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간 혼자 글을 연습한다고 생각하면서 써온 것들을 모은 이 공간에 많은 분이 다녀가 주셨습니다.  여러 사람들이 저의 글을 읽는다는 가정하에 특히, 이제부터 존칭을 사용하고자 합니다. 

 Tim Tebow의 자서전을 계속 읽고 있습니다.  한 반절까지는 진도가 잘 나아가다가 거의 year-to-year로 자신의 college football career를 이야기하니 살짝 지겨운 감이 없잖습니다.   

한 동안 좋은 서재 그림이나 사진을 컴터의 배경화면으로 사용했었는데, 우연한 기회에 생각이 들어 웨일즈의 어떤 분이 직접 만들었다는 호빗의 집 모양의 친환경 주택의 내부사진을 쓰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참 좋네요.  제 머리가 너무 복잡해서인지는 모르겠지만, 마음이 편안해지는, 살짝 쓸쓸하기는 하지만, 그런 배경이라서 좋습니다.  혹시 이 글을 읽는 분들 중 공감하실 분들이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좋은 하루를 보내고 계시길 기원하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Dresden Files의 "Changes"를 읽다 만 이후로 (예전에 썼듯이 주인공이 300여 페이지를 통해 죽음으로 걸어가는 것을 볼 수 없다), 영어책을 거의 읽지 않았다.  독서량은 만족할 만하고, 특히 금년부터 시작한 글쓰기 연습은 꾸준하게 이어지고 있지만, 한 가지 불만스러운 것이 있는데, 영어책 읽기가 많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비율을 5-5는 아니더라도 6-4로 (국문-영문) 맞추어야 한다고 생각되는데, 원하는 만큼 노력을 하지 않게 되는 부분이다.  

오늘 서점에서 구매한 신간 "Tim Tebow - Through My Eyes"를 열심히 읽고 있는데, 나보다 많이 어리지만 배울 것이 많은 사람이란 생각이 든다.  겨우 한 70여 페이지를 읽었을 뿐이지만, 굳은 믿음을 가지고 열심히 노력하는 사람이기에 매우 젊은 나이에 큰 성공을 거두고 있는 것이리라.  (그는 고등학교 때 All State 선수 2회, Mr. Florida Football, 고등학생 선수로서 total offense yard, touchdown, passing yard, 및 패스 completion에 모두 Florida주 최고 기록을 가지고 있고, 대학 내내 전국 최고 선수들 중 하나였으며, 현재 Denver의 Broncos에서 곧 두 번째 season을 맞이할 예정이다.  태어나지도 못할 뻔했고, 난독증이 있는 사람이기에 더욱 대단하다고 생각된다.) 

나의 읽기생활에서 영어책 읽기의 비중을 많이 늘려야겠다.  일이 끝나면 아무래도 머리가 복잡하여 쉽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그간 Dresden Files는 잘 읽은 것으로 보아 노력하면 가능할 듯.  아침에는 자기계발서적이나 공부 위주로 잡고, 저녁에는 pleasure reading으로 잡으면 좋을 것 같다.  뭘 읽던간에 영어책 비중을 늘일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플렉스 flex - 어떤 위기에도 절대 꺾이지 않는 힘
브라이언 트레이시 지음, 양희승 옮김 / 중앙books(중앙북스)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내가 읽은 세 번째의 브라이언 트레이시의 성공학 책이다.  이 책은 성공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법을 step-by-step으로 알려주고 있는데, 소위 유명하다는 수많은 자기계발과 성공학에 관련된 많은 책들이 이론적인, 또는 모호한 개념으로의 접근을 설파하는데 비해 훨씬 낫다.  특히 저자 본인이 밑바닥부터 성공까지의 다양한 경험을 가지고 있어, 책 그 자체로만 먹고사는 분들의 저술보다는 더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측면이 있다.    

특히 방법론에서 매우 중요한 것은 구체적인 계획과 실행이라는 것인데, 지난 5년간의 삶을 반추해볼때 맞는 말인것 같다.  꾸준한 연습과 try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아쉽게 생각하는 점들이 있는데, 좀더 확실하고 구체적인 planning과 엄격한 실행이 있었더라면 좀더 좋았을 것이란 생각을 한다.  이제부터라도 좀더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계획을 잡고 하나씩 실행에 옮기다 보면 나의 앞으로의 5년은 달라질 것이다.  5년 후면 현재보다 훨씬 더 나은 위치에 있을것임을 확신한다.

또한 나는 오늘 이 책을 읽음으로 인해 한 가지 깨달음을 얻었다.  그것은 바로 내가 평가하는 나의 개인 자산 1등급인 "끈기"가 엄청난 가치를 가진, 매우 중요한, 저자에 의하면 거의 최고의 가치를 가진, 그런 중요한 자원이라는 것이다.  지금까지 난 항상 "그나마 끈기가 있어서 여기까지 왔어" 또는 "다른건 몰라도 남보다 좀 낫다면 끈기가 있다는 것 뿐이야"라는 표현을 써왔는데, "끈기가 있다는 것" 뿐이 아닌, 이 끈기는 정말로 대단한 자산인 것을 오늘에야 알았다.  현재 앞두고 있는, 또는 앞으로의 내 인생여정에 있어 앞으로도 쭈욱 함께 하길, 끈기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참으로 오래간만에 서점 카페에 아침 일찍 문여는 시간에 맞춰나와 커피와 브라우니를 먹으며 책을 보고, 하루의 계획을 세우고, 현재를 돌아보며, 그간 놓쳤던 시사정보를 읽고 이렇게 글을 쓰며 한 때를 보내고 있다.   Borders가 극도의 downsizing을 한 후 한 동안 이럴 기회가 없었는데, 근처의 Barnes를 찾아 다시 나의 시간을 보내고 있는 것이다. 

나는 늦은 시간도 좋겠지만, 보통은 아침 일찍의 서점과 내부 카페이용을 더 좋아한다.  아침 일찍 집을 나서 (보통은 주말 늦잠을 자는 시간에), 남들보다 조금 더 일찍 깨어있다는 사실에 이미 감사하고, 사람이 거의 없는 서점 문을 열고 들어서는 순간 내 코에 닿는 책 향기와 지금 막 brew되고 있는 커피의, 단순하고 별로 special할 것도 없는 일반 커피지만, 향기를 맡으면 마음과 몸이 살짝 들뜨면서 일종의 가벼운 흥분상태로 들어간다.   

들어서자마자 서점의 신간 코너에 가서 눈을 끄는 책이 있나 보고, 잡지 가판대에서 몆 개의 관심가는 것들을 추려 카페로 와서 테이블을 잡고, 커피와 빵을 주문하여 앉아 가볍에 일독.  그러면서 기분에 따라 이렇게 PC를 이용하기도 하고, planner에 글을 써보기도 하면서 한 두 시간 여유롭게 앉아 나만의 시간을 갖는 것이다.  뭐 나만 즐기는 취미는 아니지만, 왠지 기분에는 이런 기쁨은 나만 아는 것 같다.  왜일까? 

여전히 조용한 서점.  책 읽는 인구가, 특히 종이책을 읽는, 꾸준히까지는 바라지도 않는다만, 인구가 자꾸만 줄어가는 것 같고, Barnes마저도 영업이 어려워질까봐 살짝 걱정이 들기도 하지만, 뭐 그렇게 되면 언젠가는 다시 작은 동네의 서점들이 유행하는 시대가 오겠지 싶어 또다시 안심해버린다. 

신간을 보니, 곧 Eragon시리즈의 완결판인 4번째 책이 나오는 것 같고, 26일에는 손꼽아 기다리는 Dresden Files의 새로운 이야기 "Ghost Story"가 나오고.  우연히 눈에 띈 Tim Tebow의 자서전을 보고 (회원이라 40% DC를 받는다) 구매를 생각해 보았다.  그런데, 잠깐 나빠진 기분 - Ann Couture의 새로운 책이 눈이 들어와서인데, 난 이 여자처럼 Hate과 Prejudice를 조장하고 상업적으로 포장하여 파는 글쟁이가 젤 싫기 때문이다.  구역질... 

(참고로 Tim Tebow는 University of Florida의 top Quarterback출신으로 (footabll) 대학 최고의 선수였고 작년에 학교 졸업과 함께 프로로 Denver Broncos라는 팀에 입단한 선수인데, 선교사 출신의 부모하에서 미숙아로 태어났다.  의사는 산모의 건강을 위해 그리고 아이를 위해 무려 임신중절을 권했으나 엄마의 의지와 사랑으로 최고의 대학 football선수가 될 만큼 잘 자란 매우 우월한 유전자를 자랑하는 선수이고, 젊지만 존경할 만한 프로이다.  외모를 base로 하여 우월한 유전자 운운하는 방송매체를 볼 때마다 진정한 우월한 유전자가 무엇인지 생각해보게 되는 선수이다.) 

조금더 오늘의 망중한을 즐기다가 운동을 하면 하루의 일과는 대략 정리될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 황진이 - 주석판 - 역사와 소설의 포옹
김탁환 지음 / 푸른역사 / 2002년 8월
평점 :
품절


나의 전작대상작가 1호인 김탁환의 이 소설은 우리에게 너무나도 유명하고 친숙한 조선 중기의 여인, 황진이를 테마로 하여 일인칭으로 엮어낸 말 그대로 "나, 황진이"이다.  "나, 황진이"라는 제목과 "황진이"와는 어감상 하늘과 땅 차이라고 생각하는데, "황진이"가 "나, 황진이"라고 쓰이는 순간, 이 책은 단순한 소설보다는 자서전에 가까운, 그것도 매우 당당하고 주체적인 느낌의 책이 되기 때문이다.  일전에 읽으려 했을 때에는 엄청난 양의 주석이 눈을 가려, 내려놓게 만든 바 있으나, 이번에는 다행스럽게도, 모두 완독할 수 있었다.  내가 김탁환의 작품세계에 빠져있는 것에 힘입은 부분도 있겠다. 

그런데, 이 책은 주석판보다는, 특히 초행길에는 일반판을 읽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주석은 작가의 탁월한 study와 background information 및 관련 원전이나 인물에 대한 설명을 해주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단순한, 가끔씩의 주석이 아닌 "주석판"이라는 테제를 달고 나오면 그 양이나 내용에 따라 작품 자체와 주객이 전도되는 경우가 있는데, "나, 황진이"의 주석판도 나에게는 없지않아 그랬다.   

내 느낌으로는 처음 읽을 때에는 일반판을, 가급적 한 호흡으로 쭈욱 읽어내려가는 것이 이 책에 자신을 온전히 빠뜨릴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하는데, "나, 황진이"는 3자의 서술이 아닌, 황진이 자신의 declaration이니만큼 이렇게 하여 읽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다음에 기회가 되면 일반판을 구입하여 이렇게 읽어 보아야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