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아 불임 클리닉의 부활
가이도 다케루 지음, 김소연 옮김 / 은행나무 / 2008년 10월
평점 :
품절


4.0

330페이지, 22줄, 25자.

원제는 gene waltz인가 봅니다. 번역을 하면서 내용에 맞게 제목을 고친 듯합니다. 원제는 흥미를 불러일으킨다는 점에서 한글 제목과 같은 속성을 갖고 있습니다.

간략하게 줄거리를 보자면 소네자키 리에는 데이카 대학 의학부 산부인과 교실의 조교입니다. 같은 교실의 기요카와 부교수(부교수라고 번역했지만 아마 원문엔 조교수로 나와 있을 것입니다. 일본엔 부교수라는 직위가 없으니까요. 우리 나라엔 교수-부교수-조교수-전임강사 라는 직위서열이 있지만 일본은 교수-조교수-강사일 것입니다. 미국엔 교수-부교수-강사였던 것으로 압니다. 우리 나라는 외국의 것을 이것저것 받아들여 나름대로의 체제를 구축하고 있지요. 일본식 교실 제도와 미국식 전문의-의국 제도가 공존하는 것도 그렇습니다.)와 함께 마리아 클리닉이란 산부인과 의원에 출장 진료를 나가다가 점차 조여오는 제도권의 영향으로 이젠 홀로 1주에 한번 나갑니다. 의원의 원장은 폐암 말기여서 곧 문을 닫을 예정인데, 마지막 환자(임부)가 다섯 있습니다. 리에는 쌍각자궁이여서 자궁적출술을 받았습니다. 난소도 하나 같이 제거했었는데 그게 실마리네요. 이야기는 한두 달 간격으로 두 기관(대학과 의원)을 비슷한 시기에 조망하면서 진행합니다. 산과의 산전진찰이 보통 한 달에 한 번 있으니 타당한 설정입니다. 그러면서도 제도의 문제점을 수시로 들춰냅니다. 일본의 체계는 우리보단 나은데 그래도 그 구성원은 불만인가 봅니다. 하긴 우리가 워낙 엉망이여서 일본이 나아 보이는 것일 수도 있으니까요. 차이점은 우리 나라의 의사는 이런 문제를 소설을 빙자한 책으로 펴내지 못했다는 것이겠지요. 저자의 주장은 리에의 발언에 나타납니다. "법률이 현실을 왜곡시킨다면 그 법률을 따라야 할 이유는 어디에도 없죠." 제가 오래 전부터 주장하던 것과 비슷하네요. "악법은 법이 아니다. 악법은 악법일 뿐이다." 비록 대리모 이야기에서의 관점은 조금 다르지만 아전인수격으로 해석하자면 대리모 건은 표면상 기술이고 실제는 위에 나온 대화가 실체로 보입니다. 대리모를 반대하는 이유는 그게 순기능을 갖는 사회에서는 임신이 문제가 되는 생물학적인 부모에게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역기능을 갖게 된다면 착취당하는 사람이 쏟아져 나올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 책뿐만 아니라 여러 SF를 비롯한 책들에서 보이는 '아기생산기계' 말입니다. 장기이식은 기증에 의한 것을 선진사회에서는 고수하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장기매매 또는 장기 적출을 위한 살인/납치 등이 문제가 되는 것처럼 말입니다.

110206/11020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문물 검역소
강지영 지음 / 시작 / 200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3.0

303페이지, 23줄, 25자.

박연과 하멜의 연이은 표류를 이용한 창작입니다. 창작이니 사실과 다르다고 화를 낼 필요는 없겠습니다. 다만 주인공의 정체성이 좀 마음에 안 듭니다. 주인공으로써 멋지지 않다거나 그런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관점에서 그렇다는 것입니다.

이야기는 출생으로 시작해서 과거 응시 및 합격 근무지, 박연과의 인연, 코끼리와의 인연, 그리고 하멜과 (아들)의 인연으로 끝납니다. 웃기려는 의도에서 많은 것을 넣어뒀는데, 작의적인 게 좀 있어서 덜 웃깁니다. 작명감각은 그 평가에 개인차가 있을 것입니다. 저는 동조는 못하겠지만 이해는 할 수 있습니다. 동갑내기 연지와의 인연은 좀 불가능하겠으나 역시 설정상 수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너무 가볍습니다. 경쾌한 게 아니라 가볍습니다. 그런데, 딴 소리지만 왜 한자는 뜻이 좋아보이고, 한글은 왜 뜻이 나빠 보이지요? 이건 저의 착각입니까, 아니면 잘못된 전승입니까? 부사 때문에 나빠 보이는 것일까요? 그렇다면 저의 착각이겠네요.

110205/11020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전미궁 가이도 다케루의 메디컬 엔터테인먼트 4
가이도 다케루 지음, 권일영 옮김 / 예담 / 2010년 1월
평점 :
품절


4.0

470페이지, 23줄, 26자.

발표된 순서로는 [나이팅게일의 침묵]이나 [제너럴 루주의 개선]보다 빠른가 봅니다. 아마 나중에 나온 책이 그 시간 간격을 메운 듯하네요.

달팽이로 묘사되던 사쿠라노미야 병원의 몰락을 그렸습니다. 아버지인 이와오(樓宮巖雄)와 딸들인 스미레(), 사유리(小百合)의 합작인 안락사를 파헤치는 시라토리의 활약이 보입니다. 여전히 뒤에서 움직이다가 갑자기 전면에 나타나지요. 표면상 주인공은 덴마 다이키치(天馬大吉)인데 몇 안되는 등장인물 중 여럿이 [천사의 나이프]에서처럼 업보로 물고 물리는 상관관계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덴마의 부모님은 교통사고로 돌아가셨습니다. 할아버지가 변호사여서 유리한 조건으로 보상을 받습니다. 보상을 해준 사람은 자살하고, 그 아들은 보육원에서 자라다가 14살 때 길거리에서 묻지마 범행(아마도 칼을 휘두른 것 같습니다)을 하고 아오이가 피해를 입습니다. 결국 아오이는 자살을 하고 사쿠라노미야 가문에서는 그 범인에 대한 원한을 갖게 됩니다. 하나오는 자침하였기 때문에 그 당사자가 그들 앞에 나타날 때까지는 보복을 생각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만.

작가는 유려한 글솜씨로 독자들을 이끌고 다니다가 내팽개쳐 버립니다. 마지막에 탈출하는 사유리는 반전의 반전일까요? 그런데 불을 지르기 직전 아오이(葵)의 방에는 이와오와 하나오 그리고 스미레밖에 없었습니다. 사유리는 전혀 언급되지 않았었죠. 문앞에는 스미레와 이와오가 있었고, 나중에 방에서 하나오가 나왔다가 같이 들어가니까요. 스미레는 불을 지르는 계획을 몰랐던 것으로 보아 설득되어 같이 횡사한 것으로 보입니다.

아무튼 이 작가의 글을 앞으로도 계속 유념하게 될 것 같습니다.

110204/11020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리탄 2 - Navie 187
이지영 지음 / 신영미디어 / 2010년 3월
평점 :
품절


2.9

458페이지, 22줄, 24자.

이야기는 계속 진행하여서 긴장이 고조됩니다. 에이타가 임신을 하고 켄지가 화를 내지만 유지와 아이다의 만류로 해결됩니다. 미키와 아이다는 독립운동자금을 대는데 어느날 한지원이 나타납니다. 그는 신임 조선 총독으로 내정된 마츠바라 마사키를 암살하기 위해 들어온 것입니다. 아버지를 따른 것인지 짝인 유지를 따를 것인지 고민하던 아이다는 나름 둘 다를 놓치지 않기 위하여 둘을 다 속이기로 합니다. 마사키는 검은 속셈을 갖고 있었으므로 강간의 기회로 삼았고, 한지원이 미키에게 부탁하여 유지에게 연락을 함으로써 유지는 막 아이다를 겁탈하려던 마사키를 살해합니다. 천황은 대가로 만주로의 전근을 요구합니다. 유지는 죽은 것처럼 위장하고 숨습니다. 남은 아이다는 어느날 진짜 각성을 하여 자신이 베헤모스임을 깨닫습니다. 히로시마에서 상봉한 둘은 함께 죽습니다. 이들은 시공을 초월하여 인생유희를 즐기고 있었고(평행 우주가 아니라) 리탄이 아직 경험해 보지 못한 1980년 대에 한국에서 태어나기로 합니다. 둘의 작은 암투가 벌어지면서 이야기는 일단락됩니다.

마지막이 약하네요. 팽팽했던 긴장감이 '사실은 이랬어' 한방으로 무너지니 좀 허탈하군요.

110205/11020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리탄 1 - Navie 187
이지영 지음 / 신영미디어 / 2010년 3월
평점 :
품절


3.6

407페이지, 22줄, 24자.

숙명적인 인연이 있는 두 사람의 사랑(?)에 대한 이야기로 추정됩니다. 사랑에 대하여 이야기를 하다가 1권이 끝나기 때문에 추정이라고 썼습니다.

1906년 도쿄에서 미와 유지라는 아이가 태어납니다. 엄마는 태어날 때 죽었고, 아빠는 세 살 때 낙마하여 죽습니다. 고모 에이타가 있지만 형식상 유지가 가장이 됩니다. 1910년 경에 태어난 안양의 한소원은 1919년 독립운동을 하던 아버지 때문에 집안이 찍혀 있던 차 3.1 운동의 여파가 몰아치는 와중에 할아버지, 할머니, 어머니가 모두 피살됩니다. 현장을 들여다 보던 소원과 하녀 하월이는 유지와 켄지에 의해 구출되어 일본으로 갑니다. 시간은 자꾸 흘러 1928년이 되고 에이타의 양녀 아이다가 된 소원과, 켄지의 양녀 미키가 된 하월은 유지에 대한 감정 때문에 분열될 위기에 처합니다. 미키의 본심을 알게 된 아이다는 반성하고(작가의 의도를 따르자면 일종의 각성이 될까요?) 유지와도 성적인 관계에 돌입합니다. 1권 후반부는 성인용 소설에 가깝습니다.

7백 년 정도된 기억까지만 회상되는데, 기원이 그 때인지는 불확실하네요. 그것도 유지(레비아탄)의 일방적인 것이고 소원(베헤모스)은 거의 모르는 상황입니다. 갑자기 평행우주쪽으로 튀는 듯한 느낌도 줍니다.

110203/11020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