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남자의 연애사
한창훈 지음 / 문학동네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질펀한 내용에 멀끔한 문체? 술자리 남들 연애사를 엿들은 자의 쾌락? 갯내음 가득한 섬마을에 몇 달간 머물다간 한 남자의 순정? 아니 몽정? 아니야.. 수음이야. 근데 나쁘지 않아. 싫지도 않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빌(bill) : 청구서

렸(yet) : 아직 

수다(suda) : 차입(借入)

 

bill과 yet은 알겠는데, suda가 차입의 뜻이라고? 이런 질문이 당연히 있지 않겠나 싶은 노파심 아닌 노파심에 따로 덧붙이자면, suda는 차입이라는 뜻의 우즈베크어로 지구상에 엄연히 존재하는 단어임을 밝히는 바이다. 

 

또한 이 카테고리의 특성은, 뭐 당연히 눈치채고도 남지 않겠나 싶어 따로 밝히지는 않겠다.

 

1월 31일. 월요일. 때는 어둑어둑한 저녁. 일을 마치고 돌아오는 귀가길. 소장도서가 얼마나 되는지 모르고 한산하다못해 적적하고 그래서(?) 얼마나 고마운지 모르는 인근 도서관에서 이러저러한 아이들을 데리고 왔다. 아니 이러저러한 분들을 모셔왔다.

 

 

 

 

 

 

 

 

 

 

 

 

 

 

 

그리고 닥치고 정치를 또 빌렸다. 왜? 다 못읽어서? 아니요. 다시 한번 어째 보려고.

 

 

 

 

 

 

 

 

 

 

 

 

 

 

 

그리고, 대망의 이것.

 

                                     부터                                 까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16-02-01 15: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컨디션님, 이현세 만화 좋아하세요.?? 그냥 궁금해서...

컨디션 2016-02-02 16:53   좋아요 1 | URL
딱 잘라 말할게요. 저 이현세 만화, 안좋아해요...ㅎㅎㅎ
근데 왜 빌렸냐구요? 그야 뭐.. 같이 사는 남자가...^^
 

씨바, 도 많았지만 (웃음)이 더 많은 책을 읽었다. 오늘 반납일에 맞추려고 눈곱 뗄 겨를도 없이 읽어야 했다...는 뻥은,



뻥 차고 한 마디만 덧붙인다. 한편의 소설이 이보다 재밌을까.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서니데이 2016-01-31 14: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컨디션님, 무슨 책이에요???
여기도 퀴즈인가요.

컨디션 2016-01-31 19:45   좋아요 1 | URL
사실 안그래도, 이거 퀴즈로 해볼까? 잠깐 생각했더랫어요..서니데이님 댓글도 나왔겠다 내친김에 퀴즈로 한번 가볼까요?^^

서니데이 2016-01-31 19:46   좋아요 0 | URL
그냥 답을 말씀해주세요.^^;;;

컨디션 2016-01-31 19:48   좋아요 1 | URL
어..저는 붉금돼지님처럼 얄짤없는 고통의 머리줘뜯기는 원치않는바, 힌트를 좀 드릴까 하는데.. 음,

컨디션 2016-01-31 19:58   좋아요 1 | URL
머리가 늘 덥수룩하게(지저분하게^^) 길고 수염도 보면 좀 까실하게 관리하고.. 또 김밥에 어묵까지 준다는 우리시대의 쾌남,이 바로 이 책의 저자랍니다. 제목은 다섯글자구요. 힌트가 구리더라도 이해해주삼. 제 한계ㅠㅠ

2016-01-31 19:50   URL
비밀 댓글입니다.

컨디션 2016-01-31 20:00   좋아요 1 | URL
우와 빙고빙고~^^제가 머리굴려 저 힌트 생각하는사이에.. 이를 어째 털썩 ㅎㅎ

서니데이 2016-01-31 20: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의는 아니었어요.;;;;;

컨디션 2016-01-31 20:20   좋아요 1 | URL
밥 먹다 말고 수저를 높이 들어 정답! 을 외치실 분은 없으실 거 같으니 이쯤에서 퀴즈 종료를 할까 합니다...^^

답을 정확하게 맞추신 서니데이님께는... 음.. 조만간 뭐라도..^^

서니데이 2016-01-31 21: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컨디션님, 좋은밤되세요.^^

컨디션 2016-02-01 08:31   좋아요 0 | URL
서니데이님, 좋은 아침 ! 이예요.^^(마치 출근한 사람처럼 ㅎ)
 

 

  지금으로부터 딱 15년 전, 이 책을 구입했다. 70000원.

  책값만 놓고 봐도 나의 도서구매 역사에 한 획을 그을만한 책이 아닐 수 없다. 

 

  그동안 잘 모셔두었다. 손때도 안묻었다. 명색에 사전인데 늘 손에 가까이 두고

  수시로 들춰보고 해야 마땅했건만 절대 그러질 않았다. 쪽수와 두께에 질려서?

  아니라고 할 수도 그렇다고 할 수도 없는 애매한 입장이나, 그래도 핑계를 대자면, 

  사전이니까 그런 것쯤은 감수하더라도 자주 꺼내 들춰볼 일이 별로 없었다는 것.

 

  한마디로, 여기에 수록된 현대소설 100년사 연표(1888 ~ 1988)에 해당하는 소설들을

  거의 읽지 않았다는 증거에 다름 아니다. 그러니까 나의 저 핑계는 '개뿔' 된 것이다.

 

 

 

채만식의 <탁류>를 읽고 있고 현재 70쪽까지 나갔다. 모르는 말들이 수도 없이 나오지만 사전을 찾아가며 읽어야 할 정도는 아니다. 문맥 속에서 어렴풋이나마 정황이 그려지니까 내용전개에는 큰 무리가 없는 것이다. 여기까진 그럭저럭 왔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더 나갈 수가 없는 것이다. 71쪽부터 탁 막힌 것이다. '생애는 방안지(方眼紙)라' 라는 부제가 달려있고 96쪽에 이르러야 끝이난다. 요지는 당시 1930년대 노름판 풍경이다. 이 대목을 놓친다 해서 책 전반에 흐르는 맥락까지 잃을 정도는 아니다. 무슨 외계어도 아니니 문맥의 정황을 이해못할 것도 없다. 그런 식으로 어물쩍 넘어간다해서 작품전체의 이해에 대단한 오독을 범하는 것도 아닐 것이다. 그러면 건너뛰면 되지 않을까? 20쪽 분량인데 까짓거 안읽으면 그만 아닌가. 하지만 시도도 안해보고 그러자니 뭔가 찜찜하여 차마 그럴 수도 없어 억지로라도 읽자는 마음으로 잘 다독여가며 읽었는데 읽다보니 이게 아닌 것이다. 내가 내 명에 못산다는 말이 왜 있는지 알 것 같다. 답답하게 치밀어오르는 그 무엇. 기역니은으로 된 빤한 글자들을 놓고 그 뜻을 해독할 수 없다는 것이 미치겠는 거다. 어딘가 막 가렵고 뒤틀리고 배배 꼬이고 마비가 오고 결국 뭐라도 붙잡고 쥐어뜯을 것 같은 느낌.(너무 나갔나ㅜㅜ) 딱 봐도 일본말에 뿌리를 둔 단어들이 대부분인데, 이게 화투판 용어와는 또 다른 차원의 이물감으로 다가오면서 사람 심사를 뒤집어놓는 것을 어쩌지 못해서 그래서 그러한 몸부림때문에 그런 판국에까지 다다르자 드디어 뇌리를 스치는 구세주가 떠올랐다. 오래전 거금을 들여 장만한 바로 이 책 <소설어 사전>. 곤히 자고 있는 이 책을 꺼내게 된 배경을 쓰다 보니 벌써 시간이... 일단 비공개로 해놓고 이따 시간 되면 마저 써야겠다. 

 

... 

 

(그래서 다시 들어왔다. 현재 시각 9시 50분.)

 

...

 

(글을 좀 수정하고 사진도 몇장 더 올리고 하다보니, 벌써 10시 15분이다)

 

 

1998년 초판본을 갖고 있다.

 

 

 

하지만 구입한 날짜는 2000년.

 

 

 

 

그런데 스크랩해서 붙여놓은 저 신문은 1998. 8.27일자로 되어있다.

그렇다면 구입하기 거의 2년전에 스크랩을 해두었고 어떻게 그걸 찾아내서 해당 도서에 붙였다는 얘긴데..

나 저 시절 할 일 되게 없었나보다.

 

   

(방안지(方眼紙)가 뭔뜻인지 아직도 모르고 있다.) : 서니데이님과의 댓글을 통해 이 부분은 해결이 되어서 이젠 필요없게 되었지만, 그 해결과정을 살려둔다는 의미에서 남겨두기로 한다. ^^ (방안지는 모눈종이를 뜻함)

 

 

......

 

그러니 내개 결국 하고자 하는 말은 이렇다. 71쪽부터 96쪽까지 읽지 않겠다는 것. 아니 다시 말하면, 읽긴 읽되 노름판 장면을 하나하나 이해하려들지 말자는 것. 인물이 어찌 되었나.. 돈을 땄나 잃었나.. 그래서 패가망신했나.. 앞으로 전개될 사건에 어떤 결정타를 입혔나.. 정도로만 파악하는 것으로 최대한 대충 넘어가기로 한다는 것이다. 참, 그리고 소설어사전은 들춰보지 않기로 한다. 별로 도움이 안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몇몇 글자는 도움이 되었지만 그게 오히려 독서의 흐름을 방해한다는 걸 알았다. 그냥 물 흐르듯 쫙쫙 읽는 것이 좋겠다. 한 시대를 통째로 휘어감듯 통곡의 마음으로 쓰여진 위대한 소설들이 많다고 생각한다. <탁류>도 그러하다.. 라고, 조만간 다 읽고 나서 아주 힘주어 말할 수 있게 되기를 바라며 이제 난 물러간다. 아고..     


댓글(7)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16-01-21 22: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방안지요.?? 모눈종이 아닌가요.???

컨디션 2016-01-21 22:45   좋아요 1 | URL
아, 모눈종이. 맞네요. 서니데이님 댓글 보고 찾아보니 그러네요. 모르면 그때그때 얼른 인터넷이라도 찾아야 하는데, 전 별걸 다 미루고ㅜㅜ 저 소설어사전엔 안나와있다고 동네방네 투정하면서 모른다고 하고..힝..

서니데이 2016-01-22 00: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예전에는 모눈종이 앞장에 방안지라고 많이 나와서, 저는 방안지가 낯설지 않지만, 영어로는 뭐라고 하는지 갑자기 생각이 안 나요.^^

서니데이 2016-01-22 00: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찾아보니 그래프용지도 방안지네요.^^ 영어는 그래프 페이퍼인걸까요.^^
컨디션님, 좋은밤되세요.^^

컨디션 2016-01-22 13:35   좋아요 1 | URL
그래프 용지. 방안지. 이런 말들 정말 오랜만에 들어봐요. 정말 옛날 생각이 절로 나네요. x축 y축..꺽은선 그래프..뭐 이런 것들요^^

서니데이 2016-01-22 13:47   좋아요 0 | URL
네. 저도요.
점심은 맛있게 드셨나요.^^

컨디션 2016-01-22 15:42   좋아요 1 | URL
오늘 점심은 농협에서 농민들한테 제공하는 밥을 먹고 왔어요. 육개장 정식에 절편에 콩떡에 사이다에 과일 디저트까지..^^
 

 며칠 전 일요일.

 남편의 도서대출 목록에 이 책이 들어있었다.

 난 속으로, 아니 이게 언제적 책인데?

 (그렇다고 나는 읽었더냐 하면, 아니다)

 

 어제 남편이 이 책을 읽고 정리한 내용을 그대로 읽어주었다.   

 낭랑하고도 힘차게 낭독을 했는데 밥상 겸 술상 앞에서 난 울컥해야만 했다.

 옳은 말을 이토록 아름다운 언어로 말할 줄 아는 사람이었구나, 김어준.

 

 그리고나서 우린 김어준의 파파이스(1월 15일자)를 손바닥 화면으로 보았다.

 세월호 진상 규명을 위해 다들 뼈빠지게 고생하는 분들이 많을(?)테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지난하고도 놀라운 기록 영상물을 보여주면서 제대로 나서는

 이 시대의 인물이 있다면 모르긴 몰라도 김지영 감독일 것이다.

                                       세월호 침몰의 진짜 원인에 대해 그 누구도 하지 못하는 일을 해내고 있는 두 사람.

                                       (어디 두 사람 뿐이랴마는 !) 이들에게 박수를 보내고 싶다. 눈물의 박수를.

 

 

  그래서 마침내, 김어준의 파파이스가 이룩한 것이 있다면(종국엔 반드시 그래야만 하리라)

  세월호 사건을 파헤친 대단한 공헌자로 남을 것이라는 명예나 그 어떤 추앙으로서가 아닌

  정말 집요하게, 그리고 진짜 정의롭게, 세상을 향해 자신의 목소리를 당당히 외칠 수 있는 자유.

  그 自由를 생각해 보고 싶다.  

 

 

 

 

 

 

 

 

    


댓글(19)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16-01-21 00: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대단하세요. 손으로 그 많은 걸 다 쓰셨어요. 세 장도 더 될것 같아요.^^;;; 요즘 손글씨가 유행이라지만, 저는 손글씨는 아무래도 익숙하지 않아요.^^ 그러나 잘 써야 한다는 게 압박감이 큽니다.^^

컨디션 2016-01-21 13:13   좋아요 2 | URL
남편이 지금까지 책 베껴쓴 노트만 스무권이 넘어요. 얼마전 일부를 처분하고 남은 게 그래요. 남편 글씨체가 나쁘지 않다고 보는 저로서는 그렇게 웅크리고 앉아 책 읽으면서 글씨 쓰는(글 쓰는 남편이 절대 아닙니다^^) 남편을 보고 있노라면 마음이 안정되고 막 평화로워지고.. 평생 밥 한술에 김치쪼가리만 먹고 살아도 행복할 수 있겠다...뭐 이런 생각을 하곤 합니다.ㅎㅎ(근데 술을 너무 마셔서 큰일-.-) 글씨체는 자신의 개성이기도 하니까, 못생기게 써지면 써지는대로 그 나름의 멋이 있다고 봐요. 저도 글씨가 좀..안예쁘게 나오는 편인데(아니 일관성이 없달까요) 잘 쓰려고 하면 할수록 오래 못가고 금새 지치게 되더라구요. 요즘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읽으면서 신영복 선생님의 옥중서간 손글씨에서 느끼는 바가 큽니다. 글씨체가 중요한 게 아니구나. 그 속에 담긴 내용. 그것이 무엇을 말하고 있느냐...는 것을요.

서니데이님 오늘도 날씨일기 기다립니다 ^^

오거서 2016-01-21 21:55   좋아요 1 | URL
남편분도 보기 드문 취미를 가진 것 같은데 남편의 현실적인 면보다 더 중요한 면을 알아주신 컨디션 님은 더더욱 대단하다고 생각해요.

컨디션 2016-01-21 22:25   좋아요 1 | URL
남편이(든 누구든) 세상으로부터 오는 외로움을 달래는 방식이라고 생각하면 세상에 이해못할 것도 없다고 봐요.(이렇게 얘기하니까 마치 제가 꽤나 너그러운 인간인 척ㅎ;) 그래도 오거서님한테 이런 과분한 말씀 들으니 기분 좋아요^^

2016-01-21 13:21   URL
비밀 댓글입니다.

컨디션 2016-01-21 15:40   좋아요 0 | URL
흐흐~ 제남편님 글씨 예요.

2016-01-21 15: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1-21 16:03   URL
비밀 댓글입니다.

컨디션 2016-01-21 16:50   좋아요 1 | URL
겉봉에 주소랑 이름, 손글씨로 쓰신 거 아직 갖고 있거든요.^^

2016-01-21 16:51   URL
비밀 댓글입니다.

컨디션 2016-01-21 16:52   좋아요 1 | URL
저도 고민이예요. 빠르게 쓰면서 깨끗하게도 쓸 수 있으려면.. 자꾸 써봐야 하나.. 달리 방법이 없겠죠? 그래야겠죠? ㅎㅎ

서니데이 2016-01-21 16:54   좋아요 0 | URL
손의 악력도 좋아야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체력이 좋아야한대요. ^^

서니데이 2016-01-21 16:56   좋아요 1 | URL
약간의 요령은 좋은 펜을 쓰는 것도 있어요.
글씨가 평소보다 예쁘게 나오는 펜도 있고, 잘 맞는 걸 고르는 게 중요해요.
지난 여름에 꽤 많이 사서 써 봤는데, 그렇긴해도 기본적으로 손의 힘이 좋아야 장시간 흔들림없이 많이 쓸 수 있어요.

컨디션 2016-01-21 21:43   좋아요 2 | URL
맞아요. 공감합니다. 필기감 그립감 모두 충족시키는 좋은 펜과 체력. 결국은 지구력? 서니데이님과 얘기하다보니 어느새 손글씨 잘 쓰는 법까지 도달했네요. ^^

2016-01-21 16:03   URL
비밀 댓글입니다.

컨디션 2016-01-21 16:53   좋아요 1 | URL
남편한테 전해줄게요. 알라딘에 명필가로 알려지게 생겼다고.ㅋㅋ

2016-01-21 16:56   URL
비밀 댓글입니다.

서니데이 2016-01-21 21: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컨디션님, 저녁 맛있게 드셨나요.
좋은밤되세요.^^

컨디션 2016-01-21 22:26   좋아요 1 | URL
지금 아까 미처 못올렸던 페이퍼 마저 마무리 하는라 용 쓰고 있어요.ㅎ
서니데이님도 저녁 맛있게 드셨길요. 좋은밤 되시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