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첨하는 무덤

   諛墓(유묘)

 

당나라 때 시인 이상은(李商隱)의 문집에 나오는 일화다. 당대 최고의 문장가 중 한 사람으로 명성을 떨친 한유(韓愈)는 그 문장력으로 인해 많은 청탁을 받았다. 특히 돈깨나 있고 힘깨나 쓰는 집안에서는 비문, 즉 묘비명을 한유에게 청탁하는 일이 많았다. 그런데 묘비명을 짓는 대가가 만만치 않아 금덩이를 싸 가지고 한유를 찾는 사람까지 있었다고 한다. 한유가 죽은 사람을 칭찬하는 아부성 문장에 아주 능숙했기 때문이다. 이왕 죽고 없는 사람에게 험한 말보다야 칭송하는 말이 낫겠지만 한유의 칭송 일변도 묘비명은 그 정도가 지나쳤던 모양인지 후대 문인에게 두고두고 유묘諛墓라는 조롱거리를 제공했다. 예나 지금이나 돈과 권력을 가진 자에 대한 비굴한 자세는 별반 다를 바가 없는 모양이다. 독립운동에 몸을 바친 열사들은 국립묘지로 가지 못하는데 친일 하고 독재한 나쁜 자들은 버젓이 국립묘지의 명당을 차지하고 있는 우리 현실도 유묘조성에 열을 올렸던 그때 그 풍조보다 나을 게 없다. 그건 그렇고 그런 자들을 위한 유묘의 묘비명에는 대체 뭐하고 쓰여 있을까?

 

이의산문집(李義山文集유차(劉叉)

 

* 한유

 

 

 

 

 

 

중국사의 오늘:

1858118

2차 아편전쟁 기간, 상해에서 영국의 전권대표와 천진조약을 보완하는 중영통상장정선후조약이 체결되었다. 이로써 해관에 대한 주권을 잃은 중국의 반식민지화가 심화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영척이 소를 먹이다.

   寧戚飯牛(영척반우)

 

부열(傅說)의 판축(版築)과 함께 판축반우’(版築飯牛)라는 고사성어를 남긴 영척(寧戚)은 세상에 나오기 전 소를 키우며 시골에서 살았다. 그는 세상 모두가 제나라 환공의 패업을 칭송할 때 요순을 만나지 못했도다.’, ‘밤이 길어 새벽이 오지 않는다.’며 환공의 업적을 깎아내렸다. 환공이 그 까닭을 묻자 제후의 배반이 잇따르며 군대 동원이 계속돼 백성들의 부담이 가중되는데 무슨 업적이냐며 대놓고 직언했다. 좌우에서 영척을 잡아 죽이려 하자 영척은 ()은 관용봉(關龍逢), ()는 비간(比干)을 죽였다. 지금 이 영척이 세 번째가 되겠구나.”며 탄식했다.

이 말에 정신이 버쩍 난 환공이 그를 풀어 주고 대화를 나누었더니 큰 인재였다. 환공이 예를 갖추어 그를 대하자 영척은 관중(管仲)의 추천서를 꺼냈다. 왜 진작 보여 주지 않았냐고 환공이 묻자 영척은 신이 듣자 하니 현명한 군주는 인재를 선택하여 보좌하게 하고, 현명한 신하는 군주를 선택하여 보좌합니다.”라며 군주가 직언을 싫어하고 아부만 좋아하여 신하를 홀대한다면 죽어도 추천서를 내놓지 않았을 것이라고 했다. 영척은 소를 키우며 자신의 뜻을 펼칠 기회를 줄 수 있는 리더를 기다렸다. 리더만 인재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다.

 

동주열국지東周列國志

 

 

 

 

 

중국사의 오늘:

723117(당 현종 개원 110월 정유)

현종이 온천이 있는 여산에 행차했다. 북주 이후 꾸준히 개발되어 온 여산 온천이 현종 때 온천궁이란 이름으로 본격 확장되기 시작했다. 바로 화청지’(華淸池, 화청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큰 나무가 백 장씩 자랄 수 있는 것은 그 뿌리가 깊고 깊기 때문이다.

   大木百尋, 根積深也(대목백심, 근적심야)

 

당나라 때 사람 마총(馬總)이 편찬한 의림5에 실린 당자(唐子)에 나오는 구절이다. 이 대목 뒤로 바다가 그렇게 깊은 것은 모든 하천이 모여서 흐르기 때문이다.”(滄海萬仞, 衆流成也)라는 구절이 이어진다. 이 부분은 이사(李斯)가 진 시황에게 올린 간축객서(諫逐客書)강과 바다는 자잘한 물줄기를 가리지 않기에 그렇게 깊은 것이다.”(河海不擇細流, 故能就其深)라는 문장을 떠올리게 한다. 뿌리가 깊어야만 하늘을 가릴 정도의 큰 나무로 자랄 수 있듯이, 훌륭한 인재 하나가 탄생하기 위해서는 주위의 많은 격려와 자신의 노력이 오래 쌓여야만 한다. 공부도 사업의 성공도 마찬가지 이치일 것이다. 아이 하나를 제대로 길러 내기 위해서는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속담도 있듯이 주위의 따뜻한 관심과 그 관심에 부응하는 노력의 과정에서 바른 인재가 자라나는 것이다. 서로 이기려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풍토에서는 결코 인간다운 인재가 나올 수 없다.

 

의림(意林)

 

 

 

 

중국사의 오늘:

1980116

곤륜산에서 무게 600kg, 길이 82cm, 80cm, 두께 36cm의 특대형 화전백옥이 발견되었다는 보도가 나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흥하는 리더는 남이 말해주지 않을까 걱정한다.

   將興之主, 惟恐人之無言(장흥지주, 유공인지무언)

 

 

명나라 때 사람 방효유(方孝孺)가 남긴 천고의 명언이다. 방효유는 명 성조 주체(朱棣)의 왕위 찬탈을 끝까지 반대하다 10족을 멸하는 끔찍한 화를 당한 직신(直臣)의 대명사다. 그렇다면 망하는 리더는 어떤 리더일까? 방효유는 이 구절이 이에 망하는 리더는 남이 무슨 말을 할까 걱정한다.”(將亡之主, 惟恐人之有言)라고 꼬집는다. 바른말과 옳은 대책, 정확한 대안 제시 등을 거부하는 리더는 결국 망할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전통적으로 바른말을 받아들이는 것을 납간’(納諫)이라 하여, 리더십의 중요한 덕목으로 꼽는다. 그래서 예로부터 훌륭한 리더는 납간을 매우 중시했다. 무정(武丁)을 도와 상나라를 중흥시킨 부열(傅說)사람이 많이 듣고자 하면 일을 성사시킬 수 있다.”라고 했고, 당 태종은 두루 들으면 밝아지고, 치우쳐 들으면 어두워진다.”라는 위징(魏徵)의 말을 좌우명으로 삼았다. 방효유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이 납간에 따라 한 나라가 흥할 수도 망할 수도 있다고 본 것이다.

 

누경(婁經)

 

* 방효유

 

 

 

 

 

 

중국사의 오늘

1684115(청 성조 강희 239월 신묘)

강희제가 남방 순수에 나서 126일 강녕(지금의 남경)에 도착했다. 여기서 강희제는 명 태조 주원장의 무덤인 효릉을 직접 참배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향을 넣은 물고기라도 시장에 나가면 원래 향기마저 비린내에 파묻힌다.

   帶香入鮑肆, 香氣同鮑魚(대향입포사, 향기동포어)

 

당나라 때 사람 조업(曹鄴)이 쓴 잡계라는 시의 한 구절이다. 그 뜻이 깊고 여운이 한참 남는다. 이와 유사한 말로는 붉은 것을 가까이하면 붉어지고, 검은 것을 가까이하면 검어진다.”(近朱者赤, 近墨者黑)가 언뜻 떠오른다. 그래서 우리 선인들은 까마귀 노는 곳에 백로야 가지 마라.”라며 경계했던 모양이다. 좋은 사람도 나쁜 자와 어울리면 악습에 물들 수밖에 없다는 지적인데, 너무 소극적인 사고방식이라는 생각도 든다. 자고로 선()과 악()의 대립은 인간사의 절대 명제였다. 우리는 늘 선이 끝내는 승리한다며 우리 자신을 위안해 왔지만 현실은 그 반대인 것 같다. 한편 이 대목은 이런 단순한 경고의 차원을 뛰어넘어 리더에 대한 신랄한 풍자로도 들린다. 리더가 제아무리 순수하고 깨끗해도 그가 부리는 자들이 더럽고 사악하다면 결국 리더 자신도 그 추악함에 묻힐 수밖에 없다는 뜻이 아니겠는가? 사방에다 악취 나는 자들을 포진시켜 놓고 자신은 그 안에서 고상을 떨고 있어 봐야 그것은 고상이 아니라 비겁하고 더 추한 위선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왜 모를까?

 

잡계(雜誡)

 

 

 

 

중국사의 오늘:

1130114(남송 고종 건염 410월 신미)

훗날 명장 악비(岳飛)를 모함해서 죽게 만드는 간신 진회(秦檜)가 금나라에서 남송으로 귀국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