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는 Juneteenth라고 해서 바이든 행정부에서 새롭게 연방공휴일로 지정된 Afrian-American의 노예해방을 기리는 날이었다. 작년에 처음으로 쉬었던 것 같은데 아직은 낯설어서 그랬는지 공휴일인 것을 잊고 회사에 나왔다가 조용한 하루를 보내면서 쉬는 날이었던 것을 알게 되었다. 적당히 일을 하고 운동도 하면서 시간을 보낸 후 차를 집에 두고 저녁의 술자리에 다녀왔다. 간만에 소주 몇 병을 나눠마셨는데 참이슬도 도수가 높다고 요즘은 진로이즈백이나 새로 같이 도수를 더 낮춘 걸 마시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난 이상하게 걔네들을 마신 다음 날엔 몸이 안 좋아지는 바람에 그냥 소주 만큼의 맛도 없는 녀석들은 마시지 않는다만. 완전 희석주라서 소주도 자주 마시지는 않고 요즘은 사람들하고 같이 마시는 자리에서도 차라리 제대로 만든 사케나 와인을 선호하는 편이다. 3주 전의 술자리에서 처음으로 백주를 마셨는데 하필이면 그것이 수정방이라서 그 이하는 못 마실 것 같다. 값이 상당하던데. 어쩌다 보니 거의 매주 약속이 잡히고 있으니 2022년 이후 내 바깥 life도 꽤 활발해진 것이다. 

















주중에는 거의 못 읽고 주말에 미뤄서 읽고 있다. 요즘은 TV도 거의 안 보고 운동과 책, 그리고 일과 술로 한 주의 시간 대부분을 쓰고 있다. 술은 좀 줄여야 하고 운동은 달리기를 더 늘려가는 것이 key. 여기에 꾸준한 스트레칭으로 몸의 유연성을 회복하는 것까지 하면 아주 좋겠다. 원래 40대부터는 근육을 붙이는 것이 아니라 잃는 속도를 줄이는 것이 목표가 되는 거라서 무거운 것을 드는 걸 딱히 추구하지 않고 하던 대로 유지하면서 근지구력을 목표로 운동을 하고 있다. 술을 마신 다음 날엔 가급적 심한 운동을 하지 말아야 한다는 취지의 의견을 어디선가 본 후 음주 다음 날엔 컨디션이 많이 좋아진 것이 아니라면 실내자전거를 타는 정도로 시간만 조금 길게 잡고 땀을 뺀다. 어차피 일도 잘 안 되고 몸도 피곤하지 스트레칭을 조금 해주고 그리 할 생각이다. 


이번 주는 그렇게 마무리가 되는 것 같다. 비록 내일은 어쩌다 보니 오후 다섯 시에 Zoom 미팅이 잡혀서 회사에 남아 있어야 하겠지만.


같은 제목으로 검색하면 정~말로 많은 책이 나온다. 유명한 여행작가나 소설가가 쓴 책도 있고 보통 사람들이 쓴 책도 많아서 다녀오면 뭔가 하나씩 쓰고 싶어지는 건가 싶을 정도. 판형이 좋은 사진과 다양한 경로를 소개한 책이라서 좋았는데 산티아고까지 가는 길이 두 어개 정도 있는 줄만 알았지 이렇게 많은 줄은 몰랐으니 한 코스를 생에 한번 다녀오는 것도 어려울 것 같은데 여덟 군데가 넘는 것 같다. 하나당 대충 짧으면 7-800km, 길면 1000km가 넘는다니 한번씩 한 방향으로만 일년에 한번씩 잡아도 7-8년은 걸릴 것이고 일년에 두 코스를 걸어도 3-4년을 잡아야 할 것이니 그간 못한 여행을 하는 일정까지 하면 은퇴하고 나서 도전하면 길 위에서 늙어버릴 것만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번 시작하면 끝을 보고 싶은 마음이고 좀 maniac한 기질이 있는 나라서 신중하게 잘 알아보고 시작할 일이다.



걸으면서 자전거를 타면서 오늘 마저 다 읽은 책.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24-06-21 09:4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최근에 읽은 책에서 이름이 기억이 나지 않는데(아, 정말 미치겠슴니다. 돌아서면 잊어버리니. 손바닥에 쓸 수도 없고. ㅠ) 어떤 작가가 소주에다 홍초를 타서 마신다더군요. 전 요즘 술 아예 안 마시지만 호기심이 생기더군요. 혹시 생각있으시면 홍초 칵테일 한잔 드시고 리뷰 남겨주시죠. ㅎㅎ

transient-guest 2024-06-21 10:18   좋아요 1 | URL
제가 만나는 술자리의 지인들 중에서 소주를 마실땐 꼭 생레몬을 시켜서 즙을 짜넣는 분이 있는데 비슷안 논리가 아닌가 싶습니다. 홍삼을 타마시는 사람도 봤으니까요. 술은 줄이긴 해야하는 것이 살도 그렇고 건강에도 안 좋아서, 특히 노년의 머리건강을 위해서는 많이 덜어내긴 해야합니다. ㅎㅎ 언제 기회가 되면 try해보 남겨보겠습니다.

blanca 2024-06-21 09:5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40대부터 잃을 근육도 없는 사람은 어떻게 하죠? ^^;; 오늘 상체 운동 하는데 어찌나 안되고 힘들던지...근육이 없어 근육이 붙지도 않는 건지 싶네요.

transient-guest 2024-06-21 10:21   좋아요 1 | URL
아무래도 천천히 만들어가셔야 할 듯. ㅎㅎ PT를 받는 건 아주 좋은데 좋은 PT를 못 찾으면 진짜 뻘짓만 계속 시킨다고 하니 쉽지 않습니다. 저도 처음에 근육운동을 시작하던 2009년엔는 한 일년 가까이 일주일에 한번씩 PT로 자세와 도구 사용하는 법을 배웠어요. 요즘은 YouTube에 잘 나와있기도 하지만 그래도 초기에는 좀 배우셔야 상태와 근육에 맞는 자세를 익힐 수 있습니다. 근육이 있어야 뼈가 건강할 수 있다고 해서 늘 신경쓰거든요.ㅎㅎ 마른 체형의 여성들이 근육이 좀 붙고 등과 허리가 펴지면 전체적으로 선이 예뻐지는 것 같습니다. 저같은 토종사람은 그냥 옆으로 퍼지지만요.ㅎㅎㅎ
 

하체 54분 465칼로리

스퀏을 10세트 했으니 다른 것들과 함께 대만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4.1마일 treadmill 달리기. 45분 550칼로리.

3마일을 내리 달린 것이 간만의 성과. 대충 4.1마일 중에서 3.25마일 정도는 달리고 나머지는 걸은 것 같다. 


코로나 전 max때 한 시간 반 정도의 근육운동 후 60분을 평균 6-6.5마일의 속도로 꼬박 달린 후 줄넘기를 하거나 실내자전거를 타던 5년 전의 나로 돌아가는 길은 멀고도 험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chest/triceps 58분 504칼로리

걷기 0.92마일, 20분 100칼로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등/이두/어깨. 1시간 15분 651칼로리

걷기 1.23마일 34분 148칼로리

하이킹 2.68마일 54분 339칼로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