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 쓰시고 인품이 고매하신 교수님께서 수업 중 노여움을 선명히 드러낸 장면을 딱 한 번 보았다. 기억에 박혀 있다. 어느 학생이 "나는 전쟁이 휩쓸고 간 폐허에 홀로 서고 싶다" 뉘앙스의 에세이 과제를 냈다는 데 격렬하게 분노하셨는데 실로 교수님은 전쟁의 아픔을 사시는 세대이셨다. 


  2020년에 읽었던 [체르노빌]에서도 저자는 지구가 멸망하고 혼자 서 있는 상상을 종종 해왔다면서 체르노빌 참사 현장을 직접 방문했을 때의 느낌을 전한다. 비록 이 책 자체는 우호적으로 읽었지만, 지구에서 적어도 호모 사피엔스들이 싹쓸이 당한 뒤 홀로 서 있는 모습을 절대 절대 상상조차 싫다. 


코로나가 기승이라지만, 그래도 한강이건 서해 해변로건 (거리두기를 한) 사람들이 있어서 다행이다. 마스크를 쓴 채 한강로를 조깅하고, 마스크를 쓴 채 롱보드를 타고, 서로 널찌감치 거리를 두고 산책하는 사람들이 있기에 풍경이 채워지고 아름답다. 결단코, 사람들이 사라진 세계는 상상조차 싫다.





바람이 매서워지면서, 바다를 끼고 소나무 숲을 이룬 길을 걷고 싶다는 생각이 계속 몽글몽글 솟아올랐다. 걷고 싶어서 해변을 찾았고, 불가사리 너희들이라도 사회적 거리두기 하지 않고 친하라고 나란히 겹쳐 올려 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태양계 구슬 램프 (LED) - 태양계 구슬 램프 (LED)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0년 구매, 3주를 기다렸나봅니다. 드디어 다음 주에는 만날 수 있겠죠?상품평 보며 기대에 들뜬!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1-01-03 00: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추카추카!3주 기다릴정도면 지금 기다리고 있는이들이 많다는것!

얄라알라 2021-01-03 23:46   좋아요 1 | URL
저는 2020년에는 받을 줄 알았거든요^^ 물량이 딸려서 중국 공장에서 열심히 만들고 있다는 메일을 보내주시더라고요. 대박친 구즈인가봐요^^

초딩 2021-01-03 02:1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우앗 이거 대박인데요!!!

2021-01-06 07: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한 사회학자의 어떤 처음 - 코로나 시대의 뉴노멀 대학 강의
박길성 지음 / 나남출판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0년, 기록으로서 코로나 다이어리를 기획했다는 분들의 이야기를 전해 들었다. 엮으면 책이 되고, 이차 가공하면 귀한 자료가 되겠구나 싶었다. 그분들의 다이어리 출간 소식은 아직 접하지 못했으나, 우연히 고려대학교 박길성 교수의 코로나 다이어리를 찾았다. 나남출판사에서 [한 사회학자의 어떤 처음]이라는 제목으로 다듬었다. 여기서 "처음"은 대학 강단에서 제자를 길러낸 30여 년 만에 처음 겪는, 비대면 강의를 말한다. 박길성 교수가 2020년 1학기 개설된 <사회학적 상상력>을 진행하면서 느꼈던 소회를 모아낸 책이다. 3월 2일부터 6월 22일까지 수업일인 월요일과 수요일마다 차곡차곡 채운 글들을 모았다.

학생에게뿐 아니라 교수자에게도 코로나는 특별한 도전이었을 것이다. 일종의 즉흥 연회같이 참여자가 일으키는 교감의 파동을 타고 진행되던 강의가, 밋밋한 일방통행 비대면 퍼포먼스로 전환되었으니. [한 사회학자의 어떤 처음]은 코로나 시대 대학 강의가 어떻게 이뤄지고 변화해가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줄뿐더러, 사회학적 상상력으로 일상에서 의미를 건져내는 재미를 알려준다. 무엇보다, 기록의 중요성을 일깨운다. 써야 남는다. 휘발되지 않게 묶어두어야 한다. 꾸준한 것도 중요한 데, 무엇을 타겟 삼을까?

2021년 1월 2일. 기록의 대상을 고민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다에서 일어나는 '공유의 비극'을 막기 위해 고군분투해온 저자 서종석은 [어업의 품격]을 펴내며, 청소년, 선생님, 그리고 학부모들이 많이 읽기를 기대했다. 저자 역시 세 아이의 아버지로서 학부모이자, 부경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선생님이다. 무엇보다 북 토크에서 실제 만난 서종석 교수는 수산물을 좋아하기에, 수산자원이 고갈되면 슬플 거라고 이야기했다. 


[어업의 품격] 을 몹시 기대하며 읽었다. 먹거리나 환경에 관한 책은 널렸지만, 실제 현장 전문가가 전하는 이야기는 언제나 귀하기 때문에 더욱더. 서종석 교수 역시 MSC(해양관리협회) 한국 대표이자 국제표준분야에서 10년 이상 전문가로 활동해왔기에 그만이 전할 수 있는 내용을 [어업의 품격]에 많이 담아냈다. 


저자 소개의 책날개에서도 '공유의 비극'을 키워드 중 하나 삼은 만큼, 나 역시 [어업의 품격]을 읽고 '공유의 비극' 관련 챕터를 가장 기억에 남는다. 정리하려 한다. 


● 저자가 인용한 여러 공공재 게임 실험 결과는 다소 충격적이다. (예외는 있지만) 게임을 반복할수록 기부금은 낮아지고 무임승차가 많아졌던 것이다. 단, 팃포탯(Tit for Tat, 눈에는 눈)과 평판 시스템을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참여도와 기부율을 높일 수 있다고 한다. 



 엘리나 오스트럼 © Holger Motzkau 2010, Wikipedia/Wikimedia Commons (cc-by-sa-3.0) 


● 자원이 부족하고, 배신자들이 들끓는 상황에서 어떻게 공유의 비극을 극복할 수 있을까? 정치경제학자 엘리나 오스트럼Elinor ostrom은 공유의 비극 해결 방안을 제시해 2009년 노벨 경제학상을 탔다 한다. 제시한 극복 사례는 에게해 터키 어업 실례지만, 이 시스템을 어업 외 다른 분야에 적용한 사례를 추후 더 찾아보면 유용할 것 같아 부족하나마 정리해본다. 


 터키 알라니아에서도 1970년대엔 어업 분쟁, 어부들간 갈등이 심각했고 수산자원은 고갈상황으로 치닫고 있었다. 해결방안으로서 도입한 "조업구역 배정시스템"은 십여 년 시행착오를 거쳐 안착했다. 서종석 교수가 요약한 시스템 운영법은 


1. 매년 조업하는 모든 어부 명단 작성. 

2. 어부들이 선호하는 조업 구역 목록 작성. 

3. 조업 구역 로테이션, 공평하게 모든 어부에게 배정.

4. 매년 조업 구역과 배정순서 재배치. 


이에 더해 자발적 감시와 모니터링(배신자(freerider는 늘 있으므로), 갈등 조율 과정을 거쳐 지속가능한 이익을 얻는다. 주목할 점은 이 시스템이 정부가 제시한 것이 아니라, 알라니아 어부들이 자발적으로 구축한 공동체 관리 시스템이라는 점이다. 그래서  "Fishermen in Alanya proud to be a part of Nobel prize."라는 기사 제목도 등장하나 보다. 


● 오스트럼이 뽑은 성공적 공유자원 사례의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1. 공유자원을 정의하고, 누가 이를 사용할지 확정하고 권리를 부여한다. 

2. 효율적 규칙과 시스템을 구축한다. 

3. 구성원이 참여한다. 

4. 모니터링한다. 

5. 점증적으로 제재한다

6. 갈등 조정의 장을 마련하고 조정한다.

7. 자치권을 보장한다. 

8. 적정 규모를 유지한다.


● MSC어업표준의 원칙

1. 어장은 지속가능한 수준으로 자원량을 유지한다.

2. 어업은 환경 파괴를 최소화한다.

3. 이해관계자들의 참여를 토대로 지속가능한 어업이 효과적으로 관리된다. 



터키 알라냐, Pixabay/CC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업의 품격 - 건강한 해양생태계를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
서종석 지음 / 지성사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가리 까다. 야부리를 까다."

난, 찰진 생활어를 몰라서인지 그런 말, 처음 들어봤다. 그것도 자그마치 Yale대학교 박사이자 귀공자풍 엄친아 이미지의 젊은 교수에게서. 반전 충격이었기에, 강력하게 뇌리에 박혀 잊히지도 않는다. "노가리 까다. 야부리 까다."


[어업의 품격]을 읽는데, "노가리 까다"가 등장했다. 1970년대 한국 정부가 [수산자원 보호령]까지 풀자 어린 명태(노가리)까지 싹쓸이하자 노가리가 심심풀이가 되니 "노가리 깐다"라는 표현이 나왔다고 한다(오호! 그랬군! '야부리'는 여전히 미지어이지만, '노가리'에 대한 궁금증은 풀렸다). 



저자 서종석 교수(부경대)는 충격 요법으로 [어업의 품격]을 시작한다. 사라져가는 물고기들을 나열한다. 그렇게 흔해 빠졌던 '노가리,' '명태'가 적어도 2008년부터 정부 공식 통계상 "0"라 한다. 쥐포는 어떠한가? 쥐치잡이 트롤어선들이 바닥을 싹 쓸어 고갈 시킨 이후, 쥐치는 자취를 감췄다. 양식장에서 사료, 영양제, 항생제 먹여 키우는 귀한 생선이 되었다. "설마" 사라진다고? 바다가 이렇게 넓은데? 해양수산 분야 국제비영리기구 MSC 한국대표이자 이 분야 전문가인 서종덕 교수는 단언한다. "설마"가 아니다. 실제로 그 많던 어류가 사라져간다고. "금"갈치, "금"징어, "금"조기. 더 이상, "국민" 생선이 아니다. 한국 상황만이 아니다. 유럽과 아메리카의 국민 생선이었던 대구 역시, 남획으로 완전히 고갈되어 어장 폐쇄 상황까지 갔다. 


물론, "품격 있는 어업"을 이야기하려면 이제는 비싸고 귀해진 어류를 나열하는 외에 더 중요한 지점을 짚어야 한다. 사실, [어업의 품격]에서는 다 짚어준다. 현 해양생태계의 위기상황을 보여주고 진단하고, "지속가능한 어업"을 위해 어떤 실천과 국제적 공조가 따라야 할지를 구체적으로 알려준다. 읽고 나면, '공유지의 비극 tragedy of the Commons'으로 가는 지름길인 줄 알면서, 왜 어민들이 이토록 거칠게 바다를 쓸어가는지 짐작된다. 어업 분쟁의 원인과 현황, 혼획 및 남획의 폐해, 기후변화가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MSC를 위시해 지속가능한 어업과 해양 관리를 위한 노력까지 [어업의 품격]에서 배워갈 수 있다. 


그럼에도, 사람(특히 소비자로서 우리 대다수)를 움직이는 것은 해양생태계나 수산 자원에 대한 통계수치보다도 갈치, 오징어, 명태가 어떤 상황인지를 인식하는 데서 시작하는 듯하다. 이점은 저자도 분명히 지적한다. "소비자 한 명 한 명이 자신이 좋아하는 수산물이 어떤 상황에 놓여 있는지 인식만 해도 시장은 변화하게 된다....소비자들이 에코라벨이 표시된 수산물을 선택하면 자연스럽게 지속가능한 어업이 유지될 수 있다...소비자가 지속가능한 수산물을 인식하지 않으면 지속가능한 어업은 결코 이뤄질 수 없다 (178쪽)." 



이 라벨이다. MSC. https://www.msc.org/home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21-01-02 21: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레이첼 카슨이 관심 가질만한 주제가 있는 책이군요. ^^

2021-01-02 21: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scott 2021-01-02 21: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알바트로스 인간이 버린 해양 쓰레기들이 고스란히 몸속안에 ㅜ.ㅜ

얄라알라 2021-01-02 22:10   좋아요 0 | URL
어미새가 먹이라고 새끼에게 주는 모습이.....인간도 마찬가지겠죠. 자식에게 좋겠다고 주지만, 실은 오염물을 주기도 할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