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과 건강 - 보건의료의 정치경제와 사회의학의 미래
하워드 웨이츠킨 지음, 정웅기.김청아 옮김 / 나름북스 / 2019년 10월
평점 :
절판


1. 동기

역자는 "이 책 [제국과 건강]이 보건 의료의 정치경제와 의료 사회학 분야에 관심이 있는 관련 전공학생과 교양 대중뿐 아니라, 보건의료 분야에서 일하는 전문가와 활동가들에게 많이 읽히길 바란다 (411쪽)"고 희망했다. 각각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과 캐나다 맥마스터 대학에서 박사 학위 논문을 쓰고 있는 두 저자는 관련 분야 전문가가 아니고서야 손대기 어려운 문장들을 옮겨주었다. 본문보다도 더 본격적 본문 같은 "옮긴이의 말"까지 덤으로 얹어주기도 했다. 아쉽게도, 독자로서의 내 시력이 흐린지라 전체 흐름이 눈에 들어오지 않았다. 즉, 역자들이 희망했던 독자 리스트에서 '교양 대중'은 살짝 빠져도 좋을 듯하다. 전공서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거진 70쪽에 달하는 599개의 각주와 역주를 수록한 결단을 보아도 알 수 있다. (각주를 홀랑 생략한 한국어판 학술서를 종종 봐온지라, 출판사 '나름북스'의 김삼권 대표님이 어떤 분인지 궁금해지기까지 했다) 



2. 저자에 관해서

하워드 웨이츠킨은 일차의료를 하는 의사이자, 비판적 공중 의학(Critical Public Health)을 이끄는 사회학자이다. 한국어 단행본으로 소개되는 그의 첫 저서, [제국과 건강]은 2012년 미국사회학회 주관의 우수학술도서이다. 그는 Hilary Modell과 함께, 칠레 군사독재 정부가 고문하고 투옥시켰던 보건의료 노동자의 구조 위한 국제 연대운동을 벌였다. 이로써 칠레 정부의 심기를 건드려 이후, 칠레 입국을 못했다는 이야기는 그가 지향하는 "비판적 공중의학"의 실천적 성격을 짐작하게 한다. 하워드 웨이츠킨은 (주로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로 쓰였기에 상대적으로 학계에 덜 알려진) 라틴 아메리카 사회의학의 전통을 소개함으로써 미국을 위시한 "더욱 발전된(12)" 국가들에 통찰을 제공하고자 한다. 하지만, 한국의 보건의료 상황도 잘 모르는 독자로서 나는 칠레, 쿠바, 볼리비아 등의 사례를 따라가기가 도전적이었다.



3. [제국과 건강]에서 취한 점

크게 3부 구성으로 제국의 과거(대략 1980년대까지)-현재(1980s~2010s)- 미래 순 배열이다. 1부에서는 의료와 공중보건의 발전(혹은 변화)를 자본주의와 제국주의라는 맥락 아래서 살펴본다. 1장에서는 카네기 재단, 록펠로우 재단 등 자선단체와 국제무역협정이 어떻게 공중보건과 제국의 강화에 연계되는지를 살핀다. 2장에서는 사회역학의 선구자 3인(엥겔스, 피르흐, 아엔데)를 소개하며 질병의 사회적 기원에 대한 관심이 어떻게 태동, 심화되었는지 소개한다. 3장에서는 CCU(관상동맥집중치료실)의 정치경제학 사례를 통해, 보건의료 상품및 서비스가 다국적 기업의 전세계적 활동 강화에 어떻게 기여했는지를 보여준다.

2부, '제국의 현재' 중에서 5장이 가장 유익했는데 서문의 문장을 그대로 빌어와 소개하자면 이런 내용이다. "신자유주의적 정치경제 정책들이 공공 부부인 제공하는 보건의료 서비스에 미친 영향과 이러한 서비스의 민영화 과정, 국제적 보건 의료 상품 및 건강보험 시장에 대한 다국적 기업의 침투와 관련된 초국적 자본가계급의 등장, 경제적 세계화가 국민국가에 끼친 영향, 그리고 그 결과로서 공중보건 운영에서 국가가 주권을 상실하게 되는 과정을 설명한다"(18) ☞ 놀랍게도 한 문장이다. 이쯤해서 예비독자들은 [제국과 건강]의 문체, 특히 번역체를 상상할 수 있으리라.



2부의 다른 장들은 신자유주의 하 사회 안전망의 민영화가 공중보건에 끼친 영향을 구체적 예를 통해 설명해준다. 일방적인 제국의 횡포만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책이나 다큐멘터리에서도 여러 번 소개받은) 볼리비아의 물 사유화 반대 투쟁을 통해 저항도 보여준다. "민영화뿐 아니라 다양한 전략들, 특히 전 지구적 무역과 세계화, 이데올로기, 그리고 전쟁이 어떻게 자본주의 '제국'을 발전시키고 강화했는지를 분석한다." (409쪽 옮긴이 해제)


3부......


'제국' '대항-제국 Counter-Empire'의 맹아를 내포한다...제국과의 경쟁과 제국에 대한 전복, 그리고 새로운 대안 모색을 위한 투쟁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수많은 영역 중 의료와 공중보건도 이런 투쟁의 장에 포함된다." (141)



3부에서는 라틴 아메리카의 사례를 중심으로 '대항-제국'이 판타지가 아님을 보여준다엘살바도르는 보건의료서비스 민영화에 맞섰고볼리비아는 물조차 상품화하려던 다국적 기업에 맞서 싸워 물주권을 수호했다([Blue Gold]라는 다큐에서 보고 감동받았던 저항사례). 저자는 이런 저항운동의 의의와 과제를 다음처럼 정리한다."


"신자유주의와 민영화의 대안을 추구하는 사회운동은 대중에게 스스로가 존엄한 존재라는 자각을 불러일으켰다...우리에게 주어진 과제는 이러한 대항 패권적 공간들을 더 폭넓은 사회적 변화로 확장할 수 있는 사회운동 전략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335) 다시금, 사회의학자로서의 저자의 지향을 상상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삼성인, 아마조니언 되다 - 삼성, 아마존 모두를 경험한 한 남자의 생존 보고서
김태강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균 수명이라는 90살까지 커리어( 거의 없지만) 극적으로 뒤엎는다 해도,  "삼성인더군다나 "아마조니언" 평생 나와 인연이 없을 것이다. 30여개국 아마조니언들을 대상으로 "영어로세법 관련 회의를 주재하거나 2020 아마존의 PM(Product Manager) 역할을 일도 없다. [삼성인아마조니언 되다] 내게 실용적 도움을 책이 아닌 데도 읽었다. "내부자의 시선(emic view)"이라는 문구에 혹했기 때문이다





여기서는 "김태강"이 그 내부자이다. 그는 영국 런던대학과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수학했다. 귀국 후 20대 초반이었던 2011, 삼성에 "막내"로 입사했을 때는 한국어가 어색해서 메일 쓸 때마다 '네이버 맞춤법'에 문의했다는 전설도 있다. “김태강을 사진으로 보았을 때 직관적으로 "영민함, 성실함"의 인상을 받았는데, 실제 그는 AMAZON의 다면평가 결과 "신뢰 얻기(Earn Trust)" 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한다[삼성인, 아마조니언 되다]는 평소 한국의 대학생 및 직장인을 대상으로 진로 상담과 해외 취업 멘토링을 해왔다는 그의 이력과 닿아 있다이 책은 한국과 미국의 기업 문화(회사 조직)을 경험한 내부자로서 두 회사를 생생한 에피소드를 엮어 비교한다나아가그 조직 안에서 성공하는 사람의 자질을 분석하고 어떻게 모방 혹은 능가할지를 제시한다




김태강이 경험한 아마존 기업문화는 근간이 고객 니즈 우선이다아마존의 CEO 아니었지만스티브 잡스의 Customers dont know what they want until weve shown them’이라는 말까지 인용을 했는데그래서인지 김태강의 책은 독자의 가려운 곳을 알아서 긁어준다영어권 다국적기업의 조직 문화는 어떠 한지위계와 동시에 화합을 중시하는 조직에 있던 사람이 개인의 자율성과 권한을 크게 부여해주는 조직에서는 어떻게 생존해야 하는지를 알려준다아무튼 책은 해외취업을 준비하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배울 , ‘아하!’하며 재미있어 소소한 내용들을 많이 담고 있다.





개인적으로 나는 이 책의 1장에서 아마존이 PPT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대신문서로써 소통한다는 점이 흥미로웠다활자로 기웃거려본 다른 직업군의 세계에서도 여전히 글을 장악할 수 있는 사람이 힘을 발휘하는 경우를 많이 보았기 때문이다또한 김태강이 까는 문화(118)”라고 표현한 수평주의실용주의의 조직 문화가 흥미로웠다.

안식년(?) 없이 그 어마한 업무를 소화하고연애하고한국과 미국을 오가는 와중에 이런 명쾌하고 유익한 책까지 써내다니다음번엔 김태강 저자가 시간관리법과 글로벌 기업에서 통하는 영어정복기도 서비스 차원에서 공유해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갗 아래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몸에 관한 에세이
토머스 린치 외 지음, 김소정 옮김 / 아날로그(글담)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주 들리는 알라디너 이웃님 서재에서 "말하는 사람은 계속 말하고, 듣는 사람은 계속 듣기만 한다"는 지적을 읽었다. 뜨끔했다. 당신은 어느 쪽?  "책을 쓰는 사람은 계속 쓰고, 읽는 사람은 읽기만 한다"라고 말해도 될까? 매일 잠들기 전 읽던 책 덮기로써 하루를 마무리하면서 가끔 "써볼까?"의 치기도 솟는다. 하지만 이내, 뼛속까지 작가인 사람들의 문장을 읽다보면 "나도??"의 경솔은 겸손히 가라앉는다. [살갗 아래]를 읽으면서 딱 그랬다. 


 

 [살갗 아래]의 원제는 Beneath the Skin, 제는 "Great Writers on the Body"이다. Skin을 '피부'가 아닌 '살갗'이라 했는데도 활자 느낌 알싸하게 톡 쏙다. 한국판  부제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몸에 관한 에세이"이다. "Great Writers"에는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증손녀, 가업을 이어 장의사 일을 하는 시인, 화가이자 시인도 있다. 이렇게 소개하니 "Great"인줄 잘 모르겠다. '맨부커상' 후보작이니 '서머싯모음 수상작' 등을 낸 작가들이라고 정보를 더하면, 그들의 클래스가 부각되겠다. 


15명의 작가가 몸의 부분, 15부분을 각각 맡아 썼다. 뇌, 피부, 폐, 대장, 피, 갑상선, 맹장 등이다. 출간 전, 작가마다 쓰고 싶은 몸의 부위에 대한 의견조율을 했을 것이다. 작가들 저마다 그 신체 부위에 얽힌 밀접한 사연을 소개하기 때문이다. (아닌가? 작가니까, 일단 소재가 주어지면 '나 아니면 못 나왔을 글' 수준으로 다 만들어낼 수 있는 걸까?). 



예를 들어, 잠비아 출신의 시인인 카요 칭고니이는 "내 몸에 흐르던 것은 붉디붉은 수치심이었다"라는 제목의 글에서 HIV로 부모를 잃고 일찍 고아가 된 자신이 대학시절 HIV 검사 받으며 경험했던 내적 변화를 묘사한다. 콩팥, "내밀한 윤리와 감정적 충동이 자리하는 양심의 상징"을 쓴 애니 프로이트(앞서 말한 그 그 그 유명한 프로이트의 증손녀)는 남편이 몇 년 전 악성종양으로 콩팥 수술 받았던 경험 때문에 글 소재로 콩팥을 택했다고 밝힌다. 대장, "가장 깊은 속내를 누구에게도 감출 수 없게 되었을 때"를 쓴 윌리엄 파인스 역시 힘든 자신의 투병 경험을 제목에 압축해냈다. 


그렇다고 이 에세이들이, 개인 차원의 경험을 아름다운 문장으로 풀어내는 수준에서 몸을 탐색하지는 않는다. 궁극적으로는 인간, 생명, 존재의 신비 혹은 허무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 같다. 





[살갗 아래]의 서문에서 토마스 린치는 


우리는 전체이자 부분으로서, 한 종류의 일원이자 하나의 종류다. 부분은 전체의 본질에 관해 어느 정도 드러내 보여준다. 그렇기에 의사와 해부학자만큼이나 작가와 독자도 인간이라는 존재를 이해하고, 고뇌를 치밀하게 보여주는 부분을 이해하고 싶다는 열망을 품을 수 있다. (22쪽)... 각각의 신체부위를 고찰함으로써 인간이라는 지적인 동물을 이해하고, 인간을 들여다봄으로써 인간성을 이해하려는 시도로서 잡다하지만 조금은 중요한 글들을 모아보았다. (23쪽)


이라고 이 책의 취지를 밝힌다.


 15편의 에세이를 읽으며 들었던 생각과 비슷하다. 각 작가는 개인적 에피소드를 엮어 유려한 문체로 각 신체 부위를 묘사하지만, 15편의 글을 다 꿰어보면 "놀라우나 미지의 존재, 인간"이 떠오른다. 퀼트처럼. 인간이라는 종으로서의 아름다움과 복잡성이 느껴진다. 아날로그 출판사의 편집자는 이 책의 한국어판 부제를 참 잘 뽑아낸 듯 하다. 동의한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몸에 관한 에세이"





토마스 린치, 살갗 아래, 몸 에세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igsticks and Harold and the Incredible Journey: Candlewick Sparks (Paperback)
Milway, Alex / Candlewick Press (MA)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로나 바이러스 공포로 공공도서관도 임시 휴관하고, 평소 자주 찾던 미술관이며 극장 가기도 꺼려지는 요즘, 책이 가장 큰 오락거리입니다. 누군가가 도서관 반납카트에 올려놓은 책을 덥썩 집어왔는데 Nice Choice! "incredible"여행이라는 부제처럼, 재미있기가 Incredible합니다.  첫 권 읽자마자 바로 다음 권들을 도서관 희망도서에 신청해놓았습니다. 


유투브 검색해보니 작가 Alex Milway는 젊은이군요. 작가가 투영되어 있는지, 이 시리즈의 두 주인공, 돼지 Pigsticks과 햄스터Harold 역시 젊은 혈기에 넘치는 캐릭터입니다. 


엉뚱하고 충동적이지만 실행력 있는 주인(고용주) Pigsticks와 약간 아둔하지만 충실한 부하(짐꾼) Harold라는 짝패는 [돈키호테]등 많은 문학작품에서 보아온 조합입니다. 익숙한데도 전혀 진부하지가 않네요. 


우선 여행의 동기면에서 차별됩니다. 

Pigsticks는 혈통있는 집안 출신인데, 업적을 세웠던 조상들과 달리 그저 그런 삶을 살고 있습니다. 조상들을 넘어서는 위대한 성취를 이루고자 도전거리를 모색하던 중 '모험가'로서 'the End of the World'에 닿아보고자 결심합니다.  '살아 돌아옴'으로써 조상보다 한 발 더 나아갈 수 있다 생각했죠.(맞아요! 생존 자체가 최고의 성과입니다!) 조상님은 모험에서 살아오지 못했거든요. 문제는, 모험가기 위해 필요한 엄청난 짐들을 대신 날라줄 수행원이 필요데요, 많은 후보자를 인터뷰해봤지만 흡족하지 않습니다. 그냥 단독 모험가로 출발하기로 결심한 Pigsticks앞에, 햄스터가 나타났습니다. 힘도 세고 정직한 Harold입니다.




정작 모험의 동기에 전혀 동의하지 않고 일상을 살고 싶어하는 Harold를 거의 반 강제 설득한 Pigsticks은 Harold에게 배낭을 짊어매게 합니다. 케이크 1개, 2개, 나중에는 3개로 늘려, 협상을 잽싸게 마무리했거든요. 이쯤해서 불공정에 예민한 독자라면 살짝 기분이 안 좋아지는데요. 


예를 들어


맨 몸으로 가볍게 달랑달랑 걸음을 옮기는 Pigsticks가 너무 재밌고 신이 나서 숨이 안 쉬어진다고 할 때, 그의 짐을 다 짊어진 짐꾼 Harold 역시 숨쉬기 어려워하는데요. 다른 이유에서 입니다. 정글의 아나콘다에게 몸통죄임을 당하고 있었기 때문이거든요. 장면, 상상이 되시나요?


"This is wonderful!" said Pigsticks. "I can hardly breathe for all the fun I'm having"


Harold was also struggling to breathe, but he wasn't having quite so much fun.


본문 34쪽




여행이라고는 해변 놀러가 본게 전부인 햄스터 Harold가 정글을 통과하고, 사막을 건너 높은 산에 오르려니 얼마나 힘들겠어요. 무지막지하게 무거운 짐까지 지고요. 힘들어 집으로 돌아가고 싶어하는 Harold에게  Pigsticks는 "임무 완수 후 케이크"로 꼬셔댑니다. 슬슬 화가 치미네요. 요거 이기적 얌체 캐릭터 아냐?



다행히, 주인공 Pigsticks도 그렇게 몰염치한 캐릭터가 아님을 알게해주는 씬이 등장합니다. 굶주린 염소 한 떼에 둘러쌓여 있는 위기의 순간, Pigsticks가 Harold를 들러 엎고 날쌔게 달려 도망치는 씬이 바로 그것이지요. 아, 돼지가 햄스터에세 의리를 보이는구나! 하지만 효력은 없었어요. 염소들은 너무나 배가 고파서 끝까지 이 두 초짜 모험가를 따라 왔거든요. 


마지막 페이지의 일러스트레이션이 보여주듯 두 모험가는 안전하게 마을로 돌아왔어요. 줄거리는 사실상, 별 새로울 내용 없는데, 이 책이 정말 재미있는 이유는, 대사의 묘미가 있어요. 드러내놓지 않고 웃기거든요. 시리즈의 다음 이야기도 기대됩니다. 직접 읽어봐야 은근히 웃긴, 그 대사의 맛을 느끼실 수 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특권 - 명문 사립 고등학교의 새로운 엘리트 만들기
셰이머스 라만 칸 지음, 강예은 옮김 / 후마니타스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회과학서를 읽는 중간에  "역자후기"를 일부러 찾아 읽기는 처음이다. 그 정도로 [특권]의 번역은 충실하다는 칭송으로 모자랄 만큼 헌신적 책임감과 체화된 경험이 반영되어 있었다.번역자 "강예은?" 도대체 어떤 이? 현재 영화 관련 일을 한다는데 사회학 책에 이토록 멋들어진 역자주석을 더하며 독자의 이해를 친절히 돕는가? 




아니나 다를까, 촉이 맞았다. 번역자 "강예은" 역시,  [특권]의 저자인 셰이머스 라마 칸과 적어도 반쯤은 비슷한 경험을 공유하고 있었다. 저자는 파키스탄 출신 이민자 2세대로서 의사인 아버지 덕택에 물질적으로 풍요로웠다. 아이비리그 대학 진학률이 높은 세인트폴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그곳에서의 경험이 구체적으로 어떠했는지 모르겠으나 피부색이 더 밝은 동문들이 많이 가는 아이비리그 대학으로 일부러 가지 않았다. 강예은은 한국, 미국, 영국을 오가며 교육을 받았고 영국 캠브리지 시의 명문 고등학교의 거의 유일한 동양인 "여자애"로서 살았던 경험이 있다. 섬, 전용비행기, 별장, 극도로 부유한 친구들 사이에서 홈스테이를 하던 동양 "여자애"로서 강예은은 [특권]을 빠져들 듯 읽어내렸나보다. 이후, 고맙게도 2년이라는 시간을 오롯이 쏟아준 덕분에   한국의 독자들도 매끈한 문장의 한국어로 사회학책을 읽는다. 



저자는 사회학 박사 논문을 쓰기 위해,  모교인 세인트 폴에 교사 자격으로 1년간 머무르며 그곳의 교직원, 학생 등과 밀접 접촉을 하며 자료를 모았다. Waquant이 [Body and Soul]에서 시도한 "carnal Sociology'인 셈이다. 후기에서 저자가 고백하는 데 처음에는 거리두기를 하며 '객관(?)'적 시야를 확보하려 했단다. 당연, 안 먹히지!  전략 수정. 소위 Ice Breaking하고 나중에는 이왕 내부자였던 거 더 확실하게 그 안으로 들어가본다. 학생들을 집으로 초대해 "발꼬랑내 나니 신발 벗지 말라"고 농담도 해가면서. 그러나 나는 저자에게서 본인 스스로 자기규율에 엄격하고 학문에 대한 드높은 이상이 분명한 "세인트폴 졸업생"을 보기도 한다. 자신이 가르치는 학생들이 스피노자의 원서 대신 위키피디아 등 구글링을 새로운 공부기법으로 활용했다는 게 격분했다는 고백에서 이는 더 두드러졌다. 


대중적 글쓰기와 학문적 성취 두 토끼 다 잡은 듯 보이는, 에릭 클라이넨버그나 수디르 벤카테시의 저작에 비하면 셰이머스 라마 칸은 글은 도리어 쉽게 읽힌다. 1장을 두 번 정도 정독하기 권한다. 이후 2장부터는 세인트 폴에서의 일화들을 드라마 씬처럼 묘사하고 분석을 더하는 방식의 글쓰기가 이어진다. 다시 말하지만, 1장이 이 책의 핵심이 압축되어 있다. 1993년-1995년 본인이 고등학생 때 세인트폴에서 경험했던 것은 구엘리트의 오만한 특권의식(배타성, 구별짓기)였다. 이에 비해, 10년 뒤 같은 교육기관에서 저자가 만난 아이들은 신엘리트, 특권을 편안하게 여기며 "능력주의" 패러다임아래, 자신의 특권이 성취라고 믿는 아이들이었다. 저자의 관심은 "정형화된 불평등이 어떻게 능력주의 안에서 유지되고 은폐되는지(80)," 즉 미국 사회에서 개방성과 불평등이 같이 높아지는 이중적 변화이다. 그럼으로써, 결집하여 맞싸울 대상은 녹는 눈처럼 불평등의 지면 아래로 스며들어 버린다. 결집의 유인이 없어지고, 능력주의 패러임에 뼈속까지 세뇌된 사람들은 노력해도 두 발 딛고 설 수 없는게 자기 근육이 물러서라고 자책한다. 눈처럼 녹아 스며든 문제는 땅을 축축하게 만들어, 어떤 이들에게는 늪이 되어 있다는 것을 모른 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