de Vasconcelos 20년간 품고 있던 자신의 이야기를 단 12일 풀어냈다 한다. 1968년에 처음 나온 이 책이 50여 년이 지난 지금도 남반부, 북반부 사람 가리지 않고 파고들고 있다는 걸 작가는 알 수 없겠지만. 역시나 인간의 무기이자 연장(extension)은 글이다. 


브라질의 빈부격차 문제를 요새도 미디어에서 다룬다. 2020년 리오데자네이로에는 또 다른 '제제'가 살고 있을 것이다. 저항하기 힘든 가난 앞에서 불안감의 출로를 찾는 어른 가족들에게 축구공 취급받는 어린이. 이가 부러지고, 피부에 지워지지 않는 흉터를 얻은, 마음의 흉터는 봉합할 길도 깊이를 가늠할 길도 없어 언어화하지 못하는 제제들. 아이들을 상상하다가 두통이 생겼다. 


마음이 아픈 사람들에게 초록은 자기치유력을 투사할 수 있는 생명이다. 제제에게 키 작은 라임 오렌지 나무가 그러했듯. 사랑하는 이를 잃고 너무 어린 나이에 커버릴 수 밖에 없었던 제제는 라임 오렌지 나무와는 헤어졌지만, 그 자신이 또 다른 제제에게 나무가 되어 준다. 작가 바스콘셀로스는 계속 라임 오렌지 나무가 되어 준다. 우리를 나무되라 이끌어준다. 



어린시절, 나는 왜 [나의 라임 오렌지 나무]를 "기분 안 좋아지는 책" 으로 기억했을까... 생각이 꼬리를 물다 보니, 폴리아나형 꼬마에게 "시소의 반대편"이 있다는 게 안보였던 것 같다. 누구라도 시소를 타면 오를 뿐 더러 내려갈 수도 있다는 게 안 보였을 것이다. 내가 행복하니 어린이라면 다 행복한지 알았던 것이다. 폴리아나형 단순함 때문에 불편해했던 이들 있었겠구나를 이제서야 그 단순함을 미안해 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유행열반인 2020-12-04 07: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이 책이 2,3편 있는 거도 모르다가 뒤늦게 사놓고 아직 읽지는 않았어요 ㅎㅎㅎ저는 아이유의 제제라는 노래도 되게 잘 썼다고 생각했는데 뭇매맞는 거 보고 어리둥절...유년기는 결코 때묻지 않은 순수함도 보호받는 시기도 아니고 마냥 서글픈 걸 매맞고 뽀르뚜까 죽어 울고 나무 베어버리는 제제 보며 너무 빨리 알아버린 거 같아요. ㅎㅎㅎ

얄라알라 2020-12-04 09:07   좋아요 1 | URL
2,3편이요? 와! 그렇군요. 작가를 찾아보니, 배우도 하시고 다채로운 삶 사셨더라고요. 쓰신 책 리스트가 길던데, 포루투갈어인가 눈에 안 들어와 관심 안 가졌는데 2,3편이 있었겠네요. 알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세트] 기억 1~2 세트 - 전2권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전미연 옮김 / 열린책들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TENET]은 머리를 굴리고 굴려도 빈틈을 메울 수 없이 치밀해서 재미있었습니다. [기억]은 비약의 12단 널뛰기가 극심하고 빈틈 숭숭 뚫려 있지만, 그래도 기억, 죽음, 꿈, 시공의 연결성이라는 주제에 천착해온 베르나르 베르베르 작품인만큼 재미 19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거닝 - 채식에 기웃거리는 당신에게
이라영 외 지음 / 동녘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피터 싱어의 [동물 해방]이나 캐롤 애덤스의 [육식의 성정치]까지 섭렵하고 ˝별다섯˝ 비건 철저 사수해야하는 압박은 부담스러운 (부제 그대로) ˝채식에 기웃거리는˝ 이들에게 딱인 책. 그런데 10편의 첫 시작, 이라영 박사의 글이 탁월하게 흡인력있어서 나머지 9개의 글이 가려질 정도라는 흠 아닌 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죽은 자의 집 청소
김완 지음 / 김영사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록산 게이의 [헝거]가 온라인 서점 메인화면에서 계속 유혹했어도 고집스레 버텼다. 광고로 내세우기 좋은 소재뒤에 감춰진 격한 감정의 굴곡까지 감당하기 어려울 것 같아서. 읽단 [헝거]를 읽고 난 후,  내 100대(?) 소원 중 하나는 작가 록산 게이를 만나 보는 것. [죽은자의 집 청소]역시 비슷한 이유에서 안 읽고 버텼다. 하지만, 추천사마다 절절하다. 첫 문단을 읽는데, '헛!' 허를 찔린 반응. 문장이 예사롭지 않다. 다시 책날개로 돌아가니, '청소부''인 동시에 '시인' 이었구나. 김완 작가는 오랜 세월 대필 작가(ghost writer)로 글을 써왔다 했다. 


책 읽는 내내 폭포 아래서 물줄기로 두들겨 맞는 얼얼함에 머릿 속은 빠르게 회전했다. "죽은 자"가 제목의 키워드이지만 작가는 산 사람이 죽은 자를 대하는 방식,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를 넘어서는 공감과 연민(작가가 애묘인인지라 고양이가 많이 등장한다), 거창하게는 불평등, 소외, 탐욕, 죽음조차도 돈으로 처리되는 이 시스템 등...흉내도 못낼 시적인 문장으로 쿡쿡 다 쑤신다. 이 정도 독자 오장육부 다 뒤집을 정도로 전율시키고 뇌까지 각성시키는 글 쓰려면 자기를 갈아 넣어야 하는데, 희한하게도 작가님에 대한 이야기가 없다. 자신을 그다지 드러내지 않으면서 이처럼 내밀한 글을 쓸 수 있다니, 신묘한 능력일세 하며 읽는데 마지막 즈음....작가의 이야기가 나온다. 


죽은 자들의 공간을 들락이며 살았던 시간, 생 마감한 이후의 시간의 경계조차 뭉개듯 상상의 교감을 누적해서 그런가, 내 눈에는 작가가 30대가 아니라 300살 넘은 사람처럼 보인다. 김완 작가님, 참 많이 배웠습다. 감동이 너무 커서, 차마 초라한 문장으로 리뷰도 못 올릴 지경으로.





책 전체에서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의외로 일본 행정 관료들이 "고독사"를 "고립사"라고 언어유희하듯 명칭 변경한 이면의 함의였다! 그렇다. 솜털만큼도 그 고독은 감춰지지도 덜해지지 않는다.


"고독사 선진국 일본. 그 나라의 행정가들은 '고독'이라는 감정 판단이 들어간 어휘인 '고독獨사' 대신 '고립立사'라는표현을 공식 용어로 쓴다. 죽은 이가 처한 '고립'이라는 사회적 상황에 더 주목한 것이다. 고독사를 고립사로 바꿔 부른다고 해서 죽은 이의 고독이 솜털만큼이라도 덜해지진 않는다 (43쪽)"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크pek0501 2020-11-15 16: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네요. 고독사는 고립사네요. 고립사가 더 와닿을 수 있겠어요.
 
무대 위의 국가 - 초기 드라마에 재현된 미국
박정만 지음 /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지식출판원(HUINE)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라 닐 허스턴˝은 작가 이전에 인류학자시죠? 안타까운 말년의 비운 때문에 이분이 학자로서도 훌륭하다는 사실은 가려지는 것 같아 아쉽습니다 이 분 전문가라시니 박정만 선생님 존함 기억하고 꼭 찾아다니며 읽겠습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크pek0501 2020-11-15 16:3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인류학자의 책, 좋아합니다.
<사람, 장소, 환대>라는 책의 저자가 김현경인데 인류학을 공부한 사람이라고 해요.

2020-11-15 20:00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